人品法
滿面陽和, 言談中, 眉間, 兩頰, 無變色, 神氣從容, 聲無變調, 韻無中餒, 眼光泰然, 擧止溫純, 無假作, 無掩飾, 五官中有美處, 運到必發, 有忌處, 其凶亦少, 所謂中和上品也.
얼굴은 밝고 온화하고, 대화중에 눈썹 사이와 양 뺨의 색이 변하지 않고, 용모에 신과 기가 따르고, 음성이 조화로우며, 여운이 짧지 않아야 하고, 눈빛이 편안하고, 움직임이 온순하면 거짓됨이 없고, 숨기고 꾸밈이 없는 사람이다. 오관 중에 좋은 곳이 있으면 운이 이르러 크게 일어날 것이며, 꺼리는 곳이 있으면 흉화 또한 적을 것이다. 중화상품이라 한다.
滿面一見陽和, 言談中, 眉間兩頰屢有異色, 有短處, 切物多言, 神氣有異者, 美處略略言之而已, 聲有變調者, 美惡均宜婉轉, 譬曉此請相者之有詐, 不得不權變之相法也,
얼굴에 한 순간 밝고 온화하고, 대화중에 눈썹 사이와 양 뺨의 색이 다르게 나타나거나 색이 다양하게 변화를 하고, 모자란 곳에 말이 끊임없이 많으며, 신과 기가 이상한 자는 좋은 곳에 대해 간략하게 말할 뿐이다. 음성의 변화가 있는 자는 좋은 부분과 못난 부분이 평균적으로 이런 사람이 상을 청하면 거짓으로 꾸밈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득불 권변의 상법으로 해야 한다.
滿面陰氣, 擧動從容, 聲不變, 此中有溫純之品, 有暴發之氣, 言必中肯, 當簡則簡, 使其明瞭, 當重複, 再說則不憚勞,
얼굴이 조용하고, 용모에 따라 행동하며, 음성이 변하지 않으면 이는 온순지품이라 한다. 폭발적인 기운으로 말에 힘이 있게 하고, [요목조목] 간단하고 명료하게 하고, 중복적으로 당부한다. 재차 설명하여도 힘들거나 꺼려지지 않는다.
滿面陰氣, 擧止失序, 言談忸怩, 此中有環境不佳之人, 有畏小禮之品, 宜直指晦運, 壯其膽力,
얼굴에 음기가 있고, 행동에 질서가 없으며, 대화중에 부끄러워하거나 겸연쩍어 하면 이는 환경이 좋지 못한 사람이다. 예의가 적고, 두려움이 많으므로 운이 좋지 않다고 직접적으로 말을 하면 아무렇지 않은듯 씩씩하다.
滿面一見陽和, 談話中, 驕矜自足, 面有德色, 只宜順其性, 不宜觸其怒,
얼굴에 얼핏 밝고 온화한듯 하고, 대화중에 교만하고 자부심이 스스로 만족스러워 하며 얼굴에 덕스러움이 있으면 다만 그 성정이 온순한 것이 마땅하고, 화를 내고 촉발적이라 보는 것은 마땅치 않다.
未言先笑者, 聲正而語明, 乃天性使然也,
말을 하기 전에 먼저 웃는 자는 음성이 바르고 언어가 분명하면 천성이 낙천적인 사람이다.
言有譏刺者, 詰人也,
말을 나무라듯 헐뜯는 사람은 공격적인 사람이다.
隱眉而獻情者, 詐也,
희미한 눈썹의 사람이 다정하면 거짓말이다.
其他, 言語莊重, 問無苟且, 聽無移神, 皆屬正氣之人,
기타 언어가 정중하고 엄숙하며, 물을 때 구차함이 없고, 들을 때 정신이 산만하지 않으면 대개 정기지인에 속한다.
面橫語急, 眼光流視, 皆屬險惡之輩,
얼굴의 골격이 강하고, 언어가 급하며, 눈을 흘겨보는 듯 하면 대개 험악지배에 속한다.
孔子曰 [可以言不與之言, 失人, 不可與之言而與之言, 失言, 知者不失人, 亦不失言]
공자께서 이르되 말 같지 않은 말을 하면 사람을 잃고, 말 같은 말이라도 옳지 않은 말은 말[신용]을 잃고, 아는 자는 사람을 잃지 않고, 또한 말을 잃지 않는다.
相法中, 言語運用, 誠有硏究之價値也.
상법 가운데 언어를 잘 쓰는 것은 진실로 연구의 가치인 것이다.
貧富法
富在面者, 必有腹爲之容, 臀爲之靠,
부유한 상의 사람은 반드시 배가 풍성한 용모이고, 엉덩이가 풍요롭다.
在顴者, 必有鼻爲之倉, 唇爲之納,
관골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반드시 코가 넉넉하며, 입술이 너그럽다.
> 權 오타 顴으로 바꿈.
在鼻者, 必有蘭廷爲之櫃,
코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반드시 난정은 풍족해야 한다.
在眼者, 必有印堂爲之主,
눈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반드시 인당을 주장을 삼는다.
在身者, 爲有腰爲之托,
몸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허리에 의지해야 한다.
在耳者, 必有孔爲之納, 有珠爲之固,
귀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반드시 구멍에 [손가락을] 들어가고, 수주가 단단해야 한다.
在掌者, 必有肉爲之豊,
손바닥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살비듬이 풍성해야 한다.
明堂深厚, 爲之守,
명당이 깊고 두터운 것은 수를 삼는다.
以上七格,
이상 일곱 가지 격이 부유한 상이다.
相應在聲, 有聲則大富, 中有聲, 不相應者, 亦能豊衣足食, 而保小康,
상이 좋고, 음성이 좋으면 대부호이고, 보통의 음성에 상이 좋지 않으면 또한 의식이 풍족하고, 적은 재산을 지키며 산다.
貧財面者, 無臀, 無腹, 終身貧
가난한 상은 엉덩이와 배가 없으면 평생 가난하고,
在顴者. 仰鼻, 縮唇, 落口貧,
관골이라는 것은 비공이 들리고, 입술이 오그라들고, 구각이 쳐지면 가난하다.
在鼻者, 無蘭廷, 債臺貧,
코라는 것은 난정[콧망울]이 없으면 빚더미에 앉은 가난한 사람이고,
在眼者, 無印, 隨出貧,
눈의 가난이 있는 것은 인당이 좋지 않으면 쫓겨 날 정도로 가난하다.
在身者, 無腰, 瘦地貧,
몸의 가난이 있는 것은 허리가 없으면 척박한 땅처럼 가난하다.
在耳者, 無孔, 無珠, 不智貧,
귀에 가난이 있는 것은 구멍이 작고, 수주가 없으면 지혜가 없어 가난하다.
在掌者, 無艮, 無堂, 辛苦貧,
손바닥에 가난이 있는 것은 간이 없고, 당이 없으면 고달게 가난하다.
以上七格,
이상 일곱 가지의 격이 가난한 상이다.
有聲嘹喨者, 僅保衣食充足, 有聲不相應者, 則奔波無寧日矣.
음성의 울림이 멀리 울리면 겨우 의식이 충족하게 살고, 음성의 울리지 않으면 분주하게 바쁘게 생활하니 하루라도 편안한 날이 없다.
特富 特貧[특별한 부자, 특별히 가난한 자]
일중추천 1조회 65910.10.08 13:12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相法, 眉彩, 眼光, 而聲嘹喨者, 父子富,
상법에서 눈썹이 반짝이고, 눈빛이 밝으며, 음량이 멀리 울리는 사람은 부자가 부자이고,
鼻梁豊顴而聲嘹喨者, 甲地富,
비량과 관골이 풍융하고, 음량이 울리는 자는 최고의 갑부이다.
掌厚而軟, 聲喨者, 身家富,
손바닥이 두텁고 부드러우며 음성이 맑은 자는 몸이 편안한 집이 부자이다.
一露, 二露, 無神者, 有衣, 無褲貧,
한 두 가지가 들어나고, 눈빛이 없는 자는 웃옷은 입었어도, 바지를 못 입는 가난이다.
頭尖, 尾削, 無聲者, 討乞貧,
두각이 뾰족하고, 눈썹 꼬리[천창]이 깎이며, 음성이 맑지 못한 자는 빌어먹는 가난이다.
無股瘦面, 無聲者, 孤孀貧.
허벅지가 가늘고, 얼굴이 수척하며, 음성이 탁하면 고독한 과부로 가난하다.
地位
지위
相法, 五官無缺, 而聲嘹喨者 國之重器, 商之盟主, 農之領首, 官之寵兒,
상법에서 오관에 결함이 없이 성량이 울리는 자는 국가의 중요한 인물이 되고, 상권의 중임을 맡고, 농민의 수령이 되며, 관료는 임금의 총애를 받는다.
五嶽不敗, 而聲淸喨者, 棟梁之材, 敎之始祖, 業之聖人,
오악이 모두 꺼지지 않고 음성이 맑게 울리는 자는 동량의 재목이 되며, 시조의 가르침을 받고, 성인의 덕업을 잇는다.
三停均等, 而聲喨者, 時之寵兒, 爲官進爵, 爲商巨富, 爲農巨倉,
삼정이 균등하고 음성이 울리는 자는 한 때 총애를 받고, 관직이 승징하고, 상업으로 거부가 되며, 농부로 창고에 곡식이 가득하다.
眼大而聲喨者, 工之鎭寶, 技之拔萃,
눈이 크고 음성이 울리는 자는 세공으로 보석을 깎고, 보석을 가려 뽑아 쓰는 기술이 있다.
眼長而近視者, 文章强記. 理科魁碩,
눈이 길고 가까이 보는 자는 문장에 힘이 있고, 이관에 뛰어난 석학이다.
眉彩而聲和者, 醫之學士, 律之明辯, 官之檢事,
눈썹이 빛나고 음성이 온화한 자는 의학자이고, 법률에 언변에 밝고, 검사의 벼슬을 한다.
有聲無顴, 有顴無鼻, 皆是職守之人,
음성은 좋은데 관골이 없거나 관골이 좋은데 비량이 약하면 모두 직분을 지키는 사람이다.
格小好威, 格大畏勞, 盡是有限之輩,
격이 낮으면 위엄을 좋아하고, 격이 높으면 수고로움을 싫어하니 진실로 한계가 있는 사람들이다.
身輕者, 依人作嫁, 持重者, 豈久隨人.
몸이 가벼운 자는 사람에 의지하여 시집을 가며 신중한 사람이 어찌 사람을 따라 멀리 가겠는가.
材短身偏者, 不受奇窮, 必有奇禍, 易滿易盈, 雖成必敗, 衰退難後.
재능이 짧고, 몸이 기운 자는 기궁하지 않으면 반드시 기화가 있으니 쉽게 차고 쉽게 넘치니 비록 성공을 하였어도 반드시 실패가 있으니 쇠퇴하여 뒤가 어렵게 된다.
運氣盛衰法[운기성쇠법]
일중추천 1조회 47910.10.15 13:32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肉從腰來, 轉運, 目前, 肉從腰去, 不日退財,
허리에 살이 붙으면 운이 들어오고, 운이 있어도 허리에 살이 빠지면 하루가 되기 전에 재물이 나간다.
面不和色, 聲不和調, 旋敗之人,
얼굴에 온화한 색이 없고, 음성이 조화롭지 않으면 오히려 실패하는 사람이다.
面上光彩, 聲音嘹喨, 新運之士,
얼굴에서 광채가 나고, 음량이 맑게 울리면 새로운 운이 들어온다.
盛運中, 言語不倫, 知其隱憂,
왕성한 운 중에 언어에 두서가 없으면 숨은 우환을 알 수 있다.
退敗中, 志守成, 知其將復,
운이 물러나고 일이 패하는 중에 뜻을 지키고 이루려 하면 장차 운이 회복됨을 알 수 있다.
守信終身, 雖敗必復,
평생 신용을 지키면 비록 운이 패하여도 반드시 운이 다시 돌아온다.
逢人忸怩, 雖成終敗,
사람을 보면 부끄러워 하고, 겸연쩍어 하면 비록 운이 왕성해도 마침내 운이 패한다.
問壽在神, 神昏者, 不但運滯, 而且妨壽,
수명은 안신에 있으니 안신이 어두운 자는 운이 막힐 뿐만 아니라 또한 오래 살지 못한다.
求全在聲, 不喨者, 運亦難成,
운은 온전히 음성에 있으니 음성이 맑지 않으면 운 또한 이루기 어렵다.
問智在耳, 耳孔少者, 愚而少運,
지혜는 귀에 있으니 이공이 작으면 어리석어서 운이 적게 온다.
問財在鼻, 鼻犯枯焦者, 財從何來,
재운은 코에 있으니 코가 타는듯 메마르면 재운이 어찌 오겠는가.
眼眶昏暗, 口[不]宜守身, 印堂赤色, 官訟休惹,
눈자위가 어둡고 컴컴하며, 입이 마땅하지 않고, 인당이 적색으로 나타나면 관송이 쉬지 않고 계속 얽히게 된다.
邊城焦灼, 遠地無利,
변지가 불타는 듯 하면 멀리 나아가 불리하고,
額凹額尖, 難言試驗,
이마가 꺼지고 뾰족하면 시험을 말하기 어렵다.
眼淚眼昏, 何苦問孕,
눈에 눈물이 고이고, 눈이 어두우면 어찌 고생스러움을 물어 볼 수 있겠는가.
愁容滿面, 知其無運,
얼굴에 수심이 가득하면 운이 없음을 알 수 있다.
滿面光彩, 識其乘時,
얼굴 가득 광채가 나면 운이 상승함을 알 수 있다.
禮可飾, 衣可假. 神氣難假,
예의는 가식으로 할 수 있고, 옷은 가짜로 입을 수 있으나 신과 기는 거짓으로 하기 어렵다.
貧可裝, 富可飾, 骨格難假, 故手足知其貧富,
가난은 장식을 하고, 부자는 꾸밀 수 있으나 골격은 거짓으로 하기 어려우니 고로 손과 발로 빈부를 알 수 있다.
言可察其心理, 眼其心, 聲其神,
마음의 심리를 살피는데 눈은 그 마음을 보고, 음성은 정신을 말한다.
眼光炯炯, 而紋鎖印堂者, 豈常美運,
눈빛이 반짝반짝 빛나지만 인당에 주름이 얽혀 있으면 어찌 좋은 운이 있으랴.
聲音滿滿, 而語韻大小者, 處事無恒,
음성은 자신 만만한데, 말의 운율이 크고 작으면 하는 일이 꾸준하지 않다.
然聲亮而徐語者, 運必長久, 聲急而語快者, 運無長久,
그래서 음성이 맑고 말에 두서가 있으면 운이 반드시 오래가고, 음성이 급하고 말이 빠르면 운이 오래가지 않는다.
無意中吐氣, 必有難告人之憂,
무의식중에 한숨을 쉬면 반드시 운이 어려워 근심이 가득한 사람이다.
靜坐中如睡, 必犯退敗之業,
고요히 앉아 조는 듯 하면 반드시 운이 물러나 사업에 실패가 있다.
盛衰不等, 運氣依時,
운의 성쇠가 고루지 않으면 운기가 때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留心衡相, 久自有得, 幸誌之莫忘焉.
마음에 따라 상의 형평은 오래도록 스스로 터득해야 하며, 위의 글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오성, 오악, 오관, 육부, 육요, 사독, 삼정
일중추천 1조회 51110.10.22 12:09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五星 額鼻口耳(要明)
오성은 이마 코 입 귀는 밝게 빛나야 한다.
五嶽 額鼻頦顴(要朝)
오악은 이마 코 턱 관골은 조읍을 해야 한다.
五官 眉眼耳口鼻(要氣)
오관은 눈썹 눈 귀 입 코는 기운이 꽉 차야 한다.
六府 上中下邊獲骨(要滿)
육부는 상 중 하의 가장자리 뼈가 나와 가득 차야 한다.
六曜
左眉羅侯星 右眉計都星
왼쪽 눈썹은 라후성, 오른쪽 눈썹은 계도성
左目太陽星 右目太陰星
왼쪽 눈은 태양성, 오른쪽 눈은 태음성
印左月孛星 印右紫氣星
인당의 왼쪽은 월패성, 인당의 오른쪽은 자기성
> 인당은 자기성, 산근은 월패성
四瀆
耳爲江瀆
귀는 강독이라 하고,
眼爲河瀆
눈은 하독이라 하고,
鼻爲濟瀆
코는 제독이라 하며,
口爲淮瀆
입은 회독이라 한다.
三停
髮際至山根上一停
발제에서 산근까지를 상정이고,
山根至準頭中一停
산근에서 준두까지를 중정이며,
準頭至地閣下一停
준두에서 지각까지를 하정이라 한다.
오성
일중추천 1조회 39210.10.26 22:43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天以五星垂象, 地以五嶽定形, 人以五官論貴,
하늘은 오성으로써 드리워진 상이고, 땅에는 오악으로써 형상을 정하며, 사람은 오관으로써 귀를 논한다.
五星若有一星不明者, 亦主二十年滯運.
오성이 만약 일성이라도 밝지 못하면 반드시 이십년의 운이 막힌다.
尤以火土兩星, 更屬重要,
또한 화성과 토성의 두 별은 매우 중요하다.
화성은 이마이고, 토성은 코를 본다. 두 별이 밝게 빛나야 하며 가장 중요한 별이다.
夫面上五行, 亦有生剋之論,
무릇 얼굴에는 오행이 있어 생극[재화]의 이론이 있다.
火能生土, 而萬物俱屬土中所生.
화는 능히 토를 생하니 만물은 모두 토[대지]에서 소생한다.
土能生金, 金能生水, 水能生木, 木能生火, 此乃相生之理也,
토는 금을 생하며, 금은 수를 생하고, 수는 목을 생하며, 목은 화를 생하니 이는 상생의 이치인 것이다.
火能剋金, 金能剋木, 木能剋土, 土能剋水, 水能剋火, 此內相剋之理也.
화는 금을 극하고, 금은 목을 극하며, 목은 토를 극하고, 토는 수를 극하며, 수는 화를 극하니 이는 상극의 이치에 따른 것이다.
火星陷(額部)則各星失陷火光不照, 氣色暗殘, 然寒, 無火, 不能生物, 有凍土之憂矣,
화성(이마)가 꺼지고, 다른 별성들이 빛을 잃어 꺼지고 화광(밝은 빛)을 잃으면 기색이 어둡고, 쇠잔해지면 자연 차가워서 따뜻함이 없어져 만물을 생성하지 못하고, 동토와 같은 우환이 있다.
少年多災沖剋, 中運不發, 終無大用矣,
젊어서 재화가 많아 충극이 있어나면 중년에 운이 일어나지 않으니 마침내 크게 쓰지 못한다.
耳若明厚木生火, 雙目黑白分明, 火星陷亦可小發也.
귀가 밝고 두터워 목생화를 하고, 두 눈의 흑백이 분명하면 화성(이마)가 꺼져도 조금 발달한다.
土星陷(鼻部)財物失去養生之土, 而各星則無中主, 氣接不堅,
토성(코)이 꺼지면 재물을 잃고, 양생의 토성이 없으니 다른 별성이 곧 얼굴의 주인이 없는 것과 같아 기의 소통이 견실하지 못한 것이다.
此人必五臟多病, 惑中年因病敗業,(山根不斷-年壽無瀍-可免大半),
이런 사람은 반드시 오장에 병이 많거나 혹은 중년에 병으로 인해 사업에 실패한다. (산근이 끊어지지 않고, 년상 수상에 흠이 없으면 대운의 반을 얻는다.)
鼻樑過高, 口小, 地閣不朝. 爲土剋水, 十三, 十四, 離鄕奔波受苦.
비량이 지나치게 높은데, 입이 작고, 지각이 응조가 안 되면 토극수하여 13~14년 동안 고향을 떠나 동분서주하며 고생을 한다.
金星陷(左耳), 金爲萬物之寶藏, 如各星失去金流, 萬物舊滯, 此人必無學問而夭折也.
금성이 꺼지면(왼쪽 귀), 금은 만물의 보물 창고이다. 다른 별성들이 빛을 잃고, 금성의 빛이 없으면 만물이 오랫동안 막혀서 이런 사람은 반드시 학문을 이룰 수 없고, 요절한다.
目欠神, 再耳反, 額高, 爲火剋金 父母家財皆是空.
눈빛에 어둡고, 귀가 뒤집히며, 이마가 높아 화극금을 하면 부모, 가장, 재산을 모두 잃는다.
水星陷(口部), 則萬物無水滋潤, 而草木不秀, 然群星不明,
수성(입)이 꺼지면 곧 수가 만물을 윤택하게 되지 못하니 초목이 자라지 못하고, 뭇별들이 밝지 못한다.
此人必福祿不週, 衣食不足,
이러한 사람은 반드시 복록이 순조롭지 못하고, 의식이 부족하다.
口大額尖爲水剋火, 運交十五歲, 身受困苦矣.
입이 크고, 이마가 뾰족하면 수극화하여 나이 15세에 온갖 곤고함을 겪는다.
木星陷(右耳及毛髮) 則各星無木培秀, 此人必先天養氣不足,
목성(오른쪽 귀와 모발)이 꺼지면 각별성들에게 목의 기를 보태어지지 않으면 이런 사람은 반드시 선천의 양생기운이 부족하다.
父母欠美而胎受也, 主幼小辛苦多病,
부모가 좋은 관계로 수태하지 않아 어려서 병으로 신고하게 보낸다.
山根斷, 年壽暗癍, 終身帶疾.
산근이 끊어지고, 년상 수상에 어둡게 반점이 있으면 평생 질병을 끼고 산다.
육요
일중추천 3조회 45610.11.03 16:12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月孛是山根, 紫氣是印堂, 二星位居中央, 氣聚於中心,
월패는 산근이요, 자기는 인당이니 두 별은 중앙에 위치하고, 기가 모이는 중심이다.
得火星及太陽太陰, 諸星護照, 紫光直射群星,
화성과 태양, 태음, 육요를 통솔하고, 자기성의 빛이 뭇별들에게 빛을 비춰준다.
如羅喉 計都二凶星, 不侵犯本位,
라후성과 계도성 두 별은 흉성이므로 인당과 산근을 침범해서는 안 된다.
無陷無殺, 少年中年, 運均主亨也,
인당과 산근이 꺼지지 않고, 주름살이 없어야 소년, 중년에 운이 고루게 형통한다.
此二星有關終身大運, 最爲緊要也,
이 두 별[인당, 산근]은 평생 대운에 연관되어 있어 가장 중요한 곳이다.
羅喉計都二星, 名凶星, 本位不可帶殺, 更不可侵犯他星也.
라후 계도 두 별은 모두 흉성이므로 본위[좌우 눈썹]에 살성이 있어서는 안 되며, 다른 육요를 침범해서도 안 된다.
太陽太陰本位不可露, 須要含眞, 各星直助而不欺, 凶星不犯, 必主富貴也.
태양 태음은 [빛이] 들어나면 안 되며, 반드시 진기[빛]를 머금어야 한다. 다른 육요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기만해서는 안 된다. 흉성이 침범하지 않으면 반드시 부귀를 누린다.
오악
일중추천 2조회 46110.11.11 12:39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夫, 五嶽者, 如地理, 以東南西北中, 五嶽之論也.
무릇 오악이란 지리와 같아 동, 남, 서, 북, 중앙으로써 오악을 논한다.
東岳泰山, 西岳華山, 南岳衡山, 北岳恒山, 中岳嵩山,
동악은 태산이오, 서악은 화산이며, 남악은 형산이오, 북악은 항산이고, 중악은 수산이다.
五嶽最要相朝拱, 朝者來龍脉有勢, 氣脈相接,
오악의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 (중앙에) 조공을 받치듯 해야 하며, 조는 산맥의 기세가 래용하여 기맥이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五岳之中, 以中岳居正位, 爲主岳, 氣統四岳, 發脉於中心也,
오악 중에 중악이 정중앙에 위치하여 주군의 산악이 되며, 사악의 기를 소통하고, 기맥을 일으키는 중심이다.
五岳最怕無主, 惑孤峯無援, 惑有援而不接. (卽某岳陷是也) 此爲龍脉無力, 氣脈不接,
오악이 가장 두려운 것은 주군(중악)이 없는 것이고, 혹은 (중악이) 홀로 높이 솟아 도움이 없거나, 혹은 도움은 되지만 (가까이) 접하지 않으면 {모악(동악, 서악)이 꺼짐} 이를 용맥이 무력한 것이고, 기맥이 연결되지 않아서 이다.
夫相分南北而論, 各有本位, 南乃火旺之地,
대저 남악과 북악을 나눠서 보며, 각각의 자리가 있으며, 남악은 화기가 왕성한 자리이다.
此本位不陷者, 他岳較弱, 亦爲得本位旺勢資助, 本位氣脉不傷, 精神必旺也. 父母必是富貴, 自身事業亦能早發也.
이는 본위[남악]이 꺼지지 않고, 다른 산악이 비교적 유약하면 또한 본위가[남악] 왕성한 기세로 도움을 주고, 본위의[남악] 기맥이 상해를 입지 않으면 精과 神이 반드시 왕성하며, 부모가 부귀를 누리고, 본인은 사업을 일찍이 일으킨다.
南方無正土, 若得火旺者.(鼻偏不大忌) 火能生土, 除南岳之外, 他岳不大忌偏也.
남방지역은 토[코]가 바른 자가 없으니 만약 화기[남악]이 왕성한 자는 (코가 삐뚤어져도 크게 꺼리지 않는다) 화[남악]가 능히 토[코]를 능히 생하니 남악을 제외하고 다른 산악이 삐뚤어진 것을 크게 꺼리지 않는다.
(指南方言) [雖不大忌, 此人心田則不正也].
남쪽지방의 방언으로 비록 크게 꺼리지 않지만 남방 사람의 심전은 바르지 않다.
忌曲, 曲則氣弱, 少運不發, 大敗中年, 又生無子.
굽은 것을 꺼리며, 굽으면 기가 약해져 젊어서 운이 발하지 못하고, 중년에 크게 실패하며, 또한 아들을 낳을 수 없다.
北方居正土, 本位旺於水, 水能生木, 最要淸秀,
북방지역은 토[코]가 바르게 있고, 본위[북악]이 왕성한 수기이니, 수는 능히 목을 생하여 청수한 상이 가장 중요하다.
本位不失, 卽地閣厚而脣齒濟, 最忌土星偏斜.
본위[북악]의 자리를 잃지 않은 즉 지각이 두텁고, 입술과 치아가 가지런해야 하며, 토성[코]이 삐뚤고 기운 것을 가장 꺼린다.
若北人得水火通明者, 大富大貴之相也. (水火通明者, 乃北人, 地閣厚, 額廣, 五官正, 南人額高, 地朝, 五官不陷, 日月光彩射人是也).
만약 북방인이 수화통명이 되면 대부, 대귀의 상이다. (수화통명이란 북방인이 지각이 두텁고, 이마가 넓으며, 오관이 모두 바른 것이고, 남방인이 이마가 높고, 지각이 조응하며, 오관이 꺼지지 않고, 일월[두 눈]의 광채가 사람을 쏘아 보는 듯 한 것이다.)
東西二岳爲主岳之顴岳, 要與中岳相配,
동서 두 산악은 중악의 관골악이며, 중악과 더불어 서로 배합이 되어야 한다.
忌腫, 忌露, 忌尖, 忌破, 忌紋, 忌獨, [獨內不運, 或孤顴是也.]
동서 악에 부종이 나고, 로골이 되며, 뾰족하고, 깨지며, 주름이 있고, 홀로 서 있으면 안 된다. [관골이 홀로 서 있으면 운이 없다. 혹은 관골이 홀로 있는 것이다]
五嶽最要氣脉有勢, 而各岳相關, 四水明流, 方爲大用之相.
오악의 가장 중요한 것은 기맥이 기세가 있어야 하며, 각각의 산악이 서로 연관이 있고, 사수가 맑게 흘러야 바야흐로 대용지상이라 한다.
河不得高山而水不能暢流, 山無明水之聲而山不秀,
강하는 높은 산이 없으면 수로가 능히 힘있게 흐르지 않으며, 산은 맑은 물소리가 없으면 빼어난 산이 아니다.
故顴五岳須配察四水之流與不流,
고로 오관은 반드시 사수가 흐르는지 못 흐르는지를 살펴 봐야 한다.
通與不通, 明潔不明潔, 草木秀與不秀, 此乃至理也.
통하고, 안 통하며, 맑고 깨끗하고, 맑고 깨끗하지 않고, 초목이 수려하고, 초목이 수려하지 않는 것이 지극한 이치이다.
五岳之中, 若有一岳不成者, 亦主二十年困乏. 雖五官好, 亦不發大運, 縱發達, 亦減半, 故五岳不可有一陷也.
오악 중에 만약 한 개의 산악이 불성하면 또한 20년동안 곤란하게 궁핍하며, 비록 오관이 좋다해도 또한 대운이 일어나지 않고, 설령 발달해도 또한 반감되니 고로 오악이 하나라도 꺼져서는 안 된다.
南岳陷, 髮尖冲印, 髮脚不齊, 髮低壓而閒日月角, [髮際過高, 主剋父母, 心多殺, 不爲陷也.]
남악이 꺼지고, 발제가 뾰족하여 인당을 충하고, 발각이 가지런하지 않으며, 발제가 낮아 일월각 사이를 압박하는듯 [발제가 지나치게 높으면 반드시 부모를 극하고, 심성이 충살이 많아 꺼지지 않아야 한다.]
若紋多而亂, 天倉骨陷, 額骨成坑, 額骨不起, 額骨凸露, 額左右傾偏, 額多靑筋, 額上凶痣, 印堂帶殺, 以上均主剋父母, 破祖離家, 幼小多災, 不貴之相也.
만약 [남악에] 주름이 어지럽게 많고, 천창골이 꺼지며, 액골이 움푹 꺼지고, 액골이 일어나지 않고, 액골이 돌출하여 나오고, 이마의 좌우가 기울고 삐뚤며, 이마에 푸른 힘줄이 많고, 이마의 흉한 점이 있으며, 인당에 형살이 끼는 등 이상과 같으면 부모를 반드시 극하고, 조업을 깨고, 이산가족이 되며, 어린시절부터 재화가 많아 불귀한 상이다.
中岳陷, 山根斷, 弱, 紋, 痣, 破, 傷, 偏, 曲, 孔露, 年壽凸凹, 形小, 短弱, 蘭廷不起, 孤峯無援主貧破敗, 終身帶疾, 少年破祖, 中年大敗, 少成之相也.
중악이 꺼지고, 산근이 끊어지고, 코가 약하고, 콧등에 주름이 있으며, 점이 있고, 깨지고 상처가 있으며, 코가 삐뚤고, 굽거나 비공이 들어나고, 년수상이 울퉁불퉁하고, 코의 모양이 작고, 짧은듯 약하며, 난정이 약하고, 중악만 홀로 높이 솟아 도움을 받지 못하면 반드시 가난하고, 재물이 깨지며, 평생 질병으로 살고, 젊어서 조업을 깨며, 중년에 크게 실패하는 소성의 상이다.
東岳陷, 若破, 若尖, 若無, 若腫, 若紋, 若露, 若陷, 無串橫骨(耳門骨是也), 若紋痣點破, 若鬂閉命門等缺陷者, 均主家運不佳, 亦主剋父母,
동악이 꺼지고, 만약 깨지고, 뾰족하며, 부족이 있거나 주름이 있고, 만약 뼈가 들어나고, 꺼지며, 횡골이 없고, (이문의 뼈를 의미한다.) 동악이 주름 사마귀 점으로 깨지거나 빈발이 명문을 가리는 등의 결함이 있으면 반드시 가운이 좋지 못하고, 또한 부모를 형극한다.
書云, 左顴突出, 父先死, 不死不刑, 便自傷.
서운에 왼쪽 관골이 돌출되면 아버지가 먼저 돌아가시고, 아니면 돌아가시지 않으면 갖은 형극을 당하고, 또는 자신이 자상을 입게 된다.
西岳陷, 與東岳同論, 東西二岳, 最要與中岳相配, 否則運至中年, 或少年, 大敗也.
서악이 꺼지고, 동악과 같은 이론이다. 동서 두 산악은 중악과의 배합이 가장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운이 중년에 이르러 혹은 젊어서 크게 실패한다.
北岳陷, 若頦尖, 若斜, 若無, 若側, 若薄, 若蹻,(蹻者長過上停, 反過鼻準是也).
북악이 꺼지고, 만약 해[턱]가 뾰족하거나 기울고, 턱이 없는듯 하며, 삐뚤고, 얇으며, 턱이 지나치게 나오고, (교란 상정보다 지나치게 길고, 오히려 준두보다 나온 것이다.)
或口尖, 唇不齊, 無鬚, 結髭, 凶痣, 紋, 傷破, 鬚黃, 濃, 困, 枯, 人冲斜, 曲, 短, 淺, 主老無運, 五十一後大破敗.
혹은 입이 뾰족하고, 입술이 가지런하지 않으며, 턱수염이 없거나, 콧수염에 흠이 있고, 흉한 사마귀, 주름, 상처, 누런 턱수염, 짙은 수염, 수염이 입을 가리거나, 수염이 메마르며, 인충이 기울고, 굽고, 짧으며, 얕으면 반드시 늙어서 운이 없으며, 51세 이후에 크게 파패한다.
사독
일중추천 1조회 35510.11.18 17:37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四瀆者, 乃耳目口鼻是也,
사독이란 귀, 눈, 입, 코를 의미한다.
耳爲江瀆, 目爲河瀆, 口爲淮瀆, 鼻爲濟瀆, 四瀆名四水,
귀는 강독, 눈은 하독, 입은 회독, 코는 제독이라 하며, 사독을 사수라 명칭한다.
四水最要暢流, 流則通, 通則明, 明則鮮.
사수는 길게 흘러가는 것이 중요하며, 흐르면 통하고, 통하면 밝으니 밝은 즉 선명해 진다.
書云, 人中是溝洫, 爲四水之總脈 四水之善惡, 須察溝洫.
서운에 인중은 구혁이라 하며, 사수의 총맥이 된다. 사수의 선악은 반드시 구혁을 살펴야 한다.
若溝洫明顯而正, 上細下寬, 且長者, 謂之四水通流, 自然舒暢也.
만약 구혁이 바르고, 밝게 들어나며, 위는 가늘고 아래가 넓어야 하며, 또한 길면 사수가 유통이 되는 것이니 자연 길게 뻗어나가는 의미이다.
人沖深長, 子孫滿堂, 少病, 守財之相也,
인충이 깊고 길면 자손이 번창하고, 병이 적고, 재물을 지키는 상이다.
四水不流, 或不秀者, 主多疾, 少財, 短壽, 少子, 非美相也.
사수가 흐르지 않거나 혹 수려하지 않으면 반드시 병이 많고, 재산은 적으며, 수명이 짧고, 아들이 적으니 좋은 상이 아니다.
삼정
일중추천 1조회 39610.11.24 12:58댓글 2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三才, 三停, 三才者, 額爲天, 欲濶而圓, 名曰, 有天, 貴. 鼻爲人, 欲旺而齊直, 名曰, 有人, 壽, 頦爲地, 欲方而闊, 名曰, 有地, 富.
삼재는 삼정이니 삼재란 이마는 천재이오, 넓고 둥글어야 하며, 이름하여 천, 귀를 의미한다. 코는 인재며, 왕성하고 가지란하며 곧아야 하고, 이름하여 인, 수를 의미한다. 턱은 지재이고, 모진듯 넓어야 하며, 이름하여 지, 부를 의미한다.
三停者, 髮際至印堂爲上停, 山根至準頭爲中停, 人沖至地閣爲下停,
삼정이란 발제부터 인당까지를 상정이라 하며, 산정부터 준두까지를 중정이라 하고, 인충부터 지각까지를 하정이라 한다.
老[初]年自髮際至眉爲上停, [中年]眉至準頭爲中停, [末年]準頭至地閣爲下停.
초년은 발제부터 눈썹까지를 상정을 삼고, 중년은 눈썹부터 준두까지를 중정으로 삼으며, 말년은 준두부터 지각까지를 하정이라 한다.
訣云, 上停長老吉昌, 中停長近君王, 下停長壯吉祥, 三停平等富貴榮顯, 三停不均孤貧夭賤.
결운에 상정이 길면 늙도록 길하게 번창하고, 중정이 길면 군왕을 가까이 모시고, 하정이 길면 장차 길한 상서로움이 있다. 삼정이 균등하면 부귀를 영화롭게 누리고, 삼정이 균등하지 않으면 고빈하고, 요천한다.
詩云, 面相三停仔細看, 額高須得耳門寬, 學堂三部奚堪足, 空有文章恐不官.
시운에 면상의 삼정을 자세히 살펴봐서, 이마가 높으면 반드시 이문이 너그러워야 하며, 학당 삼부가 어찌 충분히 감당할 수 있으며, 문장이 뛰어난데, 관직이 없을까 두려워하지 말라.
鼻樑隆起如懸膽, 促者中年壽難言,
비량이 융기하여 마치 현담비 같고, 비량이 단촉하면 중년과 수명을 말하기 어렵다.
地閣滿來田地盛, 天庭平濶子孫昌.
지각이 풍만하면 전지가 풍성하게 돌아오고, 천정이 평평하게 넓으면 자손이 번창한다.
육부
일중추천 1조회 35710.12.01 00:53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六府者, 兩輔骨, 兩顴骨, 兩頤骨, 欲其充實, 相輔, 不欲支離, 孤露,
육부란 양 보각, 양 관골, 양 이골이며, 모두 충실해야 하며, 서로 보완하고, 따로 떨어져서는 안 되며, 로골이 되면 고독해 진다.
靈臺秘訣云, 上二府, 自輔角, 至天倉, 中二府, 自命門, 至虎耳, 下二府, 自肩[腮]骨, 至地閣,
영대비결에 이르길 상이부는 보각부터 천창까지이며, 중이부는 명문부터 호이까지이고, 하이부는 견[시]골부터 지각까지이다.
六府充直, 無缺陷, (無)瘢痕者, 主財旺,
육부가 충실하고 곧아야 하며, 결함이 없고, 결함이 없으면 반드시 재물이 왕성해진다.
天倉起多財祿, 地閣濶方, 萬頃田, 缺陷者, 不合格.
천창이 융기하면 재록이 많으며, 지각이 넓고 모진듯 하면 만 이랑의 밭이 있으며, 결함이 있으면 격에 합당하지 않는다.
사학당
일중추천 1조회 37910.12.03 12:59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眼爲官學堂, 又爲官星, 眼爲明秀學堂, 須黑白分明, 秀長有神, 主文章, 聲譽, 而淸貴也.
눈은 관학당이며, 또는 관성이다. 눈은 명수학당이니 반드시 흑백이 분명하고, 수려하게 길며 안신이 있어야 문장이 뛰어나고, 명성이 높은 청귀한 사람이다.
印上祿學堂, 又爲天爵之位, 額爲祿學堂, 額濶頂平, 中正滿, 有官, 有祿, 少年成功.
인당은 록학당이며, 또는 천작의 지위를 의미한다. 이마는 록학당이며, 이마가 넓고, 정수리가 평평해야 하며, 중정이 가득차야 관직에 올라 록을 받으며, 젊어서 성공한다.
耳爲外學堂, 又爲金馬玉堂之位, 耳爲聰明學堂, 又爲聞名學堂, 須得紅潤, 色白過面厚圓, 如櫻桃, 主爵祿, 豊厚富貴非常.
귀는 외학당이며, 또한 금마옥당의 지위를 의미한다. 귀는 총명학당이며, 또는 문명학당이라 한다. 반드시 붉고 윤택해야 하며, 귀의 색이 얼굴보다 희고, 두텁고 둥글어야 하며, 앵두같이 붉으면 높은 작위를 받고, 풍요로운 부귀가 남다르다.
門牙內學堂, 又爲口德學堂, 當門齒, 爲內學堂, 又爲祿食學堂, 要周正而密瑩淨, 如銀, 主忠信, 孝敬, 多食祿.
문아는 내학당이며, 또 구덕학당을 의미한다. 당문치는 내학당이며, 또는 록식학당을 의미한다. 치아가 바르고 주밀하며, 치밀하고 맑게 빛나야 한다. 은과 같으면 반드시 충성스럽고 믿음이 있으며, 공경심과 효심이 지극하여 식록이 많다.
팔학당
일중추천 1조회 40910.12.07 12:25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眉爲班筍, 問壽在眉.
눈썹을 반순이라 하며, 수명을 묻는다면 눈썹에 있다.
耳爲聰明, 問名在耳.
귀는 총명이라 하며, 명예를 묻는다면 귀에 있다.
眼光明秀, 問貴在目.
눈이 빛나면 명수라 하며, 귀를 묻는다면 눈에 있다.
額上高明, 問富在額.
이마 윗부분을 고명이라 하며, 부를 묻는다면 이마에 있다.
額爲高廣, 問福二角.
이마를 고광이라 하며, 복을 묻는 다면 이각(일월각)에 있다.
印堂光大, 問官在印.
인당을 광대라 하며, 관을 묻는 다면 인당에 있다.
口唇忠信, 問祿在口.
입과 입술을 충신이라 하며, 록을 묻는 다면 입에 있다.
舌相廣大, 問德在舌.
혀의 모양은 광대라 하며, 덕을 묻는 다면 혀에 있다.
高明部學堂, 圓頭或有異骨昻.
고명부 학당은 둥근 두상이라야 하며, 혹은 특이한 골이 솟아야 한다.
高廣部學堂, 額湧明潤骨起而方.
고광부 학당은 이마가 힘차게 일어나 밝고 윤택해야 하며, 골기가 모진듯 해야 한다.
廣大部學堂, 印堂平明無傷痕.
광대부 학당은 인당이 평평하며 밝아야 하며, 상처가 없어야 한다.
明秀部學堂, 眼光黑多神隱藏.
명수부 학당은 눈이 빛나고, 검은 동자가 많고, 빛이 은은하게 감춰져야 한다.
聰明部學堂, 耳有輪廓紅而白.
총명부 학당은 귀의 윤곽이 분명하고, 붉거나 흰색이라야 한다.
忠信部學堂, 牙齊周密白如霜.
충신부 학당은 치아가 가지런하며, 주밀해야 하고, 서리처럼 희어야 한다.
光德部學堂, 舌長至準紅紋長.
광덕부 학당은 혀의 길이가 준두에 이르고, 붉으며, 긴 주름이 있어야 한다.
班筍部學堂, 橫起天中細秀長.
반순부 학당은 눈썹이 가로로 융기해야 하며, 이마 가운데로 가늘고 수려하게 길어야 한다.
玉管訣, 上輔學堂左右分, 平如鏡子亦無紋, 更兼中正, 無傾陷, 定作公侯位高人.
옥관결에 상보학당은 좌우로 나뉘고, 거울처럼 평평하고 주름이 없어야 하며, 또한 중정과 더불어 기울고 꺼진 곳이 없으면 공후의 지위에 이르는 고귀인이다.
中輔學堂七十分, 平光潤澤是賢臣, 更兼下部有成就, 六部大臣近至人,
중보학당은 칠십으로 나뉘며, 평평하고, 윤택하게 빛나면 현명한 신하이며, 또한 하부와 더불어 성쉬하게 되니, 육부의 대신을 가까이 모시는 사람이다.
下輔學堂地閣朝. 承漿俱滿是官僚, 如若中輔來相應, 必坐朝堂佐舜堯.
하보학당은 지각이 조응하여 승장이 충만하면 관료가 된다. 만약 중보와 상응하면 반드시 좌조당의 지위에 올라 요순을 보좌하게 된다.
제양기세결
일중추천 1조회 45110.12.16 17:59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天絪縕, 萬物化醇], 大氣之妙用也.
하늘의 기운이 풍성하면 만물의 변화가 순일하니 대기의 묘한 작용력이다.
人爲萬物之靈, 萬物爲人之用,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고, 만물을 이용하는 것은 사람이다.
相人之道, 焉能無憑,
상은 사람의 도이니, 어찌 능히 의지하지 않으리오.
富貴貧賤, 善惡壽夭, 不離於型也,
부귀빈천과 선악요절은 형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型之本有於行, 行之本在於神, 神之本歸之於氣也, 氣者謂自然之大氣,
형상의 근본은 행동에 있고, 행동은 본래 신에 있으니 신은 본래 기로 돌아가는 것이다. 기라는 것은 자연의 대기이다.
先天之氣, 後天之氣, 養成之氣, 有正氣邪氣之分也.
선천의 기, 후천의 기, 양성의 기가 있으니 이는 정기와 사기로 나뉜다.
正氣生人, 神爽形秀, 端正威嚴, 爲富爲貴爲壽爲慈性必正直好善.
정기를 타고난 사람은 신이 맑아지고, 형상이 수려하며, 단정하고 위엄이 있다. 부, 귀, 수, 자성 등은 반드시 바르고 곧아 좋은 정기이다.
邪氣生人, 神滯形濁虛浮輕薄, 爲賤爲惡爲夭爲貧,
사기를 타고난 사람은 신이 막히고, 형상이 탁하고, 허하며, 들뜨고, 가벼우며, 얇아 천, 악, 요, 가난하다.
稍有富貴不能長久, 性必淫而兼暴,
처음에는 부귀가 있으나 능히 오래가지 못하는 것은 성정이 반드시 음탕하고 겸하여 포악하기 때문이다.
夫容稟於神, 是故神淸氣爽者, 其骨必圓必秀, 肉自勻稱, 色亦明潤, 乃富貴之格也.
무릇 신을 품은 얼굴은 이는 고로 신이 맑고 기가 밝은 자는 그 골격이 반드시 둥글고 또 수려하며, 살비듬이 고르게 이루어져 있으며, 기색 또한 밝고 윤택하니 이에 부귀의 격이다.
夫氣者, 稟於陰陽而成者也, 故審其面骨之氣勢, 能知某一代風水及住宅之善惡, 均以諸陽而斷之也.
무릇 기란 음양기를 타고 이뤄진 것이다. 고로 얼굴의 골격의 기세를 자세히 살펴서 능히 일대의 풍수와 주택의 선악을 알고, 균형 된 모든 양기로써 판단한다.
夫頭爲六陽魁首, 九陽氣勢, 注射於百部靈臺, 透運於周神, 而內固於體也.
무릇 두상에는 육양의 머리 형상과 구양의 기세를 백가지 부위의 영대에 주사하니 신이 두루 미쳐 운에 투출되고, 안으로는 신체가 굳건해 진다.
故諸陽氣足, 而骨豊隆者, 自然神淸氣爽, 則體健身安, 爲壽爲福也.
고로 모든 양기가 충족되어 골기가 풍융한 자는 자연 신이 맑고 기가 밝은 즉 신체가 건강하고, 몸이 편안하니 수과 복을 누린다.
六陽者, 景陽, 兩太陽, 兩華陽, 後陽, 是也.
육양이란 경양, 두 태양, 두 화양, 후양을 의미한다.
九陽者, 天陽, 景陽, 太陽, 華陽, 九陽, 龍陽, 後陽, 靈陽, 柱陽, 是也.
구양이란 천양, 경양, 태양, 화양, 구양, 용양, 후양, 영양, 주양을 의미한다.
구양심풍수결
일중추천 1조회 40410.12.24 10:15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天陽氣上--主五代以上風水之善惡.
천양기상은 주로 오대 이상의 풍수의 선악을 알 수 있다.
景陽氣首--主三代以上風水之善惡.
경양기수는 주로 삼대 이상의 풍수의 선악을 알 수 있다.
太陽氣助--主二代以上及祖宅, 水塘, 樹木, 等風水之善惡.
태양기조는 주로 이대 이상의 조택, 수당, 수목, 등 풍수의 선악을 알 수 있다.
華陽氣則--華陽又曰--左爲丘陵, 右爲塚墓, 主墳穴一代以上之 風水及住宅善惡.
화양기즉은 화양을 달리 이르길 좌측은 구릉, 우측은 총묘이니 주로 일대 이상의 분혈과 풍수, 주택의 선악을 알 수 있다.
耳上一寸謂邱陵塚墓, 再上一寸卽 [頭角] 謂山林是也.
귀의 일촌 위를 구릉, 총묘라 하며, 다시 일촌 위를 [두각]이며, 산림이라 한다.
若凸露超過山林骨者, 謂之氣急不美也. 陷者謂氣弱.
만약 산림골이 지나치게 돌출된 자는 기급하여 좋지 않으며, 꺼진자는 기가 약하다.
九陽氣聚--主當代以上至二代風水, 住宅, 床位, 廚位, 門向, 厠位, 等之善惡.
구양기취는 주로 당대 이상 이대의 풍수, 주택, 상위, 주위, 문향, 측위 등 선악을 알 수 있다.
此陽爲最重要之氣也, 骨, 肉, 紋, 毛, 痣, 色, 型, 均宜細察也.
이는 양이 가장 중요한 기이며, 골, 육, 문, 모, 지, 색, 형을 고르게 자세히 살펴야 마땅하다.
龍陽氣流--主當代上下風水之善惡.
용양기류는 주로 당대 상하의 풍수의 선악 본다,
後陽氣守--主上下三代風水之善惡.
후양기수는 주로 삼대 상하의 풍수의 선악을 본다.
靈陽氣藏--主一代上下及住宅左右風水氣勢之善惡.
영양기장은 주로 일대 상하의 주택 좌우 풍수 기세의 선악을 본다.
主陽氣托--主當代風水及住宅, 地氣之善惡.
주양기택은 주로 당대 풍수와 주택, 땅기운의 선악을 본다.
例如--九陽氣陷, (印堂是也), 此人祖父或曾祖父之風水及住宅等, 定有凶殺和其打破壞, 此本人必多凶險及刑剋在事業上亦主多成多敗.
예를 들어 구양기(인당)가 꺼지면 이는 조부 혹은 증부의 풍수와 주택 등의 흉살로 평온한 가문을 타파하여 무너뜨린다. 이는 본인이 반드시 흉험과 형극이 사업상에 많이 미치며, 또한 성패가 많이 일어난다.
龍陽氣陷, 主此人祖父或曾祖父風水, 龍脈定爲不旺, 主此本人家中有凶死之人, 本身亦常帶疾病.
용양기가 꺼지면 주로 이런 사람의 조부 혹은 증조부의 풍수의 용맥이 왕성하지 않아 주로 본인과 집안 중에 흉사한 사람이 있으며, 본인의 몸 또한 상상 질병이 따른다.
구양기결
일중추천 1조회 50310.12.30 23:56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天陽豊滿--主福祿壽俱全, 性直仁慈.
천양골이 풍만하면 반드시 복, 록, 수 모두 온전하며, 성정이 곧고 인자하다.
露者--(卽尖也) 主毒而奸猾老必孤貧.
천양골이 뾰족하게 들어난 자는 반드시 성정이 독하고 간교하고 교활하며, 늙어서는 고독하고 가난하다.
陷者--主弱而多思, 不孤則夭.
천양골이 꺼진 자는 주로 허약하고 생각이 많으며, 고독하지 않으면 요절한다.
景陽豊滿--主當壽多貴, 性覺聰明.
경양골이 풍만하면 주로 장수함이 타당하며, 대부분 귀하다. 성정이 자각하고, 총명하다.
露者, 孤苦波折, 性惡.
경양골이 들어난 자는 고독하며, 고생하고, 파란과 좌절이 있다. 성정은 악독하다.
陷者, 主傷, 性愚
경양골이 꺼진 자는 주로 상해를 많이 입으며, 성정은 어리석다.
太陽豊滿--主極爲聰明, 亦多主貴人相遇
태양골이 풍만하면 반드시 지극히 총명하고, 또한 주로 귀인의 도움을 많이 받는다.
露者, 主孤易投入道門, 若骨成一路線者, 修行易遇神仙而得道. 常人必主破相.
들어난 자는 주로 고독하여 쉽게 종교에 입문한다. 만약 태양골이 한 선의 골기로 이뤄진 자는 수행하는데 쉽게 신선을 만나고, 득도한다. 보통사람은 반드시 좋은 상은 아니다.
陷者主愚, 性惡, 父母刑剋, 少運老運皆蹇, 主六親無靠
꺼진자는 반드시 어리석고, 성정이 악독하며, 부모를 형극하며, 젊어서 운이나 늙어서의 운이 모두 막힌다. 반드시 육친에게 의지할 데가 없다.
華陽豊滿--主仁慈好施, 聰明爽直, 富而守財, 貴而淸正, 必得賢妻內助,
화양골이 풍만하면 주로 인자하며, 베풀기를 좋아하고, 총명하며 명백하고 곧은 사람이다. 재산을 지키는 부자이며, 맑고 정직한 귀인이니 반드시 현처의 내조를 얻는다.
露者...主淫亂好勝, 亦主聰明爽直, 必多刑剋, 性極剛强.
들어난 자는 주로 음난하며, 싸워 이기는 것을 좋아한다. 또한 반드시 총명하며, 명백하고 곧은 사람이지만 반드시 형극이 많으며, 성정이 극단적으로 강하고 완강하다.
陷者--主貧弱夭折, 賤而性惡.
꺼진 자는 주로 가난하고 허약하여 요절한다. 천하여 성정이 악독하다.
九陽豊滿--主福祿壽俱全, 一生大禍不臨, 逢凶化吉, 爲人正直好善, 主掌權柄, 得遇有力貴人幇助.
구양골이 풍만한 자는 주로 복, 록, 수, 모두 온전하고, 평생 큰 재화를 만나지 않으며, 흉화한 것을 만나도 길하게 변화한다. 사람됨이 정직하고 선을 좋아하여 반드시 권력의 핵심을 장악하며, 유력한 귀인의 도움을 받는다.
露者--多災難及凶險, 剋妻子離鄕奔走, 心性陰毒.
들어난 자는 재난이 많고, 흉험함이 따른다. 처와 자녀를 극하며, 고향을 떠나 분주하다. 심성이 음흉하고 표독하다.
陷者, 主凶險波折疾病多災難及刑剋, 心性凶暴多思, 奔波勞碌, 妻子且不能早配, 祖産無靠, 事業多成多敗.
꺼진 자는 주로 흉험하고, 파란과 좌절을 겪으며, 질병과 재난이 많아 형극이 따른다. 심성은 흉폭하고 생각이 많으며 수고롭고 부산스럽게 다닌다. 처자 또한 일찍 만나지 못하고, 조상의 유산을 지키지 못하며, 하는 사업마다 망한다.
龍陽豊滿--主得賢美之妻, 如氣貫頂者, 身體健康少病, 胆大果斷, 心性爽直,
용양골이 풍만한 자는 주로 현명한 미인의 처를 얻는다. 용양골이 정수리까지 꿰올라간 자는 신체가 건강하고 병이 적으며, 담력이 크고, 과단성이 있으며, 성정이 명백하고 정직하다.
露者--(似腫也) 主破相或刑剋, 孤相也.
종기처럼 들어난 자는 반드시 좋은 상이 아니며, 혹은 형극이 있는 고독한 상이다.
陷者--胆小刑剋, 六親難靠, 體弱多病, 主剋妻或招不美不賢之妻, 常遇小人妒忌. 離祖離鄕奔走勞碌之相也.
꺼진자는 담력이 작아 형극이 있으며, 육친과 친하지 않고, 체력이 약해 병이 많다. 주로 처를 극하고, 혹은 아름답지 않고, 현명하지 않은 처와 결혼한다. 항상 시기 질투하는 소인배를 만나고, 조상의 종묘와 고향을 떠나 분주한 노록지상이다.
* 노록지상 : 한 평생 고생하였는데도 남은 것이 아무것도 없는 상
後陽豊滿--主中老運佳, 得享遐齡, 子孫榮貴.
후양골이 풍만하면 주로 중년과 노년의 운이 좋고, 나이가 들수록 향화를 누리며, 자손이 영화롭고 귀하다.
露者--主心性反常, 爲人奸猾亦主不忠, 刑剋孤壽, 若有肉包者, 必主財壽尤隆也.
들어난 자는 주로 심성이 평범하지 않고, 사람됨이 간교하고 교활하며, 또한 주로 불충[불성실]하고, 갖은 형극을 겪으며 고독하게 오래 산다. 만약 살점이 잘 감싸면 반드시 재물과 수명이 더욱 융성해 진다.
陷者--主夭折多病, 中老年運敗, 子孫少而不貴, [東北人不在此限]
꺼진 자는 주로 요절하거나 병이 많고, 중년과 노년에 운이 좋지 않고, 자손이 적으며 귀하지 않다. [동북인은 이런 제한에 들지 않는다.]
靈陽豊滿--主壽年極高, 富貴必有, 妻榮子孝,
영양골이 풍만하면 주로 수명이 지극히 길고, 부귀가 반드시 있으며, 부인은 영화롭으며, 자손의 효도를 받는다.
露者--主孤苦貧賤, 性暴心强.
들어난 자는 주로 고독하며, 고생스럽고, 가난하며, 천하다. 성정이 포악하고 심성이 완강하다.
陷者--主奸狡夭折少中年大敗, 刑妻剋子, 六親無靠, 離鄕奔走.
꺼진 자는 주로 간교하고, 단명하며, 소년과 중년에 크게 실패한다. 처자를 형극하고, 육친과 친하지 않으며, 고향을 떠나 분주하게 살아간다.
柱陽豊滿--主逢凶化吉, 中老年大富, 壽旣高妻亦榮, 此人必得橫財. 肉包者--亦主財.
주양골이 풍만하면 주로 흉화한 일을 만나도 길하게 변화하며, 중년과 노년에 큰 부자가 되고, 수명은 이미 길며, 처 또한 영화롭다. 이런 사람은 반드시 횡재를 얻으며, 살점이 잘 감싸면 또한 재력이 있다.
露骨者--主孤獨性情反復無常.
뼈가 들어난 자는 주로 고독하며, 성정이 평범하지 않아 같은 일을 여러 번 반복한다.
陷者--主多疾病, 萬事無成, 奔波勞碌, 必無大壽, 乃孤苦之相也.
꺼진 자는 주로 질병이 많고, 모든 일이 이뤄지지 않으며, 수고롭게 분주하고, 반드시 장수할 수 없는 고고지상이다.
* 孤苦之相 : 고독하고 가난한 상.
察諸陽氣勢, 應驗凶吉者, 宜詳察各部配合而觀, 始爲驗也.
모든 양의 기세를 살펴 길흉을 경험한 자는 각 부위의 배합을 상세히 살펴봄이 마땅하며, 비로소 증험하였다 할 수 있다.
例如後陽不好, 顴鼻縱然好者而運不發, 待至鼻準運方發.
예를 들어 후양골이 좋지 않으면 관골과 코가 설령 좋다고 해도 운이 일어나지 않으며, 준두에 이르러 바야흐로 운이 일어난다.
靈陽不好, 顴好, 蘭台, 廷尉亦好, 此運難發是也.
영양골이 좋지 않다면 관골이 좋고, 난대 정위 또한 좋다해도 이 운은 일어나기 어려운 것이다.
면부음양결
일중추천 1조회 55611.01.05 16:37댓글 2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人之陰陽者, 非指某一部份而言也,
사람의 음양이란 어느 한 부분만 가리켜 말하는 것이 아니다.
反者爲陽, 覆者爲陰. 天有, 陰陽之氣, 人有男女之別,
反[볼록 한] 것은 양이고, 覆[오목 한] 것은 음이며, 하늘에는 음양의 기운이 있고, 사람에는 남녀의 구별이 있다.
男人全體是陰, 生殖器爲陽, 女人周身純陽, 下部一點眞陰. 又曰--骨爲陽, 肉爲陰,
남자는 전체가 음이고, 생식기가 양이며, 여자는 온 몸이 순수한 양이며, 하부의 한 곳만 진정한 음이 있다. 또한 이르되 뼈는 양이고, 살은 음이다.
面左爲陽, 面右爲陰, 面前爲陽, 面後爲陰, 面上爲陽, 面下爲陰, 體前爲陽, 體後爲陰,
얼굴의 왼쪽은 양이고, 얼굴의 오른쪽은 음이며, 얼굴의 앞은 양이고, 얼굴의 뒤는 음이다. 얼굴의 위는 양이고, 얼굴의 아래는 음이다. 몸의 앞은 양이고, 몸의 뒤는 음이다.
眼上爲陽, 眼下爲陰, 左眼爲陽, 右眼爲陰,
눈의 위는 양이고, 눈의 아래는 음이며, 왼쪽 눈은 양이고, 오른쪽 눈은 음이다.
面骨凸顯處爲陽, 面部凹暗處爲陰,
얼굴의 뼈가 튀어나와 들어난 곳은 양이 되며, 얼굴의 부분 중에 들어가고 어두운 곳은 음이 된다.
陰者氣藏形而下, 陽者氣露形而上,
음이란 기를 형체 아래 감추고, 양이란 기를 형체 위로 들어낸다.
陰性宜正, 陽性宜和,
음의 성정은 단정한 것을 마땅히 여기고, 양의 성정은 온화한 것을 마땅하게 여긴다.
陰本趨柔, 陽本趨剛,
음은 본래 부드러움을 쫓고, 양은 본래 강함을 쫓는다.
陰陽不可不和不順, 和者氣舒骨正, 順者肉均色潤, 乃福壽之相也,
음양은 온화하고 순하지 않으면 안 되며, 온화한 것은 기가 바른 뼈에서 뻗어 나오고, 순한 것은 살비듬에서 윤택한 색이 고루게 나타난 것이다. 이는 복수지상이다.
* 복수지상 : 다복하고 장수를 누리는 상.
陰陽如不和順, 骨必露必斜, 或陰盛陽衰 (肉浮腫, 骨少是也) 或陽盛陰弱, (骨露肉少是也)
음양이 온화하고 순하지 않는 것은 뼈가 반드시 들어나고, 삐뚤어지며, 혹은 음이 왕성하여 양이 쇠하거나,(살이 혹처럼 부풀고, 뼈는 적은 것이다) 혹은 양이 왕성하여 음이 쇠약한 것이다.(뼈가 들어나 사이 적은 것이다)
眼型不正亦同論. 均非美相, 凶險不可幸免也.
눈의 모양이 바르지 않거나 균형이 맞지 않은 상은 흉험하여 요행으로 면할 수 없다.
* 역동론 : 해석 미흡
(甲)子午線左爲陽面.
(갑) 자오선을 중심으로 왼쪽은 양면이 된다.
(乙)子午線右爲陰面.
(을) 자오선을 중심으로 오른쪽은 음면이 된다.
(甲)卯酉線上爲陽面.
(갑) 묘유선을 중심으로 위는 양면이 되고,
(乙)卯酉線下爲陰面.
(을) 묘유선을 중심으로 아래는 음면이 된다.
(甲)左眼爲陽.
(갑) 왼쪽 눈은 양이 되고,
(乙)右眼爲陰.
(을) 오른쪽 눈은 음이 된다.
(一)甲陽,,名露三陽. 太陽, 正陽, 朝陽, 是也
(일) 갑양은 삼양의 들어난 명칭이고, 태양, 정양, 조양이라 한다.
(二)甲陰--名爲顧陰.
(이) 갑음은 고음이라 이름한다.
(三)眼上爲陽. 眼下爲陰.
(삼) 눈의 위는 양이 되고, 눈의 아래는 음이 된다.
(四)左眼下爲三陽. 太陽中陽少陽. 右眼下爲三陰. 太陰中陰少陰.
(사) 왼쪽 눈 아래를 삼양이라 하고, 태양, 중양, 소양이며, 오른쪽 눈 아래를 삼음이라 하고, 태음, 중음, 소음이다.
一 面前爲陽.
일 얼굴의 앞을 양이 되고,
二 面後爲陰.
이 얼굴의 뒤를 음이 된다.
相配
垂珠配鼻梁, 貴壽福榮相,
수주와 비량이 배합이 되면 귀하고, 장수하며, 복과 영화의 상이다.
耳厚眼配秀, 聰明意長揚,
귀가 두터운 것과 눈의 수려함과 배합이 되면 총명하고 뜻이 멀리 드날린다.
口正鼻直豊, 多見富貴翁,
입이 바르고, 코가 반듯하며 풍대하면 부귀를 누리는 노인을 많이 볼 수 있다.
舌長唇配正, 辦才理氣通,
혀가 길고, 바른 입술과 배합이 되면 판단능력이 있으며, 이치에 능히 통한다.
眼黑配唇紅, 學問多成功,
눈이 검고, 붉은 입술과 배합이 되면 학문으로 많이 성공한다.
眉秀眼配秀, 神氣未可量.
눈썹이 수려하고, 수려한 눈과 배합이 되면 신기(정신)을 헤아리기 어렵다.
相反 : 상반
耳大唇若薄, 男女定小福,
귀는 큰데, 입이 만약 얇으면 남녀 모두 복이 작다.
唇大耳若小, 問子多零落,
입술은 큰데, 귀가 만약 작아서 아들을 묻어보면 대부분 후사가 전혀 없다.
* 다영락 : 多 : 대부분, 많이. 零落 : 후사가 잇지 못한다.
鼻大眼若小, 有錢壽必夭,
코는 큰데, 눈이 만약 작으면 돈은 있으나 수명이 반드시 짧다.
耳小若眼大, 雖富容易了,
귀는 작은데 만약 눈이 크다면 비록 부자라도 쉽게 잃어버린다.
耳大眼若小, 前蹄欠後瓜,
귀는 큰데, 눈이 만약 작으면 처음에는 발굽에 흠이 있지만 뒤에는 과시(瓜時)한다.
* 전제흠 : 초년에는 과거에 합격하기에 부족하여 어려움이 있지만
* 후과 : 말년에 벼슬의 임기를 다하여 고향으로 물러나 게 된다.
鼻小舌若大, 一事煩不了.
코는 작은데, 혀가 만약 길면 모든 일에 번뇌가 끊이지 않는다.
음양
일중추천 2조회 41811.01.26 20:35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陽爲男, 陰爲女, 此男女之陰陽也.
양은 남자가 되고, 음은 여자가 된다. 이는 남녀의 음양이다.
男女之陰陽, 固然有定,
남녀의 음양은 당연히 정해져 있는 것이다.
然則所謂陰陽者, 不論男女相中,
그렇다면 소위 음양이라는 것은 남녀의 상만을 론하는 것이 아니고,
亦有形相之陰陽, 及性格, 氣色, 聲音, 擧動, 思想, 有形, 無形, 無一不有陰陽.
또한 형사의 음양이 있고, 이에 성격, 기색, 음성, 행동거지, 사상, 유형, 무형, 하나라도 음양이 아닌 것이 없다.
故男人, 雖固屬陽, 必須有陰, 以和之.
고로 남인은 비록 진실로 양에 속하지만 반드시 음이 있어 온화함으로써 함이 있다.
女人雖固屬陰, 必須有陽, 以資之.
여인은 비록 진실로 음에 속하지만 반드시 양이 있어 자원으로써 함이 있다.
庶幾男有剛氣, 柔情, 相濟之美.
거의 남자는 강한 기운 속에 온화한 정이 있어서 상제의 미라 한다.
* 상제지미 : 강한 양기와 온화한 음기가 서로 섞여 있는 미.
女有貞烈, 和順, 相須之德.
여자는 곧고 강렬함 속에 온순함이 있어서 상수지덕이라 한다.
* 상수지덕 : 여자로서 본래 갖추어야 할 덕.
不然男已屬陽, 若無陰以和之. 則亢陽無制.
그렇지 않으면 남자는 이미 양에 속하지만 만약 온화함으로써 음이 전혀 없다면 즉 항양의 제약이 없는 것이다.
女已屬陰, 若無陽以資之, 則孤陰無化.
여자는 이미 음에 속하지만 만약 자원으로써 양이 전혀 없다면 즉 고음의 변화가 없는 것이다.
而因之所謂, 起居進退, 日常生活, 無所依據矣.
그러한 연유로 인하여 소위 기거, 진퇴 등의 일상생활에 의거할 바가 없는 것이다.
是故陽中喜陰者, 不宜陰氣太盛,
이런 고로 양 가운데 음이 있는 것을 기뻐하고, 음기가 지나치게 왕성한 것은 마땅치 않다.
陰太盛者, 謂之陽差.
음이 태성한 것은 양차라 한다.
陰中含陽者, 不宜陽氣太過,
음 가운데 양을 머금고 있는 것을 마땅히 여기고, 양기가 지나치게 넘치는 것을 꺼린다.
陽太過者, 謂之陰錯.
양이 태과한 것을 음착이라 한다.
玆將陰陽六格, 分釋於此.
이에 장차 음양의 여섯 격을 나누어 해석하였다.
苟能熟習, 吟味玩索, 而有得焉.
진실로 능히 익숙하게 연습하여 음미를 하고 완전히 가릴 줄 알게 되면 음양을 얻게 되는 것이다.
양화
일중추천 1조회 43411.02.08 14:17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頭圓頂平, 頭略有角,
머리는 둥글고, 정수리는 평평해야 하며, 두상에 약간의 각이 있어야 한다.
面略方形, 額有圓骨,
얼굴은 약간 모진 모양이어야 하며, 이마는 뼈가 둥글어야 한다.
五岳隱起, 山根託印,
오악은 은근히 일어나야 하며, 산근은 인당에 의탁해 있어야 한다.
眉高有勢, 眉略有角, 眉毛稍稍向上,
눈썹이 기세 있게 높아야 하며, 눈썹이 살‘짝 각이 있어야 하고, 눈썹의 털 하나 하나가 위로 향해야 한다.
眼長含光, 聲喨韻淸, 面色和霽,
눈이 긴고, 빛을 머금고 있어야 하며, 음성이 맑게 울려야 하고, 얼굴의 기색은 온화하고 밝게 개어있는 듯해야 한다.
言語緩急有情, 思想豁達,
언어에는 완급에 따라 정[힘]이 있어야 하고, 생각과 사상은 활달해야 한다.
臨事果斷, 處事光明,
일에 임해서는 과감하게 판단해야 하며, 일에 처해서는 밝게 빛나야 한다.
行藏從容, 不威而嚴.
행하고 멈추는데 침착해야 하고, [태도에] 위엄이 있지 않으면 엄숙해야 한다.
음덕
일중추천 3조회 59811.02.17 11:55댓글 2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頭圓頂平, 面略方而圓,
머리는 둥글고, 정수리가 평평해야 하며, 얼굴은 약간 모진 듯 둥글어야 한다.
五岳略帶丸味, 山根有勢,
오악은 살짝 둥근 맛이 있어야 하고, 산근은 기세가 있어야 한다.
印堂平滿, 眉略彎, 眼略長,
인당은 평만해야 하고, 눈썹은 약간 굽어야 하며, 눈은 살짝 길어야 한다.
聲略細而似揚, 言語徐而不浸,
음성은 약간 가는 듯하고, [점차] 성량이 올라가야 하며, 언어는 느린듯하지만 가라앉지 않아야 한다.
思想緩而不冷泛, 處事溫柔,
생각과 사상은 느긋하지만 냉정하고, 번잡스럽지 않아야 하며, 일에 처해서는 따뜻하고 부드러워야 한다.
面色和謁, 一見令人可敬.
얼굴이 온화한 기색으로 [어른을] 알현하면 한번 보는 순간 사람들도 가히 존경심이 든다.
항양
일중추천 1조회 45211.02.24 11:49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頭圓頂尖, 面丸凸起, 五岳丸帶尖味,
머리가 둥글고, 정수리가 뾰족하며, 오악이 둥근듯 뾰족한 맛이 있다.
眉促而灣, 或短而勢向上,
눈썹이 짧은듯 굽어 있고, 혹은 짧지만 기세가 위로 향해 있다.
眼露流光, 耳尖而縱,
눈의 빛이 흐르는듯 들어나고, 귀가 뾰족하게 쫑긋 서 있다.
聲大而粗, 或聲破而烈,
음성이 크고 거칠며, 혹은 음성이 깨진듯하고 맹렬하다.
性急而燥, 處事粗略,
성격이 참을성 없이 조급하고, 일처리는 약간 대충한다.
不慮前, 不顧後,
일을 하기 전에는 걱정이 없다가 일이 끝난 후에는 돌아보지도 않는다.
令人一見, 知其暴而識其簡,
이런 사람을 한 번 보면 그 포악함을 알고, 그 간단하고 단순함을 알 수 있다.
或頭小面大, 仰首輕浮等之大槪也.
혹 머리가 작고, 얼굴이 크며, 머리을 들고, 가벼이 들뜨는 등이 대부분 항양에 해당한다.
孤陰
頭面略帶方形, 或頭大面小,
머리와 얼굴이 살짝 모진 모양이고, 혹은 머리는 큰데, 얼굴이 작다.
正面如平, 側視中凹,
정면에서는 평평한듯한데, 옆면에서 보면 가운데가 움푹 들어갔다.
眼深眉低, 或平而粗,
눈이 깊고, 눈썹이 낮으며, 혹은 눈은 평평한데, 눈썹이 거칠다.
毫濃而促, 長大壓眼,
눈썹의 털이 짙고 짧으며, 눈썹의 털이 길고 크면 눈을 압박하는 듯 하다.
鬚鬢深濃,
수염과 빈발이 농탁하다.
聲暗內喉, 語調緩中有刺, 或急而隱斷,
음성이 어둡고, 목구멍으로 기어들어가는 듯 하며, 언어가 조화롭고 느긋한 가운데 찌르는듯 하고, 혹은 말이 급히 하다가 은근히 끊어지기도 한다.
面色陰鬱, 處事過慮,
얼굴의 기색이 그늘지고 우울하게 보이며, 일처리 하는데 지나치게 걱정을 한다.
令人一見知其爲陰險, 執拗殘忍, 無化者是也.
이러한 사람을 한 번 보면 그 음험을 알 수 있고, 집요하며, 잔인함이 변하지 않는 자가 고음에 해당한다.
양차음착
일중추천 1조회 85311.03.15 21:32댓글 1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頭圓屬陽, 面方屬陰, 前面屬陽, 後腦屬陰,
머리가 둥근 것은 양에 속하고, 얼굴이 모진 것은 음에 속한다. 전면은 양에 속하고, 뒷통수는 음에 속한다.
頭大, 面大, 頭大, 面小, 前大, 後小, 前小, 後大, 此頭面差也.
머리가 크면 얼굴이 크고, 머리가 크면 얼굴이 작고, 앞면이 크면 뒷통수가 작고, 앞면이 작으면 뒷통수가 큰 것이 이것이 머리와 얼굴의 차이를 양차라 한다.
頭方屬陰, 面圓屬陽, 前後比差, 太過謂之陰錯也.
머리가 모지면 음에 속하고, 얼굴이 둥글면 양에 속하며, 전면과 뒷통수를 비교하여 차이가 지나치게 나면 이를 음착이라 한다.
面凸屬陽, 凹者屬陰, 四嶽起而中嶽凹, 亦謂陽差.
얼굴이 돌출하면 양에 속하고, 얼굴이 움푹 꺼지면 음에 속한다. 사악이 모두 웅장하게 일어났는데 중악만 움푹 꺼지면 역시 양차라 한다.
四嶽凹陷, 尖削, 而中嶽獨凸, 而高, 亦謂陰錯.
사악이 요함하고, 뾰족하며 깎인듯 하고, 중악만 돌출하여 높으면 역시 음착이라 한다.
如有骨無肉, 露眼無眉, 人大聲小, 亦謂陽差.
만약 뼈는 있는데 살이 없고, 눈은 들어났는데 눈썹이 없으며, 사람은 큰데 음성이 작으면 역시 양차라 한다.
有肉無骨, 眉重壓眼, 髮際低, 而天倉夾, 鬚鬢重而聲韻焦, 亦謂陰錯.
살은 있는데 뼈가 없고, 눈썹은 짙은데 눈을 압박하며, 발제는 낮아 천창까지 이르고, 수염과 빈발이 짙고, 음성이 매마르면 역시 음착이라 한다.
面雖大而色暗, 身雖男而步斜, 嬌娜如婦, 凡男體女行. 亦謂陽差.
얼굴은 비록 크지만 기색이 어둡고, 몸은 비록 남성이지만 걸음이 느려서 아리따운 부인같으며, 평범한 남자 체구에 여성처럼 행동하면 역시 양차라 한다.
女體男態者, 亦謂陰錯.
여자의 몸으로 남자의 행태를 하면 또한 음착이라 한다.
然則陽差陰錯, 最爲複雜, 而相無全吉, 世少完人.
그렇다면 양차와 음착이 가장 복잡하고, 상법에서 완전히 길한 것이 없으니 세상 사람들이 완전한 사람은 적다.
陽差陰錯者, 最多, 故相之爲難,
양차와 음착이란 가장 많은 고로 상법에서 어렵다고 한다.
難在分別形狀, 況有陽相而懷陰行, 陰相而作陽擧者哉.
형상을 분별하기 어려운데 하물며 양의 상이 음의 행동을 하거나 음의 상이 양처럼 행동을 하면 [어찌 상을 보겠는가?]
本篇已得捷經, 折衷綱領, 立陽差陰錯, 二法四例于後.
본 책에서 이미 첩경을 얻으며, 강령을 절충하였으니 양차와 음착을 세워 이 두 가지 법칙을 네 가지의 예를 뒤에 들어났다.
(一)男固陽, 混女行者, 正陽差.
(일) 남자는 진짜 양인데 여자의 행동이 섞여 있으면 양차의 정의다.
(二)女固陰, 混男態者, 正陰錯.
(이) 여자는 진짜 음인데, 남자의 행태가 섞여 있으면 음착의 정의다.
右二法, 是男女之正陽差陰錯.
위의 두 법칙은 남녀의 양차와 음착의 정법이다.
(一)不論男女, 槪以頭形, 屬天, 以象陽, 而主骨主聲, 故聲開嗓長持有韻者, 爲陽, 是以不論身之大小, 槪以聲喨爲吉,
(일) 남녀를 불론하고, 대개 머리의 형상은 하늘에 속하며 양을 상징하며, 골기와 음성을 주장한다. 고로 음성은 목구멍이 열려 여운이 길게 끄는 자는 양이라 한다. 이로써 신체의 대소를 불론하고, 성량이 길한 것이다.
而聲暗韻短閉焦者爲陰是以身之大小不論, 槪以聲小不喨爲凶, 此爲骨氣之陽差也.
음성이 어둡고, 여운이 짧으며, 막힌듯 메마른 자는 음이 되니 이로써 신체의 대소를 불론하고, 대개 음성이 작고, 울리지 않으면 흉한 것이다. 이는 골기의 양차가 되는 것이다.
(二)不論男女, 槪以面爲衆陽之宗, 而主骨肉儀表, 故五嶽隱起,
(이) 남녀를 불논하고, 대개 얼굴로써 일반적인 양의 근본 되는 것은 주로 골육으로 본보기를 삼으니 고로 오악이 은은하게 일어나야 한다.
鬚眉鬢髮中和爲吉, 凹陷重壓爲凶.
수염, 눈썹, 빈발, 머리카락이 중화를 이루면 길하고, 수염, 눈썹, 빈발, 머리카락이 움푹 꺼지거나 무겁게 압박을 하면 흉하다.
是以陰太盛者, 頭大面小, 後大前小, 髮際低, 眉重眉垂, 鬢重鬚重, 面凹色暗, 天倉夾, 有肉無骨, 槪爲陰錯,
이로써 음이 태서한 것은 머리가 크고 얼굴이 작으며, 뒷통수가 크고 전면이 작고, 발제가 낮으며, 눈썹이 짙고, 눈썹 끝이 쳐지며, 빈발과 수염이 짙고, 얼굴이 오목하며 기색이 어둡고, 천창이 좁으며, 살은 많은데, 뼈가 없는 듯 하면 대개 음착이 된다.
陽氣太過者, 頭小面大, 有骨無肉, 眉少稜露無眉, 露眼, 豁齒結喉, 前大後小, 聳肩, 尖面, 槪爲陽差.
양기가 태과한 것은 머리가 작고 얼굴은 크며, 뼈는 있는데 살이 없고, 눈썹 숱이 적고, 미릉골이 들어나서 눈썹 숱이 없는 듯 하며, 눈이 튀어나오고, 치아와 결후가 넓으며, 전면은 큰데 뒤통수가 작으며, 어깨가 높이 솟고, 얼굴이 뾰족하면 대개 양차가 된다.
(三)身材大而氣魄小, 處事侷促, 忸怩拘牽, 陰險殘忍, 執拗無化, 此陽不能制陰, 謂之陽差.
(삼) 몸의 자질은 큰데 기백이 작고, 일처리가 어수선하며, 부끄러움에 얽매이고, 고집스러움을 바꾸려 하지 않으면 이는 양이 능히 음을 제어할 수 없으니 이를 양차라 한다.
(四)人小而氣魄擴皇無度, 處事簡慢知進不知守, 此陰不能制陽, 謂之陰錯.
(사) 사람은 작은데, 기백이 넓고, 당당함이 헤아릴 수가 없으며, 일처리가 게으르고 대충하고, 나아갈 줄만 알지 지킬 줄은 모르면 이는 음이 능히 양을 제어하지 못하니 이를 음착이라 한다.
右四例中, 聲音之陽差, 氣本丹田應乎骨, 神靈而關壽夭.
위의 네 가지 예문 중에 음성을 양차라 하여 기의 근본인 단전에서 골기로 응하니 수명의 장단과 관련되어 신묘하다.
第二例及前云二法, 關乎六親者, 如陽差仍作陽相, 陰錯仍作陰相,
두 번째 예문의 순서에서 앞에 운문 두 개의 법칙은 육친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양차는 양의 상에서 나온 것이고, 음착은 음의 상에서 나온 것이다.
若夫陽和屬陽, 陰德屬陰, 固爲男女本性,
무릇 양화는 양에 속하고, 음덕은 음에 속하는데, 진실로 남녀의 본성이 되는 것이다.
唯是亢陽反陰, 孤陰反陽, 皆爲極變之例.
오직 항양이 오히려 음이 되고, 고음이 오히려 양이 되니 다 극이 변화한 예문이다.
如男之陽差, 變陰, 女之陰錯, 變陽是也.
남자의 양차가 변화하여 음이 되고, 여자의 음착이 변화하여 양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