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8일 화요일

下阴相法:펌


下阴相法古相書有云:
男性龜頭(含陰莖),以短小者吉,如色再紅潤者,主其人事業有成,娶妻必賢,
子必貴(民俗相法:三寸金,四寸銀,五寸不是人...指沖血時)
男性龜頭(含陰莖)過長(即勃起超過13公分者),主其人生殖機能發達,有色情狂傾向,平生凶多又無子息,不得善終
男性龜頭(含陰莖)過大(即勃起直徑超過4公分者),主人一生勞苦,難有成就
陰毛過長(超過三寸)過硬,毛黑帶黃 好色貪淫 智慧不高 個性不良
無毛或少毛 奇淫少成
毛黑而亮 長度適中 智慧高 體格見狀 生平有成就
毛亂如草 個性不良 子女不良
毛連谷道 一生淫賤 谷道就是肛門
毛捲曲人聰慧
毛直生 人愚昧
毛成到三角 人聰慧
五顏六色 先敗後成
陰囊 堅實 收縮 色黑 多紋 火暖 外型如荔枝核桃 主健康 智慧 個性均佳 一生有成
鬆弛 下墜 色白 無紋 冰冷 難有成就 剋子女 絕嗣
谷道內縮者吉 露或脫肛 一生貧賤促壽(短命吧)
谷到週邊毛多而粗 謂之[淫抄] 主人聰慧但好色 晚年富貴不畏鬼神 不得陰病
谷道毛細 個性優良 一生平順
谷道無毛 健康或個性不良 狡猾好淫又迷信 可異路發展 老卟患 刑剋子女

男性陰莖相法:
紅實: 陰莖的顏色較一般的紅,而且看上去較剛實,代表先天之元氣較清。反映父母的生活環境安好,妻子賢淑和順。妻子多是賢內助,在外亦能幫助丈夫成就立業,而子女也得力,能發達。
白瑩: 陰莖的產色較一般的白,而且看上去較晶瑩如玉,代表先天之元氣不單較清,而且還根基雄厚。這種人的思想通常都奇特突出,聰明機敏而有毅力,有突破的思維和縝密的部署,一般謀劃到的都能成事和成功。亦會容易生子女,而子女亦多有成。
活龜: 龜頭能收能伸,即平常能藏於包皮內,用到時又能伸於包皮外。總之平常的時候是具有收藏性的。這種人大多聰敏靈巧,目光遠大,剛正不屈。容易有成就而出名,而有特別過人之技能。而且也主子女多,而且生活豐足。就算不貴,也會一生衣食無憂。
死龜: 龜頭大而不能收藏,即龜頭平時也外露於包皮外,如何也不能被包皮包裹著。龜的頭不能縮回甲殼內,大多因為龜已死去,所以這類象為死龜。擁有死龜的人,大多是一般勞動階層和社會低下階層,要靠勞力賺錢卻不多。
囊紋: 即是陰囊有皺皮,皺得像核桃殼。如果皺起的紋多,主享大壽。如果囊紋的痕深而露現,這人是聰慧而且思維奇特。如果紋痕少,才智較弱和壽元也較薄。所以一般的正常男人陰囊都會有紋,至於多少和深淺則各異,但幾近無紋而光滑者亦有。如果真是不幸無紋痕,就不早年夭亡,也是一生孤苦之象。
熱精: 其精液溫度較高,而且濃稠。熱精是正常的現象,一般男性都會有的。溫度越高的,主子女會越多,而且子女易於養育。所謂子女越多,暗指精子會較強壯而數量足,容易令女性受孕。而所謂易於養育,是因為男子本身身體狀況不弱,而精子質素好,受孕後發育會易於健全,致孩子出生後的身體也先天地較健康正常。如果男性性事或洩耗過於頻繁,精液溫度也會相對減低,而濃度也會明顯下降,但這不影響本身是熱精的體質。當然,如果房事過度,影響精液濃度和溫度,也會令女性相對地稍難受孕。
冷精: 其精液溫度較低較冷,而且浠淡。冷精是反常的現象,主無子女,而且壽元也弱。如果不是十分冷,只是稍為比正常的冷,亦可以有子 (這裏指自然受孕的情況),但從上條解釋可知,此人的身體狀況先天不佳,其精子質素本身也差,所以生來的孩子也會體質較一般差,容易患病,故稱難養。
獨腎: 即是單一個睾丸。這裏不是指發生意外後,導致割去一個陰囊和睾丸,而是說天生就只有一個。這種人比較少,但卻主富貴有業、田宅廣進,而且兄弟和睦,妻子賢慧,不單無內顧之憂,反而有助力。可惜的是,由於獨腎,子女也不會多,而且本身壽元也稍弱。
陰痣: 在陰莖上有痣或癦。痣跟癦的概念很像,但痣是指突起來的,而癦是平的。如這情況,都主富貴而壽,即使不是也必衣食無憂。在人的身上長痣,大多都不是好的表現,只除了幾個地方,最吉的是腳底心,而在陰部長痣是第二吉的。

女性陰戶相法:
挺角: 陰戶有凸出來的肉,像個鼓角的模樣,又或者肉挺出來像個旋螺。這種女性大多勞苦,卻不能生育。更主少年時無父母依靠,而寄養於親戚家裏。
豐腴: 陰戶豐突肥滿而高的,旺夫又旺子女,而且貞節賢淑。雖然我們不太可能在娶妻之前驗女方私處 (可歎現在的道德標準下,似乎卻是輕易可驗,不管有沒有意迎娶),可古代選妃時,候選佳麗必須先行被驗。
陰痣: 同男性一樣。

女性陰毛相法:
黃毛: 陰部的恥毛長得黃如金絲,當然指的是中國人的,不是歐美人。主聰敏而能發大貴。而這種人每多剛愎自用和淫蕩,卻又長壽。性格上心狠手辣而且驕傲。據說漢高祖劉邦的元配呂雉就是黃毛的,但別問如何得知。這種人有大貴至成為皇帝、皇后之象。
紅毛: 陰部的恥毛長得鮮紅得像硃砂色。這也主大貴,而且也是淫亂之象。但紅毛的很不幸,因為多不能善終,死於刑殺或意外。原因是這種人大多心胸狹隘又急燥,雖然聰明機敏,但偏見主觀。性格又任性而忌才,每多招惹禍端。據聞唐朝的楊貴妃是紅毛的 (莫非吃荔枝吃得太多?)。
暗滯: 陰毛暗啞無光澤,觸手枯滯而不潤滑。主貧苦勞動而處低下階層,兼之刑夫剋子。自己已是勞碌之命,還要多受累受制,潦倒之象。
拳珠: 指陰毛捲曲,而且捲曲得像一個一個小圓珠般,當然也不是指非洲黑人,而是指中國人有此拳珠的陰毛者。這種人能發大貴,而且操持一國之權,英明過人,志向遠大,才智卓絕,也主長壽,但卻剛愎自用,兼之淫蕩。又據聞,唐朝武則天的陰毛是拳珠的。
柔細: 陰毛柔潤而幼細。主女性賢淑溫順,仁慈善良,兼有才能,能幫助丈夫,又旺子女。這種女性在政界是女強人,才智聰穎又敢作敢為,但在家中卻是個嫻靜貞潔的妻子。
粗濃: 陰毛粗而且濃密。主長壽但好色。女性有粗濃陰毛旺子女,但會刑夫,可能有再嫁甚或三嫁之命,這因先天元氣粗濁。即使貞節之女,亦會刑夫,獨守空房。
不樹: 這是指陰部完全沒有陰毛,男的稱青龍,女有此稱白虎。這種沒有陰毛的女性,不是淫亂,就是短命,而以前者佔多數。除了淫亂或短命,還要大多一生貧賤,而即使偶有富貴的,也多有其他缺憾。從性格上講,大凡無陰毛者,都個性乖僻、心胸狹窄。
五色: 陰毛有五色合拼,而所謂五色,大概是黑、黃、紫、紅、綠等。女性有五色陰毛,會先貧賤而後來得貴,主要是因別人的寵愛而得貴,衣食無憂。這種五色毛如長在男性下陰,大多是草莽英雄,因時勢被逼落草,但後來在異路功名上有成就而發達。(後天染色的無效)
穀道亂毛: 陰毛長至肛門,且又多又亂,不論男女,均主聰明但好淫。
穀道細毛: 陰毛長至肛門,但均柔細得若有若無的,主心性和平守禮,大多衣祿厚,運勢吉祥。
穀道無毛: 肛門前完全無陰毛,不單好淫,且不守正義,不依正途而冒陰,在亂世之中會有異路功名,但多不能善終,另外也可能刑剋家人,子女也少。
大體上陰毛比正常多而柔細的,主淫而貴;但過少的話,也是淫,但賤。如陰毛長至肛門前,就不算賤。

乳房相法 (女性為主):
黑實: 乳頭顏色較深,看上去是較堅實,而不是軟軟的,即起碼也會突出。這種女性主有子女,而長壽。
紅嫩: 乳頭顏色紅嫰。對於女性有紅嫩如粉紅色的乳頭,似乎是不少男士都趨之若騖。但原來這種乳頭色系的女性,古時大多是傭僕侍婢,而多刑剋且不長壽。至於現代,或多是平凡的基層工作者。
側痣: 乳頭旁邊有痣,主子女聰敏,而且有成就。
仰頭: 乳頭向上仰起,即一般乳房較挺而能使乳頭向上。主女子多,而本身能立業有成就。
俯頭: 乳頭向下朝,通常都是乳房不堅挺而下墜而使乳頭朝下。主子女身體質素弱,自己也比較容易有憂慮抑鬱的精神問題。
堅硬: 乳頭在平時而非只在性奮時也比較堅硬有力,這種女性壽根很厚,衣祿不愁而且多生子。(其實生子或生女跟女性的身體狀況很有關係)
乳毫: 即是乳房上的汗毛的多少。只有三幾根的為吉,主性情平和,而子女勤奮有能。如汗毛多而粗,主性情剛燥,生出來的子女也較愚拙,但當然,如果結合前者吉的乳頭,就必須掂量權衡,不能自己認定是不好。
四乳: 即有四個乳房。男主顯貴和有智有勇,大多好酒而貪圖淫樂,傳說周文王有四乳,但現在都被看成一種病吧。女子有四乳,主長壽而且子女顯貴,但會刑剋丈夫。
三乳: 有三個乳房。男女皆主刑剋而有貴祿。男的大多淫慾而有偏好,但亦有一技之長以成名。女的靈巧但性情急燥,刑夫但旺子。古代算是奇相之一,但現代的說法是多乳症,是在胎內發育時,本應退化的副乳腺沒有退化,隨著年歲發育而成長出多乳來。

腋毛相法:
醍山按: 腋窩上有極泉穴,通手少陰心經,該穴是一個解鬱的大穴。如果經常鬱悶的話,腋窩下可能會隆起來,是心氣鬱滯不暢之象。而相書補充說腋窩為肺絡之正系,緣因以《黃帝內經》云肺主皮毛,而肺又主憂思,故其實是說腋窩之毛髮生長繫於肺經,非言腋窩,亦非因手臂前外側通手太陰肺經之故。
無毛: 凡男子無腋毛,七成機會都會凶死,即非死於自然。當然無毛不是指後天把毛刮去,但如現代美容科技將腋毛囊根傷害,而致永久性脫毛,亦可能對腋下宣洩系統有影響,從而影響了經絡的通暢,再影響了精神狀況。這方面有待學理的證明,但對於用科技將腋下汗腺永久切除的,就確實有影響。而三成的是憂愁剛燥而死的,就是心裏鬱結有病,這種大多是死於癌症。女子無腋毛,即使富貴,亦會淫亂私奔,以致名節敗壞,最後服毒自殺。但大多都是貧苦而流落無依,最終致頑疾困苦,遺恨終身。
粗濃: 男子腋毛粗而且濃密,性情急燥而恃勇,多勞心勞力但心神又反覆不定,常有懊悔。女子有此的話,性情孤僻而急燥,刑夫再嫁,否則也孤宿守寡。
柔細: 男子腋毛柔潤而纖細,個性聰敏而謹慎,心性清閒,故人也易得平安。女子有此,則和順賢淑,旺夫而衣祿足。
狐臭: 女子有腋毛但也有狐臭,表現是淫亂下賤,三嫁也不休 (當然要嫁得出才行),輕則自身也刑剋勞苦,惡病不斷。
汗香: 女子有腋毛而天然有汗香味,即有些女人天然有一種體香味散發,就算出了汗也是所謂香汗淋漓的,是大貴之象,而子女也顯貴。性情聰明機敏,兼且賢良淑德。古時選妃要求佳麗要有汗香。
其實從西醫的角度來講,體毛的多寡、粗幼等,跟荷爾蒙分泌的影響有關,而這也直接影響人的情緒,更左右一個人的性格。所以古相法並非迷信和危言聳聽,在現今的醫學和心理學還是可體現出來的。

2016년 10월 12일 수요일

論氣色

論氣色             臺灣蕭湘居士
氣色出沒之觀看法則:
氣色分類雖多,一般約可分為十種,即青、黃、白、黑、紅、赤、紫、暗、滯、朦諸色,各色所俱之特性分述如下:
青色:主驚恐、憂慮、煩惱、忿怒、疲勞等。
黃色:主歡愉、進財、喜慶、升遷、功勳等。
白色:主憂愁、破耗、死亡、孝服、刑克等。
黑色:主疾病、災禍、破耗、敗業、刑克等。
紅色:主歡愉、情欲、喜慶、進財、創業等。
赤色:主災難、火厄、血光、官非、別離等。
紫色:主大悅、大財、榮升、見之大吉大利。
暗滯朦色:此三種本來無色,不過發于皮下,現于皮上而已,其出現部位多在額上眼下雙耳手掌等處,其休咎主運程蹇滯及損耗,凡見此三色,主時運不遂切宜保守忍耐。
以上十色,看是凶多吉少,然又有華明與枯暗之別。華明者如紙張之表面,枯暗者如紙張之反面,精粗有別,細看便知。無論何色,如枯暗而不華明,雖紫色亦不可言吉,反之,如華明而不枯暗,雖赤黑色亦不可言凶,吾人應慎重細觀方不致有誤,否則,失之毫釐,差之千里矣。惟獨黃色一項,雖不華明亦不主凶(但口唇等少數部位例外),就時運而言,大都處於平平之境遇。若以色之浮沉深淺而論,則浮主未來,定主現在,沉主過去,深者應吉凶之期近,淺者應吉凶之期遠。至於面上小瘡小皰,亦與氣色有密切關係,應一併觀看辨別之。下文詳述七種主要氣色出沒之觀看法則。
青氣色:
青色發於肝經,五行屬木,其令為春,主憂驚。青色初起之時,隱隱然如雲霧,漸漸似銅青,主憂事將至。青色將盛之時,如草木初生,又似瓜果之色,此時憂緊而重,惟色輕者主外憂,色重者主內憂,色濁者主遠憂。青色將去之時,如碧雲之青,霏霏然浮散如雲行,此時憂事已鮮,青色全散者主憂事已過。青色最要青而明潤並有生氣者是為青之正色,發於春季不忌,餘則不論何時均主不吉。若青中帶黃夾系合而為一者謂之滑色,青淡而有浮光青白夾雜合而為一色者謂之膩色,滑色膩色均為青色之別種亦主不吉。
黃氣色:
黃氣色發於脾經,五行屬土,旺於四季,主喜慶。黃色初起之時,如蠶吐絲,主喜慶將至。黃色將盛之時,如蠶束繭,或狀似馬尾色如亮蠟,主喜慶已至。黃色將去之時,如柳絲博聚斑駁,主喜慶已過。黃色雖旺於四季,但不宜發於唇口。黃色活潤光亮而又貼肉不浮者是為黃之正色主吉,如凝滯泥汙則不論何時亦主凶。若黃中帶黑停滯不潤如油垢者謂之暗色,暗色為黃色之別種主不吉。
白氣色:
白色發於肺經,五行屬金,其令為秋,主哭事。白色初起之時,如白塵拂柱,主哭事將至。白色將盛之時,如膩粉散點。或狀似白紙,主哭事已至。白色將去之時,如灰垢之散,主哭事已過。又白色光潤瑩潔者為白之正色,秋冬發於地閣者不忌並主吉,餘者不論何時均主凶。若白滯而漫內白外膩者謂之慘色,慘色為白色之別種主凶。
黑氣色:
黑色發於腎經,五行屬水,其令為冬,主災疾。黑色初起之時,如烏鴉之尾,主災疾將至。黑色將盛之時,如黑色得膏,主災疾已至。黑色將去之時,如落垢末,主災疾已過,又黑色中透光彩似有光芒顯露者為黑之正色,發於冬令者不忌反主吉,餘者不論發于何時不拘何宮均主凶。若其色昏沉如地灰之濕者為晦色,晦色為黑色之別種主運程蹇滯,如晦色似塵封者(或稱黑滯色)則為禍既重又久矣。
紅氣色:
紅色發於心經,五行屬火,其令為夏,主財喜。紅色多在皮外膜內,其色紅活焰焰,動有光而勢大,點滴分明,如豆如米,絲絲明潤,內外俱應者為紅之正色,不論發于何季均主吉,惟春夏最宜。如紅色連成一片,散亂而浮或不成點滴者均非善色,若成片或色似赤斑疹狀者反主凶。又紅色與赤紫二色之分辨方法,紅之淺者為紅色,紅之深者(即紅中帶黑之謂)為赤色,紅之暗者(即暗紅或紅上加紅之謂)為紫色。
赤氣色:
赤色乃心經匯合腎經所發,亦即腎水來克心火或心火反悔腎水,紅黑二色浸染而成。赤色為紅色之別種主災凶。赤色初起之時,如火之始焰,主災凶將至。赤色將盛之時,炎炎如絳繪,主災凶已至。赤色將去之時,如連珠累然,主災凶已過。赤色為不吉之色,不論發於何時(夏季微赤不忌)不拘何宮皆主凶。赤色出現有時只侵一二宮,有時運繞五六宮,則為禍最烈,輕者破家敗業,重者喪命亡身。如赤中帶青帶黃為花雜,禍可減半論。如赤中帶鮮紅亮光則主吉,如赤中透出嫩黃亮光則主轉禍為吉,如赤中帶焦黑之色則主大凶矣。另紅色燥烈散亂成片者亦作赤色看。
紫氣色:
紅紫乃骨髓勻合心經所發紅色變成,乃紅色之別種主大吉。紫色初起之時如兔之毫,主吉事將至。紫色將盛之時,如紫色之草,主吉事已至。此色將去之時,如淡煙籠枯木,隱隱然得土木之餘氣胎養。紫色發于皮外膜內,深紅鮮活,不散不焰,隱隱深藏,瑩瑩堅入,微微光亮如紫霞彤雲,猶在肉裏但透出皮外,此乃正紫色。紫色為大吉大利之色,多發于天中天庭印堂三陽三陰等部位,不論四時節令,公職人員定主榮升功勳,庶民亦主進田宅得利權生貴子。但紫色發于水星上下則主驚擾是非。
氣色深淺之辨別方法:
欲知氣色之深淺濃淡,宜先看五嶽四瀆,因氣色先發于嶽瀆,難聚難現,遇吉不到不驟開,遇凶不到不驟發。所以凡事業看岳瀆,可知氣色之深淺濃淡矣。
五行氣色吉凶方位:
青色:青之正色旺在東方主吉,如青色重者則宜往東南方始可轉凶為吉,若往西北方則主有災禍。
黃色:黃之正色方位不拘均主吉,如黃暗色者則應擇火土旺月往火旺之地始可轉凶為吉,北地水旺大忌。
白色:白之正色旺在西方主吉,如白慘色或枯白色則不宜往東方或東南方主凶,應往西方主轉凶為吉。
黑色:黑之正色旺在北方主吉,如黑色重者則不宜再往北方,應往東方或東南方主轉凶為吉。如黑輕黃重則宜往西方為吉。
紅色:紅之正色方位不拘均主吉,如紅色重者應作赤色看,宜往東北水木旺地可轉凶為吉,若往南方火旺之地主災厄難逃。
赤色:赤色一至,應往北方可轉凶為吉,或遠行千里方可免災。
紫色:紫色一至,福自天降,任何方位均主吉。
五行氣色所應日期:
青色:青色在外者應甲乙日,青色在內者應寅卯日。
黃色:正黃色者應戊己日,暗滯色者應醜辰未戌日。
白色:正白色者應壬癸亥子日,慘枯色者應申酉日。
黑色:黑色應七日內,黑氣應一月間。
紅色:紅色應丙丁日,紫色應巳午日。
赤色:赤色光潤者應火旺之日,赤色重者應水旺之日。
五行氣色所應時刻:
醜未戌辰時黃色為正色,
寅卯時青黃為正色,
正午時赤黃為正色,
申酉時白黃為正色,
亥子時黑黃為正色。
犯色不宜行事日期:
赤色忌丙丁火日主行事不利,白色亦忌火日。
紅色忌壬癸水日主行事不利,黑色亦忌水日。
黃色忌甲乙木日主行事不利,青色亦忌木日。
四季月令氣色之觀看法則:
觀看四季月令氣色時,最宜注意之點在方位,即東位宜青不宜暗,南位宜紅(赤)不宜白,西位宜明不宜青,北位宜白不宜紅(赤)。又須注意天倉地庫之有別,倉宜黃潤透紅,庫宜白潤黑潤,此乃定理,反此即有災凶破敗憂驚官非刑克。
春季:春三月東方甲乙木,部位在右顴。青色現旺相也,主先有憂驚後見財喜。紅(赤)色現相生也,主先有口舌後見財喜。白色現囚也,乃金克木,主有牢獄之災。青黃同現者,乃木克土也,主死亡之兆。黑色現,春木忌水多,主災凶破敗。其他部位如三陽青色,男主有災殃,三陰青色,女主有災殃。三陽三陰明潤微紅主有男喜,三陽三陰青潤黃潤者主有女喜,三陰三陰赤黑暗滯者主有產難。又準頭至山根印堂上迄天庭有黃紅光彩者,主榮升遷調進財置產等喜慶。
夏季:夏三月南方丙丁火,部位在額。紅(赤)色現旺相也,主先有口舌後見財喜。黃白二色現相生也,但白色主先吉後凶,黃色主先凶後吉。黑色現囚也,乃水來克火,主災病敗業官非。青色現大凶也,因夏火不宜木來生也,主重病死亡。其他部位如左眼下黑色,男主有疾病,右眼下黑色,女主有疾病。兩眼下及眉內法令有暗晦之色者,主破敗官非。準頭至山根有黃紅光彩者,主百事遂意見財見喜。若準頭至山根現黑色者,主求謀不遂功名無望。年壽黑色,輕者主疾病,重者主死亡。
秋季:秋三月西方庚辛金,部位在左顴。白色現旺相也,主先有哭事後見財喜。黑色現相生也,主先有疾病而後吉。青色現囚也,金木相克主不吉。赤色現大凶主死,因火旺金熔也。其他部位如準頭火焰者主官非破敗。準頭至山根紅黃光彩者主百事遂意官財兩旺。左眼下赤色男主有災殃,右眼下赤色女主有災殃,魚尾黑色主有水厄之憂。山根黑赤昏昧主兄弟病患。腮及口角黑氣主有內臟暗疾防死亡。
冬季:冬三月北方壬癸水,部位在地閣。黑色現者旺相也,主先凶而後吉。青色現相生也,主先驚而後吉。黃赤二色現囚也,黃色乃土克水主凶,赤色乃水火相克凶也。白色現枯者主凶,黑色中透白光者主吉。其他部位如兩顴黑黃主官非破敗。兩眼下赤黑主男女交往不利。山根黑黃色主家宅不吉及用人不利。印堂青黃主百事欠順。印堂黑主水厄及意外災禍。眼下重青主病疾,額有黃色主見財喜。額有青色主孝服官論。額有黑色主防凶災。
四季基氣:
氣色雖分四季觀看,並各有當令之氣色及著重之部位,惟基本氣色乃系黃色,故滿面氣色黃明瑩淨,即使無該季當令氣色仍以吉論,因黃色旺於四季又無位不吉也,但黃色暗滯或昏沉者仍主不吉。
正月:位在寅宮,即虎耳命門歸來法令酒池一帶,喜潤青透光方是正色,主見財見喜,如暗滯不明主欠利。紅 色防火盜,黃色主失脫,黑色主官刑。
二月:位在卯宮,即右眼下右顴奸門一帶,喜潤青透紅黃方是正色,主見財見喜,如一赤一黃或見黑色白色則主災厄。
三月:位在辰宮,即右眉尾天倉驛馬福堂一帶,喜黃潤透紅方是正色,主見財見喜,如白色主孝服,重青主災殃,赤黑色主損財口舌。
四月:位在巳宮,即右眉上輔角月角驛馬福堂天門一帶,喜紅絲光明方是正色,主見財見喜,如暗滯主有災病損財及不利遠行,黑色主死,青有刑險,黃有失脫,白主孝服。
五月:位在午宮,即印堂官祿宮一帶,喜紅紫微赤方是正色,主見財喜貴人。最忌黑色主破敗凶災,其他暗滯青白諸色均主不吉。
六月:位在未宮,即左眉上輔角日角驛馬福堂天門一帶,喜紅絲黃潤方是正色,主見財見喜。如獨黃色主刑克,白色主己身災,青暗主蹇滯。
七月:位在申宮,即左眉尾天倉驛馬福堂一帶,喜黃透白光方是正色,主名利雙得,如紅中帶赤黑青暗色均主災厄蹇滯,微紫主吉。
八月:位在酉宮,即左眼下左顴奸門一帶,喜黃潤深紫方為正色,主家宅平安,如暗黃黑色,主有災破,枯白色主時運不遂,赤色主口舌是非。
九月:位在戌宮,即歸來虎耳命門法令酒池一帶,喜紅黃潤明方為正色,主見財見喜,如見黑色主災,黃外紅內主吉,反之主耗散憂驚。
十月:位在亥宮,即左頤下平口角地庫腮旁一帶,喜白潤透光方為正色,主見財見喜,如見赤色主災,黃色主病亡,白色成點主災病官非刑克,黑青亦主不利。
十一月:位在子宮,即口下地閣一帶,喜白光浮外或黑潤成片方是正色,主百事順意,如見黑色成點主意外災禍損財敗業,黃紅赤暗亦忌,惟不忌青,因一陽將複始也。
十二月:位在醜宮,即右頤下平口角地庫腮邊一帶,喜青黃黑潤主是正色,主營謀多利,如見白色主破敗官非,黃暗不忌,惟忌赤黑滯黃主刑克,醜宮暗色不忌反主吉。
  

麻衣相法


十二宮

一.命宮

命宫者,居两眉之间,山根之上。光明如镜,学问皆通。山根平满,乃主福寿。土星耸直,扶拱财星。眼若分明,财帛丰盈。额如川字,命逢释马,官星果若如斯,必保双全富贵。凹沉必定贫寒,眉接交相成下贱,乱里离乡,又克妻。额窄眉枯,破财钝檀。
诗曰:
眉眼中央是命宫,光明莹净学须通。
若还纹理多这滞,破尽家财及祖宗。
命宫论曰:印堂要明润,主寿长久。眉交者,身命早倾。悬针主破,克妻害子。山岳不宜昏暗,有川字纹者,为将相。平正明润身常吉,得贵人之力。气色青黄虚惊,赤主刑伤,白主丧服哭悲,黑主身亡,红黄主寿安,终身吉兆。

二.财帛

鼻乃财星,位居土宿。截简悬胆,干仓万箱。耸直丰隆,一生财旺。富贵中正不偏,须知永远滔滔。鹰嘴尖峰。破财贫寒。莫教孔仰、主无隔宿之粮。厨灶若空,必是家无所积。
诗曰:
鼻主财星莹若隆,两边厨灶若教空。
仰露家无财与栗,地阁相朝甲柜丰。
财帛宫论曰:天仓、地库、金甲柜、井、灶,总曰财帛官。须要丰满明润,财帛有余,忽然枯削,财帛消乏。有天无地,先富后贫。天薄地丰、始贫终富。天高地厚,富贵满足,荫及子孙。额尖窄狭、一生贫寒。井灶破露,厨无宿食。金甲柜丰,富贵不穷。气色昏黑。主破失财禄,红黄色现,主进财禄。青黄贯鼻、主得横财。二柜丰厚,明润消和,居官而受赏赐。赤主口舌。

三.兄弟

兄弟位居两眉,属罗计。眉长过目,三四兄弟无刑。眉秀而疏。枝干自然端正,有如新月和同水远超群。若是短粗同气、连枝见别。眉环塞眼、雁行必疏,两样眉毛,定须异母。交连黄薄,自丧他乡。旋结回毛。兄弟蛇鼠。
诗曰:
眉为兄弟软径长、兄弟生成四五强。
两角不齐须异母,交连黄簿送他乡。
兄弟宫论曰:兄弟罗计,须要丰蔚,不宜亏陷。长秀则兄弟和睦,短促不足,则有分离孤独。眉有旋毛,兄弟众多狼件不常。眉毛散者、钱财不聚。眉毛逆生。仇兄贼弟。互相妒害,或是异姓同居。眉清有彩,孤腾清高之士。眉毛过目,兄弟和睦。眉毛中断,兄弟分散。浓淡丰盈、义友弟兄。气色青主兄弟斗争。口舌黑白,兄弟伤文。红黄之气。荣贵喜庆。

四.田宅

田宅者,立居两眼、最怕赤脉侵睛。初作破尽家园,到老无粮作蘸。眼如点漆、终身产业荣荣。风日高眉、置税三州五县。阴阳枯骨、莫保田园。火眼水轮,家财倾尽。
诗曰:
眼为田宅主其宫,清秀分明-样同。
若是阴阳枯更露、父母家财总是空。
田宅宫论曰:十星为田宅,主地阁要朝。天庭丰满明润,主田宅进益。低塌昏暗倾欣。主破田宅。若飞走不朝、田宅居无气色青,主官非田宅无成。黑主杖责。白主丁忧。红主成,田宅喜重重、黄明吉昌,谋元不遂,君子加官,即日得升,小人得宠,利见贵人,武职或领兵马、杀气旺者,即行师,主管财赋,或八运司等处,五品至三品,三品至二品,如是详看六品以卜,另作区处。

五.男女

男女者。位居两眼-下。名曰泪堂。三阳平满,儿孙福禄荣昌。隐隐卧蚕,子息还须清贵。泪堂深陷,定为男女无禄。黑痣斜纹,到老儿孙有克。口如吹火,独坐兰房。若是平满人中,难得儿孙送老。
诗曰:
男女三阳起卧蚕,莹然光彩好儿郎。
悬针理乱来侵位,宿债平中不可当。
男女宫论曰:王阴三阳、位虽丰厚、不宜枯陷。左三阳枯,克损男。右三阴枯,克损女。左眼下有卧蚕纹,生贵子。凡男女眼-下无肉者,妨害男女。卧蚕陷者,阴驾少;当绝嗣也。乱纹侵者,主假子及招义女。鱼尾及龙宫黄色环绕,主为阴驾纹见曾怀阴德济于人,必有果报。又云:精寒血竭不华色,男不旺,女不育。若明阳调和,精血敷畅,男女交合,故生成之道不绝。宜推于形象外,当以理言,玄妙自见也。气色青,主产厄。黑白主男女悲哀。红黄主喜至。三阳位红生儿。三阴位青生女。

六.奴仆

奴仆者,位居地阁,重接水星。颊圆丰满,侍立成群。辅弻星朝一呼百诺。口如四字,主呼聚喝散之权。地阁尖斜,受恩深,而反成怨恨。纹纹败陷,奴仆不周。墙壁低倾,恩成仇隙。
诗曰:
奴仆还须地阁丰,水星两角不相容。
若言三处都无应,倾陷纹痕总不同。
奴仆宫论曰:悬壁无亏,奴仆不少。如是枯陷,仆马俱无。气色青主奴马损伤。白黑主仆马坠堕,不宜远行。赤主仆马口舌,损马失财.黄色胜,牛马奴仆自旺,左门右户,排立成行。

七.妻妾

妻妾者,位居鱼尾,号曰奸门。光润无纹,必保妻全。四德丰隆平满,娶妻财帛盈箱。颧星侵天,因妻得禄。奸门深陷,长作新郎。鱼尾纹多,妻防恶死。奸门暗惨,自号生离。黑痣斜纹,外情好而心多淫欲。
诗曰:
奸门光泽保妻宫,财帛盈箱见始终。
若是奸门生暗惨、斜纹黑痣荡淫奔。
妻妾宫论曰:鱼尾须要平满,不宜克陷。丰满则夫贵妻荣,奴仆成行。妇女鱼尾奸门明润、得贵人为夫。女人鼻如悬胆,则主富贵。.缺陷则主防夫,淫乱败家、放荡不旺夫。妇人面如满月,下领丰满,至国母之贵。气色青,则主妻妄忧愁思虑。赤主夫妻口舌。黑白大夫妻男女之悲。红黄色见、主夫妻男女和谐之喜。如有暗昧,主夫妻分离,不然断角少情。

八.疾厄

疾厄者,印堂之下,位居山根。隆如丰满,福禄无穷。连接伏犀,定主文章。莹然光彩,五福惧全,年寿高平,和坞相守。纹痕低陷,连年速疾沉疴,枯骨尖斜,未免终身受苦。气如雾,灾厄缠身。
诗曰:
山根疾厄起平平,一世无灾祸不生。
若值纹痕并枯骨、平生辛苦却难成。
疾厄宫论曰:年寿明润康泰,昏暗疾病至。气色青主忧惊。赤防重灾。白主妻子之悲。黑主身死。红黄紫主喜气之兆也。

九.迁移

迁移者,位居眉角,号曰天仓。丰盈隆满,华彩无忧。鱼层位平,到老得人钦羡,腾腾驿马,须贵游宦四方。额角低陷,到老住场难见。眉连交接,此人破祖离家。天地偏斜,十居九变。生相如此,不在移门,必当改墓。
诗曰:
迁移宫分在天仓,低陷平生少住场。
鱼尾未年不相应,定因游宦却寻常。
迁移宫论曰:边地驿马,山林发际,乃为出入之所,宜明润洁净,利远行,若道暗缺陷,及有黑子,不宜出入,被虎狼惊。气色青,远行主惊失财。白主马仆有失,黑主道路身亡。红黄紫宜获财喜。

十.宫禄

官禄者,位居中正,上合离宫,伏犀贯顶。一生不到讼庭,驿马朝归,官司逻扰。光明莹净,显达超群。额角堂堂,犯着官司贵解。宫痕理破,常招横事。眼如赤鲤,实死徒刑。
诗曰:
官禄荣宫仔细详,山根仓库要相当。
忽然莹净无痕点,定主官荣贵久长。
官禄宫论曰:两眼神光如曙星,龙目凤睛主贵。印堂明润,两耳色白过面,声闻天下,福禄荣显。如陷缺飞走,而无名誉。气色青,主忧疑。赤主口舌是非。白主孝服至。红黄上下有诏书加官进职之喜。

十一.福德

福德者,位居天仓,牵连地阁。五星朝拱,平生福禄滔滔。天地相朝,德行须全五福。额因额窄,须知苦在韧年。额阔颐尖。边否还从晚景。眉高目耸.尤且平平。眉压耳掀,休言福德。
诗曰:
福德天仓地阁圆,五星光照福绵绵。
若还缺陷并尖破、衣食平平更不全。
福德宫论曰:天仓地库为福德宫,须要丰满明润,相朝招重重祖荫、福德永祟。若陷缺不利,浅窄昏暗、灾厄常见,人亡家破,盖因心术损了阴隙,终是勉强,神明不佑。作事行悔,满面春风,一团和气。气色青主忧疑。赤主酒肉,忌口舌。白主灾疾。红黄吉兆。

十二.相貌

相貌者,先观五岳,次辨三停。盈满,此人富贵多荣。三停俱等,永保平生显达。五岳朝耸,官禄荣迁,行坐威严,为人尊重。额文初运。鼻管中年。地阁水星,是为末主。若有克陷,断为凶恶。
诗曰:
相貌须教上下停,三停平等更相生。
若还一处无均等,好恶中间有改更。

相貌宫论曰:骨法精神,骨肉相称气相和,精神清秀,如桂林一枝、昆山片玉,如珠藏渊,如玉隐石,贵显名流,翰苑吉士。暗惨而薄者凶。气色满面红黄明润,大吉之兆。

觀人八相法 
옛날 중국에서는 왕이나 재상을 고를 때 인물의 됨됨이를 보는 방법으로 觀人八相法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觀人八相法은 사람의 모습을 보고 크게 8가지의 그릇으로 나누어 분류하며, 간단하면서도 사람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관상법입니다. 
1. 威- 위엄있고 사나워 보이는 威猛之相
2. 厚 - 후덕하고 온화해 보이는 厚中之相
3. 淸 - 깨끗하고 고결해 보이는 淸秀之相
4. 古 - 귀신같고 짐승처럼 보이는 古怪之相
5. 孤 - 외롭고 빈한해 보이는 孤寒之相
6. 薄 - 약하고 박복해 보이는 薄福之相
7. 惡 - 미련하고 우악스러워 보이는 惡頑之相
8. 俗 - 속되고 흐려 보이는 俗濁之相

1. 威猛之相
威, 尊嚴可畏, 謂之威, 主權勢也, 如豪鷹搏兎而百鳥自驚, 如怒虎出林而百獸自戰, 蓋神色嚴肅而人所自畏也。 
위(威)란 사람된 품위가 위엄(威嚴)이 있고 용맹(勇猛)해 보여 그를 대하면 두려운 마음이 생겨 저절로 머리를 숙이게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비유하자면 날쎈 매가 토끼를 낚아채는 것을 보고 무리 새들이 놀라 달아나고 성난 범이 숲속에 나타나니 온갖 짐승들이 벌벌 떠는 모습과 같습니다. 이러한 상의 주인공은 신색이 엄숙하여 모든 사람을 위압하고 통솔하는 위치에 올라, 한 나라의 대권(大權)을 능히 장악하는 권세를 누리게 됩니다. 

2. 厚重之相 
厚, 體貌敦重, 謂之厚, 主福祿也, 其量如滄海, 其器如萬斛之舟, 引之不來, 而搖之不動也。 
후(厚)란 사람의 용모가 온화하고 중후(重厚)하며 덕이 있는 인품을 지닌 것으로, 그 도량이 바다처럼 넓고 만근 무게를 실은 거함과도 같아서 당겨도 끌려오지 않고 흔들어도 끄덕하지 않는 사람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의 주인공은 모든 사람으로부터 칭송을 받으며 일생동안 부귀(富貴)를 누리게 되는 만종록(萬種綠)을 타고난 부상(富相)이라고 합니다. 주로 부유층의 사업가에게 이러한 상이 많습니다. 

3. 淸秀之相 
淸, 淸者, 精神翹秀, 謂之淸, 如桂林一枝, 崑山片玉, 灑然高秀, 而塵不染, 或淸而不厚, 則近乎薄也。 
청(淸)이란 사람의 용모가 항시 맑고 깨끗하여 수려(秀麗)한 상으로 정신이 출중(出衆)하고 지혜가 충만한 사람을 일컷는 것입니다. 마치 잡목 숲 속 가운데 수려하게 뻗은 계수나무 가지와 같고 곤륜산 속의 한조각 빛나는 옥과 같이 깨끗하고 고상하고 아름다운 것이, 한점의 티끌도 묻지 않은 형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의 주인공은 문장지사(文章之士)로 가히 일세를 풍미할 길상(吉相)이라고 합니다. 주로 학자들이나 예술가들에게 이러한 상이 많습니다. 다만 청수(淸秀)하기만 하고 후(厚)한 것이 없으면 박약한 상(相)에 가까운 것이니 잘 살펴 보아야 합니다. 

4. 古怪之相 
古, 古者, 骨氣岩稜, 謂之古, 古而不淸, 則近乎俗也。 
고(古)라고 하는 것은 이마, 정수리, 관골, 턱 등의 골격이 보통 사람과 달리 울퉁불퉁하게 솟아 기이하게 생겼으면서도 속되거나 천박하지 않고 준엄한 빛이 감도는 묘한 형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의 주인공은 변설과 괴변이 뛰어나고 평인과는 다르게 행동하여 생활은 고독한 편이며, 자기가 한번 옳다고 믿으면 끝까지 밀고 나가는 굳은 의지를 지닌 사람입니다. 주로 예능인, 종교인, 기인(奇人) 등으로 명성을 떨치는 사람 중에 이러한 상이 많습니다. 

5. 孤寒之相 
孤, 孤者, 形骨孤寒, 而項長肩縮, 脚斜體偏, 其坐如搖, 其行如攫, 又如水邊獨鶴, 雨中鷺鸞, 生成孤相也。 
고(孤)라고 함은 얼굴은 외롭고 쓸쓸해 보이고, 목은 가늘고 길며, 어깨는 힘이 없어 움추려 보이고, 다리는 한쪽으로 기울어 몸이 비뚤어진 듯 한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앉은 모습 또한 흔들리는 듯 불안해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휘청거리는 행동은 마치 물가에 홀로선 학과 같으며, 비를 맞고 서 있는 해오라기 같이 고독해 보이는 상입니다. 이러한 상을 가진 사람을 빈상(貧相)이나 흉상(凶相)이라고 하며, 일생 고독하고 빈곤을 면치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6. 薄弱之相 
薄, 薄者, 體貌劣弱, 形輕氣怯, 色昏而暗, 神露不藏, 如一葉之舟而泛重波之上, 見之皆知其微薄也, 主貧下賤 縱有食必矣。 
박(薄)이란, 사람의 체구와 생김새가 오종종하고 허약하며 경박하고 사람된 기품이 겁먹은듯 한 상을 말합니다. 기색이 어두워 보이며 내성적이어서 인품을 드러내어 감추지 못하니 마치 나뭇잎과 같은 작은 배가 거센 파도 위에 위험하게 떠있는 모습과도 같습니다. 이러한 상을 지닌 사람은 누가 보아도 하잘 것 없고 박복해 보이는 형상으로 일찍 단명치 않으면 일생을 고독하고 가난하게 지내는 천상(賤相)이라고 합니다. 

7. 惡頑之相
惡, 惡者, 體貌凶頑, 如蛇鼠之形, 豺狼之狀, 或性暴神驚, 骨傷節破, 皆主其凶暴, 不足爲美也。  
악(惡)이란 사람의 형상이 흉폭하여 뱀이나 쥐를 보는 것과 같이 징그럽고 혐오감이 드는 생김새를 말합니다. 목소리는 승냥이가 우는 소리와 같고 성질은 포악하며 눈은 충혈되어 성난것 같고 신체의 어느 부분이 결함되어 있어 보기에도 불쾌해 보입니다. 이러한 상을 지닌 사람은 성격이 흉폭해서 걸핏 행패를 부리는 자로 악상(惡相)이라고 평가합니다. 

8. 俗濁之象 
俗, 俗者, 形貌昏濁, 如塵中之物, 而淺俗總有衣食, 亦多迍也。 
속(俗)이라 하는 것은 사람의 생긴 형체와 모습이 세련되지 못하고 속되며 혼탁하여서 마치 더러운 분진 속에 있는 것과 같이 천박하고 저속해 보이는 형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을 지닌 사람은 대개 주체성이 결여된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매사에 막힘이 많거나 고용살이로 의식을 해결하게 됩니다. 빈고(貧苦)하고 요절의 상이며 일생 병액으로 고생이 끊이지 않는 매우 불운(不運)한 상이라고 합니다. 

十三部位總歌 
十三部位는 얼굴 중심부를 이마 위 중간에서 턱 끝까지 13등분하여 해당 각 부위가 관장하는 사안을 명시한 것입니다. 십이궁이 심장, 폐장 등과 같은 장기(臟器)에 해당한다면, 십삼부위는 얼굴의 척추에 해당하는 곳으로 운명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사람의 척추에서 어느 한 마디가 부실하면 전신을 쓸 수 없는 것과 같이 13개 부위 개개의 실, 부실 여부는 생애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오관육부가 제 아무리 잘 생겼어도 십삼부위 중 한 두 마디만 부실하면 오관육부에 있었던 내용은 제 힘을 잃어 버리고 맙니다. 반대로 오관육부가 크게 뛰어난 곳은 없다해도 십삼부위가 건실하면 매사가 끈끈하게 맥을 이어가 크게 좌절할 일은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십삼부위가 풍만하고 거칠지 않으며 밝고 윤택하면 길상으로 반드시 부귀를 누리게 되며, 만약 이곳에 주름이나 반점이 있고 결함이 있다면 인생의 역경이 많고 좌절이 생기며 실패의 연속이 됩니다. 그리고 이 십삼부위 좌우에도 명칭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천중 옆엔 천악, 좌상, 내부, 고광, 척양, 무고, 군문, 보각, 변지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1. 天中
第一天中對天嶽, 左廂內府相隨續, 高廣尺陽武庫同, 軍門輔角邊地足。  
제일은 천중이며, 좌우에는 천악, 좌상, 내부, 고광, 척양, 무고, 군문, 보각, 변지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천중은 이마 중앙 위의 머리가 난 부분으로 16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천중으로는 주로 관운을 보게 되며, 골반이 반듯하고 맑아야 길상이며 윤택하고 풍성하게 솟았다면 부모의 덕이 있고 청소년기에 관록을 얻을 수가 있으며, 직감, 예감, 꿈, 통찰력, 적중, 신불신앙(神佛信仰)이 강한것으로 판단합니다. 천중에 결함이 있다면 부모의 덕이 부족하여 청소년기를 불우하게 보내고, 사기, 사업좌절, 조실부모하여 일찌감치 역경을 겪게 됩니다. 

2. 天庭 
第二天庭連日角, 龍角天府房心墓, 上墓四殺戰堂連, 驛馬弔庭分善惡。  
제이는 천정이며, 좌우에는 일각, 용각, 천부, 방심, 상묘, 사살, 전당, 역마, 조정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천중의 아랫부분을 천정이라 하며 19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주로 관운을 보게 되며 골반이 반듯하고 맑아야 길상이며, 윤택하고 높이 솟았다면 청소년기에 운수가 좋고 법원, 정부, 관허 사업관계에 유리하고 희망을 성취하는 일이 많게 됩니다. 이 부위에 결함이 있다면 관운이 부족하고 어려운 청소년기를 보내게 되며, 소송, 세무, 법원, 문서, 관허 사업관계가 불리하게 됩니다. 

3. 司空
第三司空額角前, 上卿少府更相連, 交友道中交額好, 重眉山林看聖賢。  
제삼은 사공이며, 좌우에는 액각, 상경, 소부, 교우, 도중, 교액, 중미, 산림, 성현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사공은 천정의 아래 부분으로 22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이 부분을 통해서는 주로 관운을 보게 되며 골반이 반듯하고 맑아야 길상입니다. 사공이 윤택하고 높이 솟아 넓으면 일찍이 출세하게 되며, 천부의 혜택이 있고 관청, 웃어른으로부터 신임을 얻게 됩니다. 이 부위가 낮고 함하며 거칠면 청년기에 고비가 많으며, 관청, 웃어른의 신입이 박약하며 불평 많은 인생이 됩니다. 

4. 中正 
第四中正額角頭, 虎眉牛角輔骨遊, 元角斧戟及華蓋, 福堂彩霞郊外求。  
제사는 중정이며, 좌우에는 호미, 우각, 보골, 원각, 부극, 화개, 복당, 채하, 교외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중정은 이마의 한복판을 말하는 것으로 25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주로 관운을 보게 되며 골반이 반듯하고 맑아야 길상으로 윤택하고 볼록 솟았다면 출세가 빠르고 명성을 드날리게 되며 역사적 재현, 비교력, 주의력이 양호하여 성공하게 됩니다. 이 곳이 낮고 우묵하며 주름이 있으면 재주와 지혜가 부족하여 성공하기 어렵고, 전철을 밝아 실패할 암시이며 창의력이 결여되어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5. 印堂 
第五印堂交鎖裡, 左目蠶室林中起, 酒樽精舍對嬪門, 劫路巷路靑路尾。  
제오는 인당이며, 좌우에는 교쇄, 좌목, 잠실, 임중, 주준, 정사, 빈문, 겁로, 항로, 청로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인당은 중정 아래 두 눈썹 사이를 말하며 28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주로 성격, 기국(그릇), 정신적 건강, 학문의 정도, 출세운을 가늠하게 되며, 면이 맑고 반반하고 외피가 두터울수록 길상입니다. 이 부위가 윤택하고 넓고 단정하며 높이 솟으면 목적한 바를 이루게 되고 성공하며, 중년 이후의 통제력과 통찰력을 발휘하여 일생을 평온하게 보내게 됩니다. 반대로 인당이 좁고 낮은 사람은 실패가 많고 일생의 목적한 바를 이루지 못하여 좌절이 많게 되고, 과거와 현재, 미래의 파란이 야기될 우려가 있습니다. 

6. 山根 
第六山根對太陽, 中陽少陽及外陽, 魚尾奸門神光接, 倉井天門元武藏。  
제육은 산근이며, 좌우에는 산근, 태양, 중양, 소양, 외양, 어미, 간문, 신광, 천창, 천정, 천문, 현무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산근은 인당 아래 두눈 사이 오목한 곳을 말하는 것으로 41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산근을 통해서는 건강여부, 운세의 변화과정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산근은 콧대로 이어지는 선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어야 길하며, 윤택하고 높이 솟아 두터우면 건강하고 의지가 견고하며, 목적 달성, 혼인, 자녀, 형제와의 인연 등이 길하게 됩니다. 반대로 산근이 좁고 날카로우며 낮은 사람은 좌절, 질병, 재해가 많게 되고 육친과의 인연이 박하게 됩니다. 특히 산근 부위가 가로로 단절되거나 움푹 꺼진 것은 건강상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7. 年上 
第七年上夫座參, 長男中男及少男, 金匱禁房幷盜賊, 游軍書上玉堂庵。  
제칠은 연상이며, 좌우에는 부좌, 장남, 중남, 소남, 금궤, 금방, 도적, 유군, 서상, 옥당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연상은 산근의 아래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 44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연상을 통해서는 사회적인 위상, 자존심의 강약, 일의 추진력 등을 가늠하며 특히 당년의 건강과 질병을 알 수 있습니다. 연상이 윤택하고 높이 솟고 풍만하면 진취적인 기백이 있고 몸가짐도 형평을 유지하며 건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함하고 낮으며 삐뚤어지면 패기가 없고 피로가 빨리 오며 건강하지 못하여 좌절을 겪게 됩니다. 

8. 壽上 
第八壽上甲궤依, 歸來堂上正面時, 姑姨姉妹好兄弟, 外甥命門學堂基。  
제팔은 수상이며, 좌우에는 갑궤, 귀래, 당상, 정면, 고이, 자매, 형제, 외생, 명문, 학당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수상은 연상 아래 코의 중간으로 이곳을 통해 45세의 길흉을 보게 됩니다. 주로 사회적인 위상, 자존심의 강약, 일의 추진력을 가늠하게 되며 수상이 적절하게 솟아 외피가 윤택하고 두터우면 길하다고 여겨지며 스포츠 등 장기결단 능력이 있고 장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대로 이 부위가 낮거나 흠집이 있는 사람은 신체 저항의 지속성이 없고, 스포츠 관련 종사자는 단명할 수가 있습니다. 

9. 準頭 
第九準頭蘭臺正, 法令조上宮室盛, 典御園倉後閣連, 守門兵卒記印綬。  
제구는 준두이며, 좌우에는 난대, 법령, 조상, 궁실, 전어, 원창, 후각, 수문, 병졸, 인수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준두는 수상 아래 코끝의 뽀족한 곳을 말하며 48세의 운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준두를 통해서는 자존심, 사회적 위상, 재물운 등을 가늠할 수 있으며 콧망울과 조화를 이루어 적절하게 둥글고 묵직하며 힘이 느껴지면 길상입니다. 준두가 윤택하고 풍만하면 추진력이 있으며 물질적 균형에 지장이 없고 부귀하게 됩니다. 반대로 준두가 좁고 날카로우며 얇게 드러나면 물질적 장애가 많고 부침이 많은 인생으로 야비하거나 욕심만 많고 재물의 손실이 많게 됩니다. 

10. 人中
第十人中對井部, 帳下細廚內閣附, 小使僕從妓堂前, 영門博士懸壁路。  
제십은 인중이며, 좌우에는 정부, 장하, 세주, 내각, 소사, 복종, 기당, 영문, 박사, 현벽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인중은 준두 아래 입술의 윗골을 말하며 수명과 51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인중의 홈이 뚜렷하고 길수록 수명이 길고 훌륭한 자식을 두게 되며, 깊이 있는 성격을 지니고 지구력과 신용을 가지게 됩니다. 홈이 희미하고 좁고 짧으며 얕으면 수명이 짧고 자식운이 없으며 조루증, 자궁병, 심성이 허약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11. 水星
十一水星閣門對, 比린委巷通衢至, 客舍兵蘭及家庫, 商旅生門山頭寄。  
십일은 수성이며, 좌우에는 각문, 비린, 위항, 통구, 객사, 병란, 가고, 상려, 생문, 산두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수성은 입을 말하는 것으로 이 부위를 통해서는 60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수성이 크고 두툼하며 색깔이 좋고 볼륨이 있고 입술이 꽉 다문 꼴이면 애정, 언어, 자녀 등에 길하고 총명하며 복이 있다고 합니다. 반대로 입술이 얇고 단정치 못하고 못생기며 잇몸이 노출되면 구설수에 시달리거나 말년운이 박약하게 됩니다. 

12. 承漿 
十二承漿祖宅安, 孫宅外院林苑看, 下墓田莊酒池上, 郊廓荒坵道路傍。  
십이는 승장이며, 좌우에는 조택, 손택, 외원, 임원, 하묘, 전장, 주지, 교곽, 황구, 도로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승장은 아랫 입술 밑의 오목한 곳을 말하며 이곳을 통해서는 61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승장이 윤택하고 살이 두터우며 색깔이 밝으면 부동산, 자식, 아랫사람과의 관계가 길하다고 하며, 살이 없고 흠이 있으면 식중독, 음주로 인한 병액을 조심해야 하고 수액, 어업 등에 흉하게 됩니다. 

13. 地閣 
十三地閣下舍隨, 奴僕대磨坑塹危, 地庫陂池及鵝鴨, 大海舟車無憂疑。  
십삼은 지각이며, 좌우에는 하사, 노복, 대마, 갱참, 지고, 파지, 아압, 대해, 주거의 차례로 각 부위가 배치됩니다. 
지각은 승장 아래의 턱부분을 말하며 이곳을 통해서는 71세의 운을 보게 됩니다. 지각을 통해서는 주로 부동산, 아랫사람과의 관계, 수명 등을 진단하게 되며 두텁고 풍만하면 재물과 사람이 다 같이 따르며 노년에 행복을 누리고 장수하게 됩니다. 턱이 부족하고 뒤로 물러나거나 얇은 사람은 집안의 암투가 있거나 평생 분주하게 살게 되며 노년에 불운하고 주택운도 좋지 않게 됩니다. 

十二宮 
얼굴의 어느 한 곳을 보면 사람이 살아가는데 긴요한 운명의 요소 12가지를 짐작할 수가 있는데, 이것을 사안별로 표기한 것을 十二宮이라 합니다. 십이궁 모두가 다 잘생겼다면 그야말로 하늘의 복을 받은 사람이겠지만, 안타깝게도 12가지 복을 모두 잘 타고나는 사람은 극히 드문것 같습니다. 어느 한쪽이 발달했다면 다른 한쪽은 발달하지 못해 제각각으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입니다. 더불어 얼굴은 마음을 나타내는 육체의 한 부분으로 선한 마음가짐을 가지면 얼굴형은 부드러워지거나 넉넉하고 복스러워 질 수 있는 것이니 후천적인 노력 또한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1. 명궁(命宮) 
命宮者, 居兩眉間山根之上, 光明如鏡, 學問皆通, 山根平滿, 乃主福壽, 土星聳直, 扶拱財星, 眼若分明, 財帛豊盈, 額如川字,命逢驛馬官星, 果若如斯, 必保雙全富貴, 凹침必定貧寒, 眉교相交成下賤, 亂理離鄕又剋妻, 額窄眉枯, 破財둔전。 
詩曰 : 眉眼中央是命宮, 光明瑩淨學須通, 若還紋理多둔滯, 破盡家財及祖宗。 
시에 이르기를 "양 눈썹 사이의 중앙을 명궁이라 하며, 그 빛이 밝고 맑으면 반드시 학문에 통달할 것이요. 만약 주름이나 문양이 있다면 일이 막히고 체하게 되어 집안의 재산과 조상의 기반을 모두 파하게 되리라" 하였습니다. 
즉 명궁은 눈썹과 눈썹사이의 미간(眉間)으로 산근(山根)의 윗부분을 말하며, 또 다른 이름으로는 인당(印堂), 학당(學堂)이라고도 합니다. 이곳을 명궁이라 이름 지은 것은 얼굴 전반을 통해 얻은 정보를 명궁에서 일어나는 기색을 근거로 길흉여부를 가늠하는 기결점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명궁이 마치 거울처럼 빛이 밝다면 학문에 통달하게 되고 산근이 평평하고 가득하면 복과 장수를 누리게 됩니다. 코가 반듯하게 내려오고 높다면 재물을 관장하는 재성이 돕게 되며, 두 눈이 단정하며 흰자위와 검은 눈동자가 맑고 흑백이 분명하면 재물이 가득하게 됩니다. 이마의 중앙과 양쪽 옆으로 세로로 솟은 뼈가 있어 각을 이룬 듯하면 높은 관직에 나갈 운명으로 만약 이와 같다면 반드시 부귀를 누리게 됩니다. 
명궁이 움푹 꺼지거나 함몰되어 있으면 반드시 빈곤하게 되고, 두 눈썹이 미간을 침범해 서로 붙은 듯하거나 서로 겹쳐 지나친 듯하다면 하천한 인물이 됩니다. 명궁에 어지러운 주름이 있으면 고향을 떠나고 처를 극하게 되며, 이마가 좁고 눈썹이 마른 듯 윤기가 없으면 재산을 파하고 하는 일마다 막히게 됩니다. 

2. 財帛宮 
鼻乃財星, 位居土宿, (天倉, 地庫, 金甲, 二陰, 井조, 總曰財帛, 須要豊滿明潤, 財帛有餘, 忽然枯削昏黑, 財帛消乏) 截筒懸膽, 千倉萬箱, 聳直豊隆, 一生財旺富貴, 中正不偏, 須知永遠滔滔, 鷹嘴尖峰, 破財貧寒, 莫敎孔仰, 主無隔宿之糧, 廚조若空, 必是家無所積。 
詩曰 : 鼻主財星瑩若隆, 兩邊廚조莫敎空, 仰露家無財與粟, 地閣相朝甲궤豊。 
시에 이르기를 "코는 재물을 관장하는 별이니 맑고 높이 솟아야 하며 양쪽 콧방울이 텅 비는 것을 막아야 한다. 콧구멍이 번쩍 들려 드러나면 집안에 재산뿐만 아니라 곡식도 없게 된다. 지각이 마주 보듯 감싸고 양쪽 콧방울이 풍만해야 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재백궁은 천창과 지고, 양쪽 콧방울, 콧구멍, 콧구멍 입구 등을 모두 통틀어 말하는 것이며. 평생의 금전운을 살피고 본인의 인생에서 자신감이나 용기 등을 점검하게 되어, 명궁 다음으로 중요한 자리로 간주 됩니다. 풍만하고 밝고 윤택하면 재물이 넉넉할 것이지만, 홀연히 마른듯해지거나 살이 없어 깍인 듯하거나 어둡고 흑색을 띠게 되면 재물이 사라져 가난하게 된다고 합니다. 
코는 대나무를 쪼개어 엎어 놓은 듯하거나 짐승의 쓸개를 매어단 듯하면 천개의 창고와 만개의 돈 궤짝을 갖게 되며, 콧대가 반듯하게 내려오고 준두(코끝)가 풍만하고 높이 솟아있다면 일생동안 재복이 왕성하고 부귀를 누리게 됩니다. 또한 코가 반듯하고 단정하며 옆으로 기울거나 비뚤어지지 않았다면 그 재복이 영원히 끊임없이 이어지게 됩니다. 매부리코에 준두(코끝)가 뽀족하면 재산을 파해 빈곤하게 살게 되니, 콧구멍이 위쪽으로 들리게 되는 것은 막아야 합니다. 콧방울이 없다면 하루 걸러 먹을 양식이 없게 되니 반드시 집안에 쌓아 놓을 것이 없게 됩니다. 

3. 兄弟宮 
兄弟位居兩眉, 屬羅計, 眉長過目, 三四兄弟無刑, 
眉秀而疎, 枝幹自然端正, 有如新月, 和同永遠超群, 若是短粗, 同氣連枝見別, 眉環塞眼, 안行必疎, 
兩樣眉毛, 定須異母, 交連黃搏, 自喪他鄕, 旋結回毛, 兄弟蛇鼠。 
詩曰 : 眉位兄弟軟輕長, 兄弟生成四五强, 兩角不齊須異母, 交連黃搏喪他鄕。  
시에 이르기를 "눈썹은 형제를 보는 부위이니 부드럽고 거칠지 않고 눈보다 길면 형제가 모두 강성하다. 미각(양쪽 눈썹 끝부분의 각진 부분)이 서로 같지 않다면 반드시 다른 어머니가 있고, 서로 붙어 있거나 누렇고 엷다면 타향에서 객사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형제궁의 위치는 양 눈썹에 있으며, 좌측 눈썹을 나후(羅?), 우측 눈썹을 계도(計都)라고 부르며 형제자매의 많고 적음과 형제 사이의 우애를 살피고 그 사람의 성격의 느림과 조급함을 살피고 행동력의 완만강약(緩慢强弱)을 판단하게 됩니다. 
눈썹이 눈보다 길면 3~4형제 모두에게 형살이 없고, 눈썹이 빼어나며 털이 너무 빽빽하지 않다면 형제가 모두 단정하며, 눈썹이 단정하여 초승달과 같으면 형제들과 영원히 화목할 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 가운데 단연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눈썹 털이 거칠고 짧다면 형제간에 이별하게 되며, 눈썹이 눈을 동그랗게 싸고 돌며 눈을 내리 누른듯 눈과 가깝다면 형제가 많지 않게 됩니다. 
양쪽 눈썹의 모양이 서로 다르면 반드시 어머니가 다른 형제가 있다는 것이며, 두 눈썹이 미간을 침범하여 서로 맞닿은 듯 하거나 서로 겹쳐진 듯하거나 누렇고 엷다면 타향에서 죽게 됩니다. 눈썹의 털이 꾸불꾸불 서로 엉켜 있거나 돌돌 말려 불에 그을린 듯하면 형제간에 서로 원수같이 지낼 뿐만 아니라 모두가 좀도둑 같은 삶을 살게 됩니다. 

4. 田宅宮 
田宅者, 位居兩眼, 最파赤脈侵睛, 初年破盡家園, 到老無糧作蘖, 眼如點漆, 終身産業榮昌, 鳳目高眉, 稅置三州五縣, 陰陽枯骨, 莫保田園, 火眼빙輪, 家財傾盡。 
詩曰 : 眼位田宅主其宮, 淸秀分明一樣同, 若是陰陽枯更露, 父母家財總時空。 
시에 이르기를 "눈은 주로 전택에 관한 부분으로 맑고 빼어나며 두 눈동자의 흑백이 분명하고 두 눈이 같은 모양과 크기여야 한다. 만약 두 눈이 마른 듯 하거나 검은 동자가 모두 보이거나 눈동자가 튀어 나왔다면 부모와 집안 재산이 끝내 모두 없어지게 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전택궁은 두 눈을 말하며, 이곳을 통해서는 주택이나 토지 혹은 부동산의 매매, 손익관계, 상업 등을 감정하게 됩니다. 전택궁에서 가장 꺼리는 것은 붉은 실핏줄이 눈동자를 침범한 것으로 이런 경우 초년에 집과 재산을 모두 파하여 없애고 늙어서는 먹을 양식과 기댈 곳마저 없게 됩니다. 
눈동자가 마치 옻칠을 한 것처럼 검으면 평생토록 생업이 번영하고 창성하며, 봉황의 눈과 같고 눈썹이 높이 나서 눈과 멀다면 3주(三州) 5현(縣)과 같이 넓은 지역의 세금을 거둘만큼 고관이 됩니다. 두 눈이 마른 듯 꺼칠허거나 눈 주위에 뼈가 튀어나와 있다면 논밭과 재산을 보전하기 어렵고, 눈이 붉거나 흰자위가 번들번들하면 집안이 기울어 재산이 모두 없어지게 됩니다. 

5. 男女宮 
男女者, 位居兩眼下, 名曰淚堂, 三陽平滿, 兒孫福祿榮昌, 隱隱臥蠶, 子息還須淸貴, 淚堂深陷, 定爲男女無緣, 黑지斜紋, 到老兒孫有剋, 口如吹火, 獨坐蘭房, 若是平滿人中, 難得兒孫送老。 
詩曰 : 男女三陽起臥蠶, 瑩然光彩好兒郞, 懸針理亂來侵位, 宿債一生不可當。 
시에 이르기를 "남녀궁은 삼양으로부터 와잠까지이며, 밝고 빛이 고우면 좋은 자식을 두게 된다. 바늘을 달아맨 듯 일직선의 주름이 있거나 어지러운 주름살이 이 부위를 침범하면 후대를 잇기 어렵고 묵은 빚에서 일생동안 헤어나지 못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남녀궁은 눈 아래 볼록하고 통통하게 살짝 부풀어 오른 부위를 말하는데 자손궁이라고도 하고 누워 있는 누애를 닮았다고 하여 와잠(臥蠶)이라고도 합니다. 그 아랫부위를 눌러 뼈가 닿지 않는 곳을 누당(淚堂)이라고 합니다. 남녀궁을 통해서는 자손의 유무와 복록을 가늠하게 됩니다. 이부분의 살집이 평평하고 가득하면 자식과 손자에 이르기까지 복록이 번영하고 창성하며, 와잠이 은은하면 자식이 또한 반드시 청수하고 귀하게 됩니다. 
누당이 깊거나 함몰되어 있으면 아들이나 딸과 인연이 없다고 하며, 이 부위에 검은 사마귀나 비낀 주름살이 있으면 늙어 자식과 손자를 극하게 됩니다. 더불어 입 끝이 불을 부는 것처럼 뾰족하면 늙어서 한 떨기 난초처럼 독방을 지키게 되며, 만약 인중에 골이 없어 평평하다면 늙을때까지 자식을 얻기 어렵습니다. 

6. 奴僕宮 
奴僕者, 位居地閣, 重接水星, 해圓豊滿, 侍立成群, 輔弼星朝, 一呼百諾, 口如四字, 主呼聚喝散之權, 地閣尖斜, 受恩深而反成怨恨, 紋成敗陷, 奴僕不周, 牆壁低傾, 恩成讐隙。 
詩曰 : 奴僕還須地閣豊, 水星兩角不相容, 若言三處都無應, 傾陷紋痕總不同。  
시에 이르기를 "노복궁은 지각(턱)으로 반드시 풍륭해야 한다. 수성(입)의 양족 끝이 서로 다르면 지각과 양쪽 옆 턱이 풍륭해도 소용없고, 턱이 기울거나 함몰되었거나 주름이 있거나 흉터가 있어도 모두 좋지 않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노복궁은 입 아래와 턱을 가리키며, 노복이란 종을 뜻하는데 지금은 개념을 달리해 손아랫사람, 고용인 등을 그 범주에 두어 그들과의 관계운을 턱 모양을 통해 판단하게 됩니다. 따라서 고용인이 많은 업종의 장(長)에게는 풍성한 턱이 필수적이며, 턱이 빈약한 사람은 가급적 아랫사람을 두지 않아도 해낼 수 있는 업종을 선택하는 편이 안전합니다. 
아래턱이 둥글고 풍만하면 많은 부하의 시립을 받고 조정의 임금을 보필하는 고관이 되어 한번 부르면 백 사람이 대답하게 됩니다. 입모양이 ‘사(四)’자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라면 부르면 수많은 부하가 모여들고 호령하면 흩어지는 권세를 지니게 됩니다. 지각(턱)이 뾰족하고 기울어지거나 구불구불하면 부하에게 깊은 은혜를 베풀고도 도리어 원한을 사게 되며, 주름이 아래턱에 깊이 있거나 턱이 함몰되었으면 부하를 거느리기 어렵습니다. 또한 턱의 양쪽 볼이 낮거나 기울어져 있으면 은혜가 도리어 원수가 될 수 있습니다. 

7. 妻妾宮 
妻妾者, 位居魚尾, 號曰奸門. 光潤無紋, 必保妻全四德. 豊隆平滿, 聚妻財帛盈箱, 권星侵天, 因妻得祿. 奸門深陷, 常作新郞. 魚尾紋多, 妻防惡死. 
奸門암참, 自號生離. 黑지斜紋, 外情好而心多음慾。 
詩曰 : 奸門光澤保妻宮, 財帛盈箱見始終, 若是奸門生암참, 針紋黑지蕩음奔。 
시에 이르기를 "간문(奸門)이 빛나고 윤택하면 처궁이 편안하며 항상 재물이 돈 상자에 가득하다. 만약 간문에 어둡고 침침한 기색이나 바늘 문양 검은 사마귀가 있다면 음탕하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처첩궁은 눈썹꼬리와 귀 사이 간문(奸門)과 어미(魚尾:눈초리)를 말하고, 이 곳을 통해서는 배우자나 연인, 애인, 이성친구와의 애정관계가 좋은지 나쁜지를 살피고 장래의 길흉상태를 예언하게 됩니다. 
처첩궁이 밝고 윤택하며 주름이 없으면 반드시 사덕(四德:마음씨, 말씨, 맵시, 솜씨)을 갖춘 부인을 얻게 되며, 이 부분의 살집이 평평하고 가득하면 장가들어 재산이 가득하게 되며, 간문이 평만하고도 관골이 천창까지 뻗어 있다면 처로 인해 관록을 얻게 됩니다. 간문이 깊이 함몰되어 있으면 결혼을 여러번 하게 되며, 어미에 주름이 많다면 처가 악사하는 것을 방비해야 합니다. 간문의 기색이 어둡고 침침하면 부부간에 이별을 하게 되며, 검은 사마귀나 비낀 주름이 있으면 외도를 좋아하고 마음속에 음욕이 많다고 합니다. 

8. 疾厄宮
疾厄者, 印堂之下, 位居山根, 隆而豊滿, 福祿無窮, 連接伏犀 定主文章, 瑩然光彩, 五福俱全, 年壽高平, 和鳴相守, 紋痕低陷, 連年宿疾침아, 枯骨尖斜, 未免終身受苦, 氣如烟霧, 災厄纏身。 
詩曰 : 山根疾厄起平平, 一世無災禍不生, 若値紋痕幷枯骨, 平生辛苦却難成。 
시에 이르길 "산근은 질액궁으로 평평하게 일어났으면 일생동안 재앙이 없고 화를 당하지 않는다. 만약 주름, 흉터가 있거나 야위어 뼈가 드러나 있다면 평생동안 신고만 있고 성공하기 어렵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질액궁은 두눈 사이의 콧대가 처음 시작하는 곳을 일컬으며, 이 곳을 통해서는 질병의 유무와 건강상태를 점검하게 됩니다. 이 부분이 높고 풍만하면 복록이 막히지 않으며, 이마의 복서골과 잘 이어져 있으면 문장이 뛰어납니다. 
질액궁이 밝고 맑으며 빛이 아름다우면 오복을 모두 갖추게 되고, 연상과 수상이 높고 평평하면 부부간에 화목하고 해로하게 됩니다. 주름이나 흉터가 있거나 낮게 꺼져있으면 해마다 병을 앓게 되고, 마른듯 꺼칠하고 뽀쪽하며 기울었으면 평생토록 고생을 면할 길이 없게 됩니다. 기색이 연기와 같으면 질병과 흉액을 얻게 됩니다. 

9. 遷移宮 
遷移者, 位居眉角, 號曰天倉, 隆滿豊盈華彩無憂魚尾位平, 到老得人欽羨, 騰騰驛馬, 須貴遊宦四方, 額角低陷, 到老住場難覓, 眉連交接, 此人破祖離家, 天地偏斜, 十居九變, 生相如此, 不在移門, 必當改墓。  
詩曰 : 遷移宮分在天倉, 低陷平生少住場, 魚尾末年不相應, 定因遊宦却尋常。 
시에 이르길 "천이궁은 이마 양쪽 천창 부위로 낮거나 함몰되었으면 평생동안 주거가 부족하다. 어미는 말년에 가볍게 볼 것이 아니니 벼슬길에 나아가는 것도 오히려 예사롭게 되어 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천이궁은 이마 양쪽 관자놀이 부분의 변지(邊地), 역마(驛馬), 천창(天倉)부위를 말하며, 이 곳의 피부색이나 기색을 살펴서 먼곳의 일이나 여행 소식, 이사 유무 등을 관찰하고 미래의 일어날 영적인 일도 예언하게 됩니다. 천이궁이 도두룩하게 높이 솟고 풍만하여 가득하며 아름다운 광채가 나면 벼슬로 인한 근심이 없으며, 또한 어미마저 평평하다면 늙도록 남의 부러움을 사게 됩니다. 역마 부위가 높아 기세가 등등하면 반드시 귀한 벼슬을 얻게 되며 여러 곳을 거치게 됩니다. 이마가 낮거나 함몰되어 있으면 늙도록 일정하게 머물 곳을 구하지 못합니다. 
두 눈썹이 인당을 침범하여 서로 붙어 있는 사람은 일찍부터 조상의 업을 파하고 집을 떠나게 됩니다. 이마와 턱이 기울거나 비뚤어졌으면 주거를 열 번 가운데 아홉번 옮기게 되며, 상이 이와 같으면 거처를 자주 옮기지 않을 경우 조상의 묘를 옮기게 됩니다. 
천이궁이 홀연 어두워지면 이미 예약된 이사나 여행이라 해도 후일로 미루거나 포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정을 연장하는 기간은 천이궁에서 일어난 암색이 지워질때까지 입니다. 암색을 띄는데도 이를 무시하고 여행이나 이사를 감행한다면 목적한 바를 이루지도 못할뿐더러 크고 작은 피해가 따르게 됩니다. 이와 반대로 천이궁과 연결된 복덕궁까지 외피가 두툼하고 기색이 환하면 여행에서 기대한 목적 외에 기대 밖의 이익을 얻어 오기도 합니다. 

10. 官祿宮
官祿者, 位居中正, 上合離宮, 伏犀貫頂, 一生不到公庭, 驛馬朝歸, 官司退擾, 光明瑩淨, 顯達超群, 額角堂堂, 犯着官司貴解, 宮痕理破, 常招橫事, 眼如赤鯉, 決死徒刑。 
詩曰 : 官祿榮宮仔細詳, 山根倉庫要相當, 忽然瑩淨無痕點, 定主官榮久貴長。  
시에 이르길 "관록궁은 영화를 나타내는 부위이니 자세히 살펴야 한다. 산근, 천창, 지고 부위도 이와 마찬가지다. 이 부위가 맑고 빛나며 깨끗하여 상처나 점이 없으면 반드시 관록의 영화와 귀함이 길리라."라고 되어 있습니다. 
관록궁은 이마의 미간 중앙 상단부인 사공을 중심으로 3~5cm 둘레를 말하며, 그 주위에 이마의 넓이, 색상, 앞으로 솟은 정도, 형태 등을 관찰하여 그 사람의 과거, 현재, 미래운의 종합적인 역량을 판단하게 됩니다. 복서골이 정수리까지 이어져 있으면 일생동안 법정에 가는 일이 없고, 역마궁이 발달해 서로 마주보듯 솟아 있으면 관재로 인한 재난을 당하지 않게 됩니다. 
관록궁이 빛나고 밝으며 맑고 깨끗하면 많은 사람 위에 군림할만큼 현달하게 되며, 이마에 세로로 솟은 뼈가 당당하면 관재를 당해도 귀하게 해결되어 집니다. 이 부분이 상처나 주름으로 격이 깨지면 하는 일마다 막힘이 많게 되며, 눈이 마치 잉어의 눈과 같이 붉으면 형벌로 인해 죽게 됩니다. 

11. 福德宮 
福德者, 位居天倉, 牽連地閣, 五星朝拱, 平生福祿滔滔, 天地相朝, 德行須全五福, ?圓額窄, 須知苦在初年, 額闊해尖, 둔否還從晩景, 眉高目聳, 尤且平平, 眉壓耳흔, 休言福德。  
詩曰 : 福德天倉地閣圓, 五星光照福綿綿, 若還缺陷幷尖削, 衣食平平更不全。 
시에 이르길 "복덕궁은 천창이니 지각이 둥글고 오성이 밝게 빛나면 복이 끊임없다. 그러나 이지러지고 함몰되며, 뾰족하고 깎인 듯하면 의식이 있더라도 복이 온전치 못하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복덕궁은 옆이마 부분으로 눈썹 끄트머리 상단을 손으로 눌렀을때 쑥 들어가는 곳의 바로 윗부분을 말하며, 이마의 면이 반반하게 펼쳐져 눈썹과 가지런히 얼굴 앞면에서 바라볼 수 있으면 복덕궁이 살아있는 얼굴이 됩니다. 이마와 턱이 오긋하여 서로 마주 보는 듯하면 덕행이 있고 반드시 오복을 온전하게 누리게 되며, 아래턱은 둥근데 이마가 좁다면 초년에 고난이 있게 됩니다.
이마가 넓고 턱이 뾰족하면 말년에 막히는 일이 많고, 눈썹이 높이 나 있고 눈이 빼어나다면 더욱 평안하게 살게 됩니다. 눈썹이 눈과 가까워 눈을 내리누르는 듯하고 귀가 당나귀 귀처럼 높이 솟았다면 복덕이 있다 말할 수 없습니다. 

12. 相貌宮 
相貌者, 先觀五嶽盈滿, 此人富貴多榮, 次辯三停俱等, 永保平生顯達, 五嶽朝聳, 官祿遷榮, 行坐威嚴, 爲人尊重, 額主初運, 鼻管中年, 地庫水星, 是爲末主, 若有剋陷, 斷爲凶惡。 
詩曰 : 相貌須敎上下停, 三停平等更相生, 若還一處無均等, 好惡中間有改更。 
시에 이르길 "얼굴을 살필 때는 반드시 상정과 하정을 살펴야 한다. 삼정이 균등하면 상생하는 상이요. 한 곳이라도 균등치 않다면 좋은 운과 나쁜 운이 서로 바뀌게 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상모궁은 지금까지 보아온 다른 궁들과는 달리 한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일컬어 말하는 것으로 이 궁은 지금까지 보아온 관상전체를 완성하는 얼굴 전부를 종합하여 보는 것을 말합니다. 얼굴을 살필때는 먼저 오악이 가득한지를 살피는데, 이러한 사람은 부귀하고 영화를 누리게 됩니다. 다음으로 삼정이 모두 균등한지를 판별하는데, 이런 사람은 평생 동안 현달하게 됩니다. 오악이 서로 마주 보는 듯 솟으면 관록이 영달하며, 행동과 앉음새에 위엄이 있으면 남들로부터 크게 존중을 받게 됩니다.
이마는 초년의 운을 관장하며, 코는 중년의 운을, 지고와 입은 말년의 운을 주관하게 됩니다. 얼굴에서 어떤 부위가 다른 부위와 조응하지 못하고 상극하거나 함몰되었다면 그 부위에 해당하는 일 또는 그 해당되는 해의 운이 흉하거나 좋지 않다고 판단합니다. 

五官
五官者, 一曰耳爲採聽官, 二曰眉爲保壽官, 三曰眼爲監察官, 四曰鼻爲審辯官, 五曰口爲出納官。 大統賦云, 一官成十年之貴顯, 一府就十載之富豊。但於五官之中, 당得一官成者, 可亨十年 之貴也。 如得五官俱成, 其貴老終。  
오관이란 얼굴에 있는 눈썹, 눈, 코, 입, 귀의 다섯가지 기관을 말하는 것으로 눈썹을 보수관(保壽官)이라 하고, 눈을 감찰관(監擦官), 코를 심변관(審辨官)이라 하며, 입을 출납관(出納官), 귀를 채청관(採聽官)이라 합니다. 
대통부에 이르기를 "오관 가운데 1관이 잘 생기면 10년간 귀하고 현달하며, 1부(府)가 잘 생겼으면 10년간 풍요로운 부를 누리게 된다"라고 한 것과 같이 오관 가운데 1관만 잘 생겨도 가히 10년간 귀함을 누릴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 오관 모두가 잘 생겼다면 그 귀함이 평생동안 지속됩니다. 오관은 체내에 있는 오장(五腸)을 관장해 오장의 사정은 곧 오관에 반영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1. 保壽官 
眉鬚要寬廣淸長, 雙分入빈, 或如懸犀, 新月之樣, 
首尾豊盈, 高居額中, 乃爲保壽官成。 
눈썹은 모름지기 부드럽고 넓고 맑고 길어서 두 눈썹끝이 귀옆머리에 닿을 듯하고, 혹은 쇠뿔을 달아맨 것 같으며, 모양은 초생달과 같고, 머리와 꼬리 부분의 살집이 풍륭하며, 높이 솟아 이마의 중간 쯤에 위치하면 가장 좋은 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눈썹을 통해서는 형제운을 비롯한 대인관계운, 학운, 인성 등 전반적인 내용을 가늠하게 됩니다. 

2. 監察官 
眼須要含藏不露, 黑白分明, 瞳子端正, 光彩射人, 或細長極寸, 乃爲監察官成。  
눈은 눈동자가 감싸인듯 밖으로 들어나지 않고, 눈동자와 흰 자위가 분명하며, 눈동자가 단정하여 광채가 사람을 쏘아보는 듯하고, 눈의 모양이 가늘고 길면 가장 좋은 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관중에서 가장 보기 쉬운 곳이며, 오장중에서는 간(肝)을 관장하고, 눈은 마음의 창이라는 말도 있듯이 그 사람의 정신과 마음을 대변하는 곳입니다. 

3. 審辨官 
鼻鬚要梁柱端直, 印堂平闊, 山根連印, 年壽高隆, 
準圓庫起, 形如懸膽, 齊如截筒, 色鮮黃明, 乃爲審辨官成。  
코는 얼굴의 기둥이 되는 부분으로 콧대가 단정하며 곧고 높아야 하고, 두 눈썹 사이(인당)는 넓고 평평하여 이 곳부터 아래 콧등까지 연결되어 높게 우뚝하고, 코끝은 둥그스름하고 코끝의 양쪽 콧방울이 두툼하게 솟아 마치 쓸개를 달아맨 모양과 같고, 콧대는 마치 대나무를 쪼개 놓은 것 같으며, 빛깔은 선명하여 누른듯 밝으면 가장 좋은 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장 중 비위(脾胃)를 관장하여, 소화기관에 병이 발생하면 콧잔등에서 붉거나 검은 기색이 나타납니다. 이 밖에도 콧방울과 콧구멍의 사정을 통해 폐부(肺部)의 건강 여부를 진단하기도 합니다. 코는 십이궁 중 재물을 관장하는 재백궁에 속하며 얼굴에 있는 돈주머니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코가 잘생긴 사람은 재물이 많이 모이게 됩니다. 

4. 出納官 
口須方大, 脣紅端厚角弓, 開大合小, 乃爲出納 官成。  
입은 수명판단이나 생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으로, 모양이 모지고 커야 하며 입술은 붉어야 하고 단정하고 두툼하며 당긴 활 모양같고, 입을 벌리면 크게 보이고 입을 오무리면 작게 보이는 것이 가장 좋은 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개 인생의 말년운을 보는데 입을 사용하며, 오장 중 비장(脾臟)을 관장하며 혓바닥 앞·뒷면을 통해 심장의 상태를 가늠하기도 합니다. 

5. 採聽官 
耳鬚要色鮮, 高聳過於眉, 輪廓完成, 貼肉敦厚, 風門寬大者, 謂之採聽官成。  
귀는 그 빛이 선명해야 하고, 높게 솟아 눈썹을 지나고, 귓바퀴가 뚜렷하며, 살집이 두툼하고, 귓구멍이 넓으면 가장 좋은 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귀가 잘 생긴 사람중에는 훌륭한 음악가나 가수, 명창들이 많으며 코와 마찬가지로 귓볼이 두툼하면 금전운이 좋다고 합니다. 
관상시에 오감의 사정은 해당 기관의 생김새를 통해 진단하게 되는데, 청각기능은 귀모양에 반영되지 않아 생김새만을 보고 판단할 수 없는 유일한 기관입니다. 실제로 복귀에 해당하는 크고 두터운 귀도 청각장애가 있는가 하면, 볼품없이 빈약한 귀인데도 소리를 가려 듣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기도 합니다. 그러나 고막으로 전해오는 소리가 아닌 마음으로 듣는 심청(心聽)기능은 귀모양에 비례하여, 크고 두터우며 늘씬한 귀는 마음으로 듣고 내뱉는 소리에 뛰어납니다. 

五嶽
額爲衡山南岳。해爲恒山北岳。鼻爲嵩山中岳。 
左관爲泰山東岳。右관爲華山西岳。 中嶽要得高隆, 東嶽須聳而朝應, 不隆不峻則無勢, 爲小人, 亦無高壽。 中嶽薄而無勢, 則四嶽無主, 縱別有好處, 不至大貴, 無威嚴重權, 壽不甚遠。 中嶽不及且長者, 止中壽, 如尖薄, 晩年見破, 到頭少稱意, 西嶽傾側中主見破, 不宜長家。 北嶽尖陷, 末主無成, 終亦不貴。 東西傾側, 無勢, 則心惡毒無慈愛, 五嶽須要相朝。 
오악이란 사람의 얼굴에서 산처럼 솟아 있는 부분인 이마, 코, 턱, 좌우 관골(광대뼈)을 말 하는 것으로, 관상을 볼때 가장 먼저 살펴야 하는 곳입니다. 오악의 이름은 실제 중국에 있는 산의 이름을 붙여 부르기도 하고 위치에 따라 방위를 붙여 부르기도 합니다. 이마를 남악(南岳)이라 하고, 턱을 북악(北岳)이라 하고, 코를 중악(中岳)이라 하고, 왼쪽 광대뼈를 서악(西岳)이라 하며, 오른쪽 광대뼈를 동악(東岳)이라 합니다. 오악이 서로 쳐다보는 것 같이 응하고 삼정이 균형을 이루면 공명을 이루고 평생 부귀를 누리게 되며, 반대로 오악이 바르지 못하고 삐둘어졌으며 삼정이 균등하지 않은 사람은 일생이 가난하고 고생이 많을 수 있습니다. 
중악은 코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오악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니, 중악이 세력을 얻지 못하면 나머지 사악이 좋아도 주인이 없는 것과 같습니다. 중악은 높이 솟아야 하고 동악은 솟은 모양이 서악과 서로 마주보는듯 해야 길합니다. 중악이 얇고 기세가 없다면 나머지 사악의 주인이 없는 것과 같아서 비록 나머지 부분이 좋다 하여도 크게 귀히될 수 없고 위엄과 높은 권세를 누릴 수 없으며 장수를 누릴 수 없습니다. 중악이 격에 미치지 못하고 길기만 하다면 수명이 보통에 지나지 않으며, 준두가 뽀족하고 비량이 얇다면 늙어 재산을 파하여 곤경에 처하게 되어 마침내 뜻을 이룰 수 없게 됩니다. 
동악과 서악이 높지 않고 적당히 길지 않다면 사람됨이 기세가 없고 소인배에 지나지 않으며 또한 장수 할 수 없습니다. 동악과 서악이 서로 달라 균형을 이루지 못한 사람은 이루는 것은 적고 실패는 많을 것이니 고생이 많겠고, 마음씨 또한 좋지 않아 독한면이 있으니 자비심이 없는 편입니다. 북악이 뾰족하거나 함몰되어 있다면 말년까지 성공하지 못하고 끝내 귀하게 되지 못합니다. 오악은 반드시 서로 마주 보는 듯해야 길상입니다. 

四瀆 
耳爲江。目爲河。口爲淮。鼻爲濟。 四瀆要深遠成就. 而涯岸不走. 則財穀有成, 財物不耗多蓄積。 
사독이란 얼굴에서 깊이 들어간 곳이 있는 네 부분을 강(江)에 비유한 것으로 귀, 코, 입, 눈을 말합니다. 사독은 모두 물이 흐르는 것에 비유한 것이므로, 물의 근원이 깊고 장원하며 물구비가 급하지 않을 것이 요구됩니다. 만약 사독 또한 이런 모양새이면 들어오는 재물은 풍성하고 소비는 적을 것이니 풍요로운 인생을 누리게 됩니다. 

1. 江瀆
耳爲江瀆, 竅要闊而深, 有重城之副, 緊而聰明, 家業不破。  
귀는 강독(江瀆)이라 하여 귓구멍은 넓고 깊어야 하고, 귀바퀴는 성곽이니 두텁고 튼튼해야 할 것이니, 이렇게 되면 총명하고 가업을 잘 보전할 수 있게 됩니다. 

2. 河瀆 
目爲河瀆, 深爲壽, 小長則貴, 光則聰明, 淺則短命, 
昏濁多滯, 圓則多夭, 不大不小貴。 
눈은 하독(河瀆)이라 하며, 눈이 깊으면 장수하게 되며 광채가 있어 빛이 나면 총명하고 눈이 가늘고 길면 귀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기 있는 눈은 가정생활에 비애(悲哀)가 많은 편이며, 눈이 얕으면 단명하고, 흐리고 탁하면 막히는 일이 많고, 동그라면 요절하니 눈은 크지도 작지도 않아야 길상입니다. 

3. 淮瀆
口爲淮瀆, 要方闊而脣吻相覆載, 上薄則不覆, 下薄則不載, 不覆不載, 則無壽無晩福, 不覆則家業破。 
입은 회독(淮瀆)이라 하며, 그 모양이 모나고 넓으며 입술은 꽉 다문듯 참하며 살이 두터워야 하며 입끝이 위쪽을 향하고 있어야 좋은 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입술이 열려 다물어지지 않는 사람은 재물의 손실이 많을 것이요, 윗 입술이 얇아 잘 덮이지 않거나 아랫입술이 얇아 제대로 덮이지 못하면 장수 할 수 없고 늙어서 복을 누릴 수 없게 됩니다. 

4. 濟瀆 
鼻爲濟瀆, 要豊隆光圓, 不破不露, 則家必富。 
코는 제독(濟瀆)이라 하며, 살집이 풍륭하고 빛나며 둥그렇고 윤기가 있으며 비량이나 준두의 격이 깨어지지 않고 뼈가 드러나지 않았다면 그 집안이 반드시 부를 누리게 됩니다. 코가 이그러져 반듯하지 못하거나 콧구멍이 앞에서 뻔히 들여다 보이면 반드시 가난하고 일의 막힘이 많아지게 됩니다. 
코 문턱과 기둥, 란대, 정위가 잘 생겨야 욕망과 절제력의 중용으로 의롭게 처세를 이루어 나가며, 콧구멍이 작으면 인색하고 코털이 삐죽 나오면 돈이 생기는대로 쓰지 못해 안달이 나는 성질이며, 손재주가 있습니다. 

六府 
六府者, 兩輔骨, 兩?骨, 兩?骨, 欲其充實相輔, 不欲支離孤露。 靈臺秘訣雲, 上二府, 自輔角至天倉, 中二府, 自命門至虎耳, 下二府, 自肩骨至地閣。 六府充直 無缺陷반痕者, 主財旺。 天倉峻起多財祿, 地閣方停萬頃田, 缺者不合。 
6부는 양쪽 보골(옆이마)과 양쪽 관골(광대뼈), 양쪽 이골(옆턱뼈)로서, 서로 충실하고 돕는 듯 하고, 뼈대가 팽창하고 살집이 두터우며 피부가 깨끗하면 길상이라 여기며, 어느 한 가지라도 그 격에서 벗어나거나 홀로 튀어서는 안됩니다. 영대비결에 이르기를 상2부는 보각에서 천창까지이고, 중2부는 명문에서부터 호이까지이며, 하2부는 지각 옆(시골)에서 지각에 이르는 부위입니다. 
6부가 함몰되지 않고 충실하며 상처나 흉터가 없다면 주로 재물이 풍성하고, 천창이 높게 일어나면 재물과 벼슬이 많고, 지각이 사각으로 모나고 살이 두터우면 전답이 1만둔(1둔은 2만평 정도)에 이르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름살이나 흉터, 흑점 등의 잡티나 결함이 있으면 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1. 제1, 2부(천창상부) 
육부 중에서 제1, 2부는 양쪽 눈썹 끝쪽으로부터 시작하여 이마의 일부분에 해당하며 살집이 두텁고 색이 맑으면 복이 많고 자녀의 교육이나 본인의 사회진출운이 좋습니다. 만약 이곳이 좁거나 흉터, 주름살이 자리하고 색깔이 어두우면 10대, 20대에서 이루어야 할 교육운, 취업운, 결혼운 등이 불길해 집니다. 
2. 제3, 4부(관골중부) 
육부 중에서 제3, 4부는 흔히 말하는 광대뼈 근처를 말합니다. 이곳은 뼈대가 약간 살아난듯 벌어진듯한 모양새이면 중년에 사회적인 지위와 상당한 재물을 얻게 됩니다. 만약 광대뼈가 흔적이 없을정도로 낮거나 있다해도 흉터와 주름살이 자리하게 되면 중년에 크게 실패하거나 파재, 송사, 명예실추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3. 제5, 6부(이골하부) 
육부 중에서 제5, 6부는 얼굴 하단부의 턱을 포함한 귀밑에서부터 목선까지 연결되는 부위를 말합니다. 이곳 역시 벌어지듯 견실한 뼈대에다 두터운 살집을 지니면 길상이며, 이와 같은 하관이면 말년에 상당한 재물을 갖게 되며 자녀들 또한 크게 성공합니다. 만약 이곳 뼈대가 빈약하고 뺨과 턱에 살집이 부족하거나 흉터나 주름살이 자리했다면 힘든 말년을 보낼 것입니다. 

三才 
額爲天, 欲闊而圓, 名曰有天者貴。 
鼻爲人, 欲正而齊, 名曰有人者壽。 
亥爲地, 欲方而闊, 名曰有地者富。 
삼재는 천지인(天地人)을 이르는 것으로, 이마를 천(天)이라 하고 턱을 지(地)라 하며 코를 인(人)이라 합니다. 이마는 "天"에 비유되는 곳이니, 이마의 상이 좋은 사람은 귀(貴)할 것이요, 코는 "人"에 비유되는 곳이니, 코의 상이 좋은 사람은 수(壽)할 것이며, 턱은 "地"에 비유되는 곳이니, 턱의 상이 좋은 사람은 부유(富裕)한 인생을 누리게 됩니다. 

三停 
髮際至印堂爲上府, 是初主。 自山根至準頭爲中府, 是中主。 自人中至地閣爲下府, 是末主。 自髮際至眉爲上停, 眉至準頭爲中停, 準頭至地閣爲下停。 訣曰:上停長老吉昌, 中停長近君王, 下停長少吉祥, 三停平等, 富貴榮顯, 三停不均, 孤夭貧賤。 
詩曰:面上三停仔細看, 額高鬚得耳門寬, 學堂三部奚堪足, 空有文章恐不官。  
삼정이란 발제에서 인당까지를 상정이라 하여 주로 초년운을 주관하고, 산근에서 준두까지를 중정이라하여 주로 중년의 운을 주관하고, 인중에서 지각까지를 하정이라하며 말년의 운을 주관합니다. 책에 이르기를 "상정이 길면 젊어서 길하고 창성하며, 중정이 길면 군왕을 가까이에서 모시게 되고, 하정이 길면 노년에 길상하다"고 하였습니다. 삼정이 고루 균등하면 부귀영달하게 되지만 삼정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외롭거나 요절하거나 빈천하게 됩니다. 시에 이르기를 "얼굴의 삼정을 자세히 살펴라, 이마가 높다면 반드시 귓구멍도 넓어야 한다. 학당과 삼부가 훌륭하다면, 어찌 문장이 뛰어나지 않으며 관직에 나가지 못함을 두려워하랴."라고 되어 있습니다. 

1. 上停 
上停天中天庭司空中正印堂, 凡五部旁, 連目之上下, 眉之左右, 幷主貴, 主父母, 主君上, 主早年。 
상정은 천중, 천정, 사공, 중정, 인당의 다섯 부위로 눈의 위아래와 눈썹의 좌우에 해당되며 상정을 통해서는 그 사람의 귀함을 판단하고, 부모와 윗사람을 보고 초년의 운을 보게 됩니다. 상정이 지배하는 나이는 대략 태어나서부터 34세까지이며, 따라서 20대나 30대 초반에 일어나는 모든 운수의 길흉여부는 상정 사정에 따라 판단한게 됩니다. 상정 즉 이마부위가 살이 풍만하고 평평하여 풍족해 보이는 사람은 초년운이 좋을 것이니 평탄하게 성장하겠고, 부모운 역시 좋으니 부모의 덕이 있겠으며, 성장한 후의 관운 또한 좋을 것입니다. 

2. 中停 
中停山根年上壽上準頭, 凡四部旁, 連目下권面耳前, 幷主壽, 主財, 主妻子兄弟, 主中年。 
중정은 산근, 연상, 수상, 준두 네 부위와 눈밑과 관골, 귀앞을 말하며, 주로 자기의 몸과 자기의 세력과 관련된 것들을 판단하게 됩니다. 또한 중정을 통해서는 수명을 판단하고 재물과 배우자, 형제를 보고 중년의 운을 보게 됩니다. 중정이 지배하는 나이는 대략 35세에서 50세까지이며, 중정 즉 코가 살이 두텁고 풍만하며 비뚤어지지 않고 똑바르며 오똑하게 생겼으면 중년운이 좋을 것이니 비록 초년에 고생하였어도 중년에는 성공할 것이요, 재물운도 좋으며 건강할 것입니다. 

3. 下停
下停人中水星承漿地閣, 凡四部, 連口中, 上下左右시이, 幷主祿, 主田宅, 主奴僕畜, 主末年。  
하정은 인중, 수성, 승장, 지각 네 부위와 입의 상하좌우와 볼과 턱이 해당되며, 주로 녹과 부동산, 부하와 가족을 보고 말년의 운을 보게 됩니다. 하정이 지배하는 나이는 대략 51세에서 71세까지이며, 하정이 넓직하고 두둑하며 묵직한 형상이면 자손이 번창하고 재물도 늘어나며 수명 또한 연장됩니다. 반면 볼에 살집이 없다거나 얄팍한 턱, 송곳같이 쪼뼛한 턱, 뒤로 발랑 젖혀진 턱 등은 50세까지 쌓아두었던 명예나 재물이 산적하다해도 이맘때가 되면 마치 썰물같이 빠져 나가 버리게 됩니다. 그러므로 하정이 빈약하면 자식복이 없다고도 합니다. 

五行形 
木瘦金方水主肥, 土形敦厚背如龜, 上尖下闊名위火, 五樣人形仔細推。  
목의 형상은 야윈 듯하고, 금의 형상은 네모지고, 수의 형상은 주로 뚱뚱하며, 토의 형상은 돈후하여 마치 거북의 등과 같습니다. 위는 뾰족하고 아래는 넓은 사람은 화의 형상입니다. 이 다섯가지 모양으로 사람을 자세히 살펴 오행의 형상을 추정해야 합니다. 

五行色 
木色靑兮火色紅, 土黃水黑是眞容, 只有金形是帶白, 五般안色不相同。  
피부색은 목은 푸르고, 화는 붉은 빛입니다. 토는 누렇고, 수는 검은 것이 오행에 맞는 색입니다. 금만이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다섯 가지로 분류되어 사람의 피부색은 서로 같지 않습니다. 

五行象說 
夫人之受精於水, 稟氣於火而위人, 精合而後神生, 
神生而後形全, 是知全於外者, 有金木水火土之相, 有飛禽走獸之相, 金不嫌方, 木不嫌瘦, 水不嫌肥, 火不嫌尖, 土不嫌濁, 似金得金剛毅深, 似木得木자財足, 似水得水文學貴, 似火得火見機果, 似土得土厚櫃庫, 故풍厚嚴謹者, 不富즉貴, 淺薄輕燥者, 不貧則夭, 如子女之氣欲其和媚, 相貌欲其嚴整, 若此者不富則貴也。 
사람은 물(水)로부터 정(精)을 받고 화(火)로부터 기(氣)를 받아 사람이 된 것입니다. 정(精)이 합해진 이후 신(神)이 생기고, 신이 생긴 뒤에 형(形)이 온전하게 된 것입니다. 사람의 외형상 나타나는 형태로는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 오행의 형상이 있고 또는 날짐승과 길짐승의 상이 있습니다. 금의 형상은 네모의 각진 형태를 싫어하지 않고, 목의 형상은 여윈 것을 꺼리지 않고, 수의 형상은 살이 찐 것을 꺼리지 않고, 화의 형상은 뾰족하게 생긴 것을 꺼리지 않으며, 토의 형상은 약간 탁하게 생긴 것을 꺼리지 않습니다. 
금(金)과 비슷한 형에는 금을 만나야 품성이 강건하고 굳세며, 목(木)과 비슷한 형에는 목을 만나야 재물이 넉넉하고, 수(水)와 비슷한 형에는 수를 만나야 학문이 높고 귀하게 되며, 화(火)와 비슷한 사람은 화를 만나야 기교와 과단성이 있고, 토(土)와 비슷한 사람은 토를 만나야 재물이 풍부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풍후하고 엄숙한 형상의 사람은 부유하거나 귀하게 되고, 몸이 얇고 경박하고 조급하다면 가난하거나 수명이 짧은 것입니다. 가령 자녀의 기(氣)는 온화하고 순해야 하며 형상과 모습이 엄숙하고 단정해야 하는데, 이와 같다면 부유하거나 귀하게 될 수 있습니다. 

1. 木形相 
木形昻藏而瘦, 挺而直長露節, 頭隆而額聳, 或骨重而肥腰, 背扁薄非木之善。 詩曰 : 稜稜形瘦骨, 凜凜更脩長, 秀氣生眉眼, 須知晩景光。  
목의 형상은 늘씬하고 깨끗하게 야위었으며 키가 크고 근육이 발달되었고 머리와 이마가 잘 솟았으며 혹 뼈가 굵고 허리의 살이 두툼합니다. 그러나 등이 얇다면 목의 형태를 잘 갖추지 못한 것입니다. 시에 이르길 "늘씬하고 마른 듯한 뼈마디, 늠름함이 더욱 길다. 눈과 눈썹이 빼어나다면 반드시 늙음에 빛을 보리라."라고 되어 있습니다. 

2. 火形相 
火形上尖下闊, 上銳下豊, 其性燥急, 騰上色赤, 火之形也。 詩曰 : 欲識火形貌, 下闊上頭尖, 擧止全無定, 이邊更少髥。  
화의 형상은 위가 뾰족하고 아래가 넓어 위는 날카롭고 아래는 풍성하며, 성품이 조급하고 피부는 적색을 띠고 있는 형태입니다. 시에 이르길 "화의 형상을 알고자 한다면 아래는 넓고 위는 뾰족한가를 보라, 행동거지는 정해진 형국이 없고 턱 주위 아래 수염이 적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3. 土形相
土形肥大, 敦厚而重實, 背隆而腰厚, 其形如龜。 詩曰 : 端厚仍深重, 安詳若太山, 心謀難測度, 信義重人間。 
토의 형상은 비대하고 돈후하며 실한 형이며, 등이 솟고 허리가 두껍고 그 모습이 마치 거북이와 같습니다. 시에 이르길 "단정하고 두툼하여 무게가 있어 모습이 마치 태산과 같다. 심중을 측정하기 어렵고 신의가 두터운 사람이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4. 金形相
金形淸小而堅, 方而正, 形短謂之不足, 肉堅謂之有餘。 詩曰 : 部位要中正, 三停又帶方, 金形人入格, 自是有名揚。  
금의 형상은 맑고 작지만 단단하고 형태가 모나고 반듯합니다. 형체가 이에 미치지 못하면 부족한 것이고 살집이 견실하면 남음이 있다고 합니다. 시에 이르길 "금의 형상은 부위가 반듯하고 삼정도 균등해야 한다. 금의 형상의 격에 맞는 사람은 자연히 이름을 날린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5. 水形相 
水形起而浮, 闊而厚形俯而추下, 其形眞也。 詩曰 : 眉粗幷眼大, 城郭要團圓, 此相名眞水, 平生福自然。 
수의 형상은 통통하며 넓고 두툼하고 약간 아래로 구부린 듯하고 걸음걸이가 느린 것이 참모습입니다. 시에 이르길 "눈썹이 짙고 눈이 크고 얼굴이 둥글둥글하다면 이러한 상은 진정한 수의 형상으로 평생 복이 자연히 따른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육요를 통하여서는 얼굴에서 빛나고 어두운 기색과 찰색을 분별하여 오장에서 나오는 장부의 기능을 관찰하고, 더불어 내면적인 마음의 깊은 곳 까지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五星은 이마 , 좌우 귀, 코, 입 다섯 곳을 가리킨다. 이마는 火星이며 왼쪽 귀는 木星이고 오른쪽 귀는 金星이라하며 코는 土星이되고 입은 水星이라 한다.
화성은 이마이니 넓고 광대해야하며 머리털은 융성하고 짙은 사람은 록과 의식이 있으며 자식에게 4,5명에 까지 미친다. 그러한 사람이 법도와 학문이 있고 부모는 존경하고 귀하게 여김이 이는 명궁에서 생기는 것이다. 화성이 힘을 얻으면 인생에 전답과 집을 얻고 수명은 99세 까지 갈 것이고 뾰족하고 누추하며 주름이 많은 사람은 이마가 함하여 부귀와 자식이 없게 된다. 한 두 명이 있다하여도 늙어서 까지 힘을 얻지 못하고 의식이 뛰어나지 않고 또 형제의 조력을 얻을 수 없으며 三方에 주인이 없어 수명이 단축되고 파재하며 紫氣星은 인당 아래이니 인당이 분명하고 직선의 주름이 없고 둥근 구슬 과 같다면 주인은 반드시 귀하며 백색과 같이 은의 무늬(색깔)이면 크게 부귀하게 된다. 황색을 띄는 사람은 의식이 있고 좁고 평평하지 않고 은미한 주름이 있다면 불길하다. 자식이 두 세 명이라도 힘을 얻지 못하고 후덕한 록이 없고 전답과 집을 잃게 된다. 羅?星은 눈썹이다 두 눈썹이 까맣게 조밀하여 눈을 지나 빈발에 닿을 듯한 사람은 의록이 있는 相이다. 자식과 부모가 모두 귀하고 親眷(가까운 혈연, 관계있는 사람)까지도 귀하게 됨이니 두 눈썹에 ‘하늘의 명’이 들어 있는 것이다. 눈썹이 서로 마주 닿은 듯 이어져 누렇고 붉은색이고 또 짧으면 피를 나눈 형제와 자식이 범죄를 저지르고 악사 하게 된다.

*부귀의 상 
이마가 넓고 이맛살이 두툼하며 윤택하다. 
역마(이마의 양 끄트머리)부위가 밝고 두두룩하다. 
눈썹이 수려하고 길다. 
미간(눈썹 사이 부위)이 넓고 두툼하다. 
복덩궁(눈썹 끄트머리 윗 부위)이 밝고 두두룩하다. 
눈의 흑백이 선명하고 기상이 활달하다. 
코가 둥근 대나무통을 쪼개서 엎어 놓은 것 같거나 쓸개주머니를 매단 것 같다. 
콧망울이 크고 둥글다. 
볼이 풍만하고 윤택하다. 
법령(코끝 좌우로부터 입가로 뻗친 줄)이 길고 뚜렷하다. 
인중(코끝 아래부터 입 위까지 음푹 파인 부위)이 길고 깊다. 
식록(인중의 좌우 부위)이 넓고 두둑하다. 
입이 크고 긴장미가 있다. 
이가 고르고 튼튼하다. 
턱이 크고 그득하다. 
귀의 윤곽이 선명하다. 
귓불이 크고 두툼하다. 
허리가 곧고 둥글며 두텁다. 
거북등이다. 
손발이 실하다. 

*장수의 상 
눈썹이 길고 청수하다. 
눈썹에 긴털이 나있다. 
눈에 정기가 있다. 
산근(눈 사이 부위)이 높고 윤택하다. 
코가 단단하며 보기가 좋다. 
법령(코끝 좌우로부터 입가로 뻗친 줄)이 길고 뚜렷하다. 
인중(코끝 아래부터 입 위까지 음푹 파인 부위)이 길고 깊다. 
이가 고르고 튼튼하다. 
턱이 크고 그득하다. 
귀가 크고 두텁다. 
귓문에 긴털이 나있다. 
목이 실하다 
가슴이 넓고 두텁다. 
허리가 곧고 둥글며 두텁다. 
거북등이다. 
성격이 관대하다. 
음성이 맑고 울림이 있다. 
과식하지 않는다. 
음식을 잘 씹어서 삼킨다. 
새벽잠을 달게 잔다. 
하체가 튼튼하다. 
장수집안이다. 

*빈천의 상 
머리는 작고 목은 길다. 
이마의 주름이 난잡하다. 
눈썹이 없는 것 같다. 
명궁(눈썹 사이 부위)이 어둡고 거칠다. 
눈이 깊게 패여있다. 
눈을 가늘게 뜨고 본다. 
콧대가 울퉁불퉁하다. 
코끝이 뾰족하거나 콧구멍이 크게 보인다. 
코가 앙상하다. 
콧방울이 없는 것 같다. 
딸기코이다. 
인중(코끝 아래부터 입 위가지 움폭 파인 부위)이 좁다. 
인중(코끝 아래부터 입 위가지 움폭 파인 부위)이 쭈글쭈글하다. 
식록(인중의 좌우 부위)이 빈약하다. 
입이 헤벌어져 있다. 
입이 불을 부는 듯 뾰족하다. 
잇몸이 드러난다. 
마른침을 뱉는다. 
이가 튀어나와있다. 
이가 고르지 못하고 약하다. 
이가 가늘고 듬성듬성하다. 
싱겁게 웃는다. 
턱이 뾰족하다. 
턱이 갈라져 있다. 
턱이 짧다. 
귀가 발랑 뒤집혀져 있다. 
울대뼈가 높다. 
어깨가 처진다. 
엉덩이가 작고 볼품이 없다. 
다리를 까분다. 
복사뼈가 튀어나와 있다. 
평발이다. 
새처럼 팔짝팔짝 뛰면서 걷는다. 
혼자서 낮은 목소리로 노래를 부른다. 
매우 쓸쓸해 보인다. 

*단명의 상 
동양인이 노란 머리털이다. 
머리는 크고 목은 가늘다. 
얼굴이 좌우 불균형이다. 
얼굴이 항상 붉거나 창백하다. 
미간(눈썹 사이 부위)이 좁다. 
산근(눈 사이 부위)이 오목하고 흠이 있다. 
퉁방울눈이다. 
눈에 핏줄이 서있다. 
눈동자가 희미하다. 
눈이 흰자위가 많다. 
코가 매우 짧다. 
딸기코이다. 
인중(코끝 아래부터 입 위가지 움폭 파인 부위)이 짧다. 
법령(코끝 좌우로부터 입가로 뻗친 줄)이 짧다. 
이가 고르지 못하다. 
앞니의 사이가 많이 벌어져 있다. 
턱이 매우 짧다. 
귀가 작고 얇다. 
어깨가 좁다. 
가슴이 좁고 얄팍하다. 
엉덩이가 매우 작다. 
하체가 약하다. 
행동이 성급하다. 
엉뚱한 짓을 한다. 
눈을 뜨고 잔다. 
헛웃음을 웃는다. 
혼자 중얼거린다. 
말끝이 흐리다. 
입을 벌리고 잔다. 
자면서 악을 쓴다. 
모습이 고목처럼 쓸쓸하다. 

*범죄의 상 
머리털이 뻣세고 거칠며 터부룩하다. 
머리털이 곱슬곱슬하다. 
이마가 좁다. 
이마가 자빠져 있다. 
이목구비가 불균형이다. 
얼굴에 흉터가 많다. 
얼굴에 개기름이 흐른다. 
얼굴이 푸르스럼하다. 
눈썹뼈가 솟아있다. 
미간(눈썹 사이 부위)이 좁다. 
눈썹이 곱슬곱슬하다. 
눈썹이 눈을 누르는 듯하다. 
눈썹이 끊어져 있다. 
눈이 솟아있다. 
눈이 삼각형이다. 
눈이 눈동자가 작고 사방이 흰자위이다. 
눈이 붉고 핏줄이 서있다. 
눈이 뱀처럼 살기가 돈다. 
눈을 깜박이지 않으면서 곁눈질을 한다. 
광대뼈가 툭 튀어나왔다. 
코가 비뚫어졌다. 
층계코이다. 
뾰족코이다. 
매부리코이다. 
법령(코끝 좌우로부터 입가로 뻗친 줄)의 주름이 너무 깊다. 
입술이 유난히 두텁다. 
혀를 뱀처럼 날름거린다. 
이가 고르지 못하다. 
이가 뾰족하다. 
턱이 튀어나왔다. 
귓불이 없는 것 같다. 
귀가 발랑 뒤집혀져 있다. 
가슴이 움푹 꺼져있다. 
뒤를 자주 돌아본다. 
곤충이나 동물을 잘 죽인다. 

四學堂 
학당은 학문을 이루고 품성을 기르며 모든 복록의 자질을 담당하는 각각의 부위를 말합니다. 

1. 官學堂 
眼爲官學堂, 眼要長而淸, 主官職之位。  
눈은 관학당(官學堂)이니 길고 맑으며 광채가 있으면 관록이 있고 인덕이 많게 됩니다. 눈의 광채가 탁하고 눈의 길이가 짧으면 우둔하고 박복한 삶을 살게 됩니다. 눈동자가 점칠(點漆)로 생겼다면 설령 이마가 잘못생겼다해도 괜찮다고 할 만큼 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祿學堂
額爲祿學堂, 額闊而長, 主官壽。  
이마는 녹학당(祿學堂)이라 하며, 이마가 넓고 솟아 있으며 풍만하고 윤택하면 관록도 있고 명예도 있고, 수명도 장수하고 길합니다. 이마가 좁고 주저앉아 있으면 관운이 없고 인덕이나 부모덕도 없게 되며, 턱이 뾰죽하면 도량이 넓지 못해 이마가 제 구실을 할 수 없게 됩니다. 

3. 內學堂
當門兩齒爲內學堂, 要周正而密, 主忠信孝敬, 疏缺而小, 主多狂妄。  
앞니는 내학당(內學堂)이니 이는 두루 단정하고 틈이 없어야 충신효경(忠信孝敬)을 갖추게 됩니다. 이가 듬성듬성하고 사이가 떠 있으면 간사하고 신의가 없게 됩니다. 

4. 外學堂 
耳門之前爲外學堂, 要耳前豊滿光潤, 主聰明, 若昏침, 愚鹵之人也。  
귀의 앞부분을 외학당(外學堂)이라 하며, 탐스럽고 맑고 윤택하면 외교에 능하고 사교적인 길한 사람이며, 검고 함몰되어 있으면 우둔한 사람입니다. 

八學堂 

1. 高明學堂 
高明部學堂, 頭圓或有異骨앙。  
高明學堂은 머리를 말하며 머리골이 둥글고 골이 솟아 있고 윤택하면 귀한 상입니다. 반대로 비뚤어지고 골이 낮으면 천한 상입니다. 

2. 高廣學堂 
高廣部學堂, 額勇明潤骨起方。  
高廣學堂은 이마를 말하며 이마의 뼈가 솟아 밝고 윤택하면 이름을 떨치고 명예가 있어 길하며, 반대로 이마가 좁고 죽은 모양은 불길합니다. 

3. 廣大學堂 
光大部學堂, 印堂平明無痕傷。 
廣大學堂은 인당(미간)을 말하며 인당이 거울처럼 맑고 밝으며 흠이나 주름이 없이 평평하면 학업을 성취하고 직업 변동이 없어 길합니다. 그러나 흠이 있거나 협소하여 좁으면 직업 변동이 많고 학업 성취에 어려움이 많게 됩니다. 

4. 明秀學堂 
明秀部學堂, 眼光黑多入隱藏。  
明秀學堂은 눈빛을 말하며 눈동자의 검은 빛이 빛나고 광채가 나면 귀한 상으로 인덕이 많게 됩니다. 그러나 광채가 없고 잠에 취한 듯이 몽롱하면 인덕도 없고 천한 상입니다. 

5. 總明學堂
聰明部學堂, 耳有輪廓紅白黃。  
總明學堂은 귀를 말하며 귀가 도톰하고 윤택이 있으며 깨끗하면 총명하고 재주가 있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빛깔이 죽어있거나 어두우면 흉한 상입니다. 

6. 忠信學堂
忠信部學堂, 齒齊周密白如霜。 
忠信學堂은 치아를 말하며 치아가 고르게 나고 색이 맑으면 충성과 효성이 지극하고 마음이 선량하여 길상으로 여깁니다. 그러나 치아 사이가 벌어지고 성글게 나면 간사하고 믿음이 없어 흉한 상입니다. 

7. 廣德學堂 
廣德部學堂, 舌長至準紅紋長。 
廣德學堂은 혀를 말하며 혀가 길어서 코끝까지 닿고 색이붉고 깨끗하면 인덕이 있고 언변이 좋은 사람입니다. 

8. 班순學堂 
班순部學堂, 橫紋中節彎合雙。  
班순部學은 눈썹을 말하며 눈썹이 초생달 모양으로 길고 윤기가 있고 색이 짙으면 형제덕이 많고 길상입니다. 그러나 눈썹이 산란하고 흉하며 색이 연하면 형제나 친구 덕이 없는 천한 상입니다. 

一曰威。爲尊嚴畏憚也。如豪鷹搏物而百鳥自驚。似怒虎投林而百獸自懼。主權勢也。
첫째 위(威)는 존엄하여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꺼리는 것을 말하는데, 사나운 매가 물건을 낚아챌 적에 모든 새들이 놀라는 듯 성난 호랑이가 숲에 뛰어들 적에 모든 짐승이 두려워하는 듯하니, 이는 주로 권세를 얻는 상이다. 
二曰厚。爲風貌敦厚也。量如滄海。器如百斛。引之不來。搖之不動。主福祿也。
둘째 후(厚)는 풍모가 돈후한 것을 말하는데, 도량은 창해와 같고 기국은 백곡(百斛)과 같아서 당겨도 끌려오지 않고 흔들어도 움직이지 않으니, 이는 주로 복록(福祿)을 얻는 상이다. 
三曰淸。謂精神翹秀也。如桂林一杖。崑山片玉。灑然高秀而無塵?。俊才貴也。或淸而不厚。近乎薄也。
셋째 청(淸)은 정신이 빼어남을 이르는데, 계림(桂林)의 일지(一枝)와 곤륜산의 편옥(片玉)과 같아 시원스레 높이 빼어나고 때묻음이 없으니 이는 뛰어난 재주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혹 맑기만 하고 후하지 못하면 박한 데 가깝다. 
四曰古。謂骨氣嚴稜也。其或部位相應。則爲高貴之人。或濁而不淸。近乎俗也。
넷째 고(古)는 골기(骨氣)가 엄숙하고 위세가 있음을 이르는데, 혹 부위(部位)가 서로 어울리면 고귀한 사람이 되지만 혹 탁(濁)하여 맑지 못하면 속(俗)에 가깝다. 
五曰孤。謂形骨露也。其項長肩縮。脚斜腦偏。其坐如搖。其形如攫。又似水中獨鶴。雨中鷺鸞。則孤獨也。
다섯째 고(孤)는 형골(形骨)이 드러난 것을 이르는데, 목은 길고 어깨는 움츠러들고 다리는 틀어지고 머리는 한쪽으로 기울어지며 앉아서는 흔들고 모양은 잡혀온 죄인과 같다. 또 물 가운데 학이나 비맞은 백호와 같으니, 곧 고독한 상이다. 
六曰薄。謂體貌劣弱。其形氣輕怯也。色昏不明。神露不藏。如一葉之舟在重波之上。主貧寒也。縱有衣食。必夭折矣。
여섯째 박(薄)은 몸과 얼굴이 약하고 파리한 것을 이르는데, 형기(形氣)는 가벼우며 겁난 모양이 있고 낯빛은 어두워 밝지 못하며 정신이 드러나 감추어지지 않아서 한 조각배가 심한 파도 위에 놓여 있는 것과 같으니, 이는 주로 빈곤하며 비록 의식이 있더라도 반드시 요절한다. 
七曰惡。謂體貌凶頑。蛇鼠之形。豺狼之聲。或性躁神驚。骨傷帶破。主凶惡也
일곱째 악(惡)은 몸과 얼굴이 흉하고 사나운 것을 이르는데, 뱀이나 쥐의 모습을 하고 여우나 이리의 소리를 내며 혹 성질이 조급하거나 정신이 자주 놀라며 뼈가 상하거나 흉터가 있는 것이니, 이는 주로 흉악한 상이다. 
八曰俗。謂形貌昏濁也。如塵埃之中物。縱有衣食。主迍滯也。
여덟째 속(俗)은 얼굴이 어둡거나 탁한 것을 이르는데, 먼지 속에 있는 물건과 같아서 비록 의식이 있더라도 주로 진취하지 못하는 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