兩眼浮光, 桃花之面, 皮白如粉, 血不華色, 肉軟如綿, 皮滑如油, 面多斑點, 眼角低垂, 未語先笑, 搖手擺頭, 面帶兩削, 面全兩陷, 面肉堆浮, 眼露白光, 口脣自動, 口角生紋, 鵝行鴨步, 側目垂頭, 斜視偸觀, 自言自語, 腹교胸高, 腰細肩寒, 臍凸近下, 乳頭白下, 皮수如紗, 面大鼻小, 額尖脚搖, 齒白如玉, 脣白不厚, 脣靑如전, 一步三搖, 一言三斷, 笑若馬嘶, 言語泛雜, 頭大無髮, 鶴腿蠻腰, 行如雀步, 談笑頻阻, 교臀無腮, 見人掩面, 身如風柳, 陰戶無毛, 장頭鼠耳, 숙頭伸舌, 托腮咬指, 陰毛如草, 長面圓睛, 剔齒弄衣, 歎氣伸腰, 陰戶生下, 頭先過步, 回頭頻顧, 坐不安은, 腿上生毛, 舌尖脣掀, 擧止癡迷, 점立偏斜, 額廣鬢深, 鼠齒鬼牙, 性情多變, 如馬換蹄, 長身短項, 鼻仰朝天, 眼閉眉추, 蛇行鼠餐, 項細眉寒, 指短腰偏, 飮食無盡, 無事自驚, 頭偏額窄, 背陷腹小, 睡夢長啼.
* 女人有七十二賤, 若凡一件, 必有私淫
* 여인의 72가지의 천상이 있으니 만약 한 건이라도 범하면 반드시 사음함이 있다.
* 兩眼浮光 : 두 눈이 들뜨듯 빛나면 사음하다.
* 桃花之面 : 복숭아꽃이 피는 듯한 얼굴
* 皮白如粉 ; 피부가 분을 바른 듯 희다.
* 血不華色 : 혈색이 화사하게 피지 못하고,
* 肉軟如綿 : 살이 부드러워 솜과 같다.
* 皮滑如油 : 피부가 기름을 바른 듯 미끄럽다.
* 面多斑點 : 얼굴에 반점[주근깨]이 많다.
* 眼角低垂 : 눈 꼬리가 아래로 쳐지고,
* 未語先笑 : 말을 하기 전에 먼저 웃는다.
* 搖手擺頭 : 손을 흔들고 머리를 움직인다.
* 面帶兩削 : 얼굴의 관골이 깎인 듯 하고,
* 面全兩陷 : 얼굴의 턱이 꺼진 듯 하며,
* 面肉堆浮 : 얼굴의 살이 쪄서 쌓인 듯 하고,
* 眼露白光 : 눈이 나오고, 흰자위에서 빛이 나며,
* 口脣自動 : 입과 입술이 저절로 움직인다.
* 口角生紋 : 입의 끝에 주름이 있다.
* 鵝行鴨步 : 거위나 오리 걸음을 걷고,
* 側目垂頭 : 머리를 숙이고, 곁눈질을 하며,
* 斜視偸觀 : 훔쳐보고 째려보고,
* 自言自語 : 스스로 묻고 스스로 답하고,
* 腹喬胸高 : 배가 활을 당긴 듯 나오고, 가슴이 높으면
* 腰細肩寒 : 허리가 가늘고 어깨가 추워 보인다.
* 臍凸近下 : 배꼽이 튀어나와 아래로 향하고,
* 乳頭白下 : 유두가 희고 아래로 쳐지며,
* 皮縐如紗 : 피부의 주름이 실처럼 많고
* 面大鼻小 : 얼굴은 큰데 코는 작으며,
* 額尖脚搖 : 이마가 뾰족하고 다리를 흔들며,
* 齒白如玉 : 치아가 옥처럼 희고,
* 脣白不厚 : 입술이 희고 얇으며,
* 脣靑如靛 : 입술 푸르기가 검푸른 색과 같고
* 一步三搖 : 한 걸음에 엉덩이가 세 번 흔들며,
* 一言三斷 : 말 한 마디를 세 번 끊어서 말하고
* 笑若馬嘶 : 웃음소리가 말 울음소리와 같며,
* 言語泛雜 : 언어가 번잡하다.
* 頭大無髮 : 머리는 큰데 머리카락이 없다.
* 鶴腿蠻腰 : 다리는 학처럼 가늘고 허리는 벌레처럼 가늘다.
* 行如雀步 : 참새와 같이 걷고
* 談笑頻阻 : 대화중에 자주 심하게 웃는다.
* 喬臀無腮 : 활시위를 당긴 듯 엉덩이가 나오고, 턱이 없다.
* 見人掩面 : 사람을 보면 얼굴을 가리고,
* 身如風柳 : 몸이 바람에 날리는 버드나무 같다.
* 陰戶無毛 : 음호에 털이 없다.
* 獐頭鼠耳 : 노루의 머리처럼 작고, 쥐의 귀처럼 뾰족하다.
* 縮頭伸舌 : 머리는 작으며, 혀를 내민다.
* 托腮咬指 : 턱을 괴고, 손가락을 깨문다.
* 陰毛如草 : 음호에 털이 잡초 같다.
* 長面圓睛 : 얼굴이 길고, 눈이 둥글며,
* 剔齒弄衣 : 옷고름을 치아로 씹는다.
* 歎氣伸腰 : 허리를 비비 꼬면서 한숨을 자주 내쉬면
* 陰戶生光(下) : 음호가 항문에 가깝게
* 頭先過步 : 걸음걸이보다 머리가 먼저 앞선다.
* 回頭頻顧 : 머리를 돌려 자꾸 뒤돌아본다.
* 坐不安穩 : 앉은 자세가 불안하다.
* 腿上生毛 : 넓적다리에 털이 나고,
* 舌尖脣掀 : 혀끝이 뾰족하고 입술이 들리며,
* 擧止癡迷 : 행동거지가 어리석고 미혹한 듯 하다.
* 站立偏斜 : 우두커니 서 있는 자세가 삐뚤고
* 額廣鬢深 : 이마가 넓고 빈발의 숱이 많으며,
* 鼠齒鬼牙 : 쥐의 이빨이나 귀신의 이빨 같으며,
* 性情多變 : 성격이 자주 변하고,
* 如馬換蹄 : 말발굽을 바꾸듯 하고,
* 長身短項 : 키는 큰데 목은 짧다.
* 鼻仰朝天 : 코가 들려 하늘을 향하고
* 眼閉眉皺 : 눈을 감고 눈썹을 찡그리며,
* 蛇行鼠餐 : 뱀처럼 걷고, 쥐처럼 먹는다.
* 項細眉寒 : 목은 가늘고 눈썹이 없는 듯 하며,
* 指短腰偏 : 손가락이 짧고 허리가 가늘며
* 飮食無盡 : 음식을 끝없이 먹고,
* 無事自驚 : 아무 일도 없는데 혼자서 깜짝 놀라고,
* 頭偏額窄 : 두각이 깎이고, 이마가 좁으며,
* 背陷腹小 : 등이 꺼지고 배가 작으면
* 睡夢長啼 : 잠을 자면서 길게 흐느낀다.
女人有三十六刑傷
黃髮拳髮, 睛赤睛黃, 獨顴生面, 額有旋螺, 額高面陷, 額有紋痕, 印有懸針, 少年落髮, 骨硬皮急, 面長口大, 面瘦生筋, 面生三角, 耳反無輪, 面尖腰窄, 面滯如泥, 山根低陷, 地閣偏斜, 項露骨節, 聲大如雷, 性急如火, 神濁氣粗, 天大地小, 白氣如紛, 年壽起節, 肉冷如水, 粗骨大手, 肩背偏斜, 眼大睛圓, 喉結齒大, 髮硬骨硬, 夜睡多呼, 嘴如吹火, 鼻內生毛, 骨起腮高, 命門骨高 如雲母面, (色如粉也)* 女人有三十六刑傷 : 여인에게 36가지의 형상이 있다.
* 黃髮拳髮 : 노란 머리카락, 고수머리
* 睛赤睛黃 : 눈동자가 붉거나 눈동자가 누렇고,
* 獨顴生面 : 관골이 홀로 우뚝 솟은 얼굴
* 額有旋螺 : 이마가 둥글게 튀어나오고,
* 額高面陷 : 이마는 높고, 얼굴은 꺼지며,
* 額有紋痕 : 이마에 주름이 있거나 흉터가 있으며
* 印有懸針 : 인당에 현침문이 있고
* 少年落髮 : 젊어서 머리카락이 빠지며
* 骨硬皮急 : 뼈는 강철처럼 강하고, 피부가 팽팽하고
* 面長口大 : 얼굴이 길고, 입이 크며,
* 面瘦生筋 : 얼굴이 말라서 힘줄이 나오고,
* 面生三角 : 얼굴이 삼각형으로 생기고.
* 耳反無輪 : 귀가 뒤집히고, 귀의 윤곽이 없으며,
* 面尖腰窄 : 얼굴이 뾰족하고 허리가 가늘며,
* 面滯如泥 : 얼굴의 체기가 진흙을 바른 듯 하고.
* 山根低陷 : 산근이 낮고 꺼진 듯 하며,
* 地閣偏斜 : 지각이 치우치고, 기울어지며,
* 項露骨節 : 목의 근육과 뼈가 드러나고,
* 聲大如雷 : 목소리가 우레와 같이 크며,
* 性急如火 : 성격이 불처럼 급하고,
* 神濁氣粗 : 안신이 탁하고, 기가 거칠며,
* 天大地小 : 이마는 넓은데 턱이 작으며,
* 白氣如紛 : 흰 기색이 분을 바른 듯 하며,
* 年壽起節 : 년상과 수상에 뼈마디가 일어나고,
* 肉冷如水(氷) : 살이 얼음처럼 차가우며,
* 肩背偏斜 : 어깨와 등이 치우치고 기울며,
* 眼大睛圓 : 눈이 크고, 눈동자가 둥글며,
* 喉結齒大 : 울대가 나오고, 치아가 크며,
* 髮硬骨硬 : 머리카락이 억세고, 뼈가 거칠며,
* 夜睡多呼 : 밤에 잘 대 잠꼬대가 많으며,
* 嘴如吹火 : 입이 불을 불듯 하며,
* 鼻內生毛 : 콧속의 털이 많이 나고,
* 骨起腮高 : 턱의 뼈가 높이 일어나며,
* 命門骨高 : 명문[귀 앞]의 뼈가 높이 솟으며,
* 如雲母面, 色如粉也 : 구름 같은 얼굴색이 분을 바른 듯한 여인.
○ 女人有二十四孤, 犯者夫星子息難言, 乃貧苦之格.
無眉不立, 不立者, 不生子也, 聲破不立, 三十前發, 雙目深陷, 鼻陷深低, 雷公吹火, 臍小淺凸, 股肱無包, 髮不滿尺, 腰圓三圍, 乳頭不起, 肉浮血滯, 肉重如泥, 一面滯色, 皮薄骨細, 肉多骨少, 三陽如墨, 無腹無臀, 面尖耳小, 有顴無腮, 地大天小, 也類男人, 脣白舌靑, 如犯此色者必有疾, 陰陽混雜, 眼乃子宮不可黑白不明○ 女人有二十四孤, 犯者夫星子息難言, 乃貧苦之格
* 여인의 24가지 고신을 범하면 남편과 자식을 말하기 어려운 빈고의 격이다.
* 無眉不立, 不立者, 不生子也 : 눈썹이 없으면 아들이 없다. 불립이란 자식을 낳지 못한다는 뜻이다.
* 聲破不立 : 목소리가 깨진 듯 하면 자식이 없다.
* 三十前發 : 삼십 세 전에 발하면,??
* 雙目深陷 : 두 눈이 깊이 꺼지고,
* 鼻陷深低 : 코가 꺼지고 심하게 낮으며,
* 雷公吹火 : 입이 불을 불듯 하며,
註) 뢰공은 입의 높임 말이다.
* 臍小淺凸 : 배꼽이 작고, 얕으며, 나오고,
* 股肱無包 : 다리·팔의 살이 없으며,
* 髮不滿尺 : 머리카락이 한 척도 되지 않으며,
* 腰圓三圍 : 허리둘레가 삼위이며,
註) 위는 길이의 단위이며, 한 아름을 뜻한다.
* 乳頭不起 : 유두가 없는 듯 하며,
* 肉浮血滯 : 살이 들뜨고 혈이 막힌 듯하며,
* 肉重如泥 : 무거운 살이 진흙과 같으며,
* 一面滯色 : 전면에 체한 기색이 있으며,
* 皮薄骨細 : 살비듬이 얇고, 뼈도 가는 여인은 孤獨之相이다.
* 肉多骨少 : 살은 많은데 뼈가 적은 듯 하며,
* 三陽如墨 : 삼양[와잠]이 묵을 바른 듯 하며,
* 無腹無臀 : 배와 엉덩이가 없으며,
* 面尖耳小 : 얼굴이 뾰족하고 귀가 작으며,
* 有顴無腮 : 관골은 있는데 턱이 없는 듯 하며,
* 地大天小 : 턱은 넓고 이마가 좁으며,
* 也類男人 : 남자처럼 생기며,
* 脣白舌靑, 如犯此色者必有疾 : 입술이 희고 혀가 푸르며, 이 색은 반드시 질병이 많다.
* 陰陽混雜, 眼乃子宮不可黑白不明 : 두 눈이 혼탁하며, 눈은 자녀궁이며, 흑백이 분명하지 않으면 안 된다.
○ 女人有七賢, 主夫明子秀.
行步周正, 面圓體厚, 五官俱正, 三停俱配, 容貌嚴整, 不泛言語, 坐眠俱正.○ 女人有七賢, 主夫明子秀
* 여인에게는 7가지 현명한 상이 있으며 반드시 현명한 남편과 빼어난 자녀을 낳는다.
* 行步周正 : 걸음걸이와 움직임이 바르고, 주의 깊어야 한다.
* 面圓體厚 : 얼굴이 둥글고, 몸이 후덕해야 한다.
* 五官俱正 : 오관이 모두 단정해야 한다.
* 三停俱配 : 삼정이 모두 고르게 배합이 되어야 한다.
* 容貌嚴整 : 용모가 엄숙해야 한다.
* 不泛言語 : 언어가 번잡스럽지 않아야 한다.
* 坐眠俱正 : 앉거나 누울 때도 역시 안정되어야 한다.
○ 女人有四德, 必生貴子
平素不與人爭競, 苦難中無怨言, 節飮食, 聞事不驚喜能尊敬.○ 女人有四德, 必生貴子
* 여인에게는 네 가지 덕이 있는 상이면, 반드시 귀한 자녀를 둔다.
* 平素不與人爭競 : 평소 남과 더불어 싸우거나 다투지 않는다.
* 苦難中無怨言 : 고난 속에서도 원망의 말을 하지 않는다.
* 節飮食 : 음식을 절제 한다.
* 聞事不驚喜能尊敬 : 일을 당하여도 놀라거나 기뻐하지 않으며, 능히 존경 받게 된다.
○女人有壽有夭, 紫煙不同, 解曰
男以神爲主, 女以血爲主, 凡男人神衰則病多, 神旺則病少, 凡女相皮薄皮急尖削, 血衰氣短神粗, 豈能長壽, 凡女人神足血足, 皮厚皮寬, 肉實骨正, 自然福壽之婦.詩曰, 血衰皮急命難全, 皮薄枯乾壽不堅. 若是皮寬並血旺, 須神松筠福壽添.
○女人有壽有夭, 紫煙不同, 解曰
* 여인에게 장수와 요절하는 상이 있으며, 자기와 연기가 같지 않다. 풀이하여 이르길
* 男以神爲主, 女以血爲主
* 남자는 신으로써 위주로 삼고, 여자는 혈로써 위주로 삼는다.
* 凡男人神衰則病多, 神旺則病少
* 무릇 남자의 신이 쇠약하면 병이 많고, 신이 왕성하면 병이 적다.
* 凡女相皮薄皮急尖削, 血衰氣短神粗, 豈能長壽
* 무릇 여자의 상이 피부가 얇고, 피부가 팽팽하며, 뾰족하고 깎인듯 하며, 혈이 쇠약하고 기이 단촉하며, 신의 거칠면 어찌 능히 장수 있겠는가?
* 凡女人神足血足, 皮厚皮寬, 肉實骨正, 自然福壽之婦
* 무릇 여인이 신이 풍족하고, 혈이 충분하며, 피부가 두텁고, 너그러우며, 살이 실실하고, 뼈가 바르게 되면 자연 복과 수가 있는 부인이다.
* 詩曰 血衰皮急命難全, 皮薄枯乾壽不堅
* 시왈 혈이 쇠약하고, 피부가 급하면 생명을 온전하게 지키기 어렵다. 피부가 얇고, 마르고, 건조하면 장수를 굳건히 할 수 없다.
* 若是皮寬並血旺, 須神松筠福壽添
* 만약 피부가 너그럽고, 실실하며, 혈분이 왕성하면 반드시 신이 소나무, 영지버섯과 같이 복과 수를 더하게 된다.
○ 男有五十一孤, 凡一件者, 難言子息
水形有髮, 木形無髮, 眼陷成坑, 臥蠶低暗, 判官形, 羅漢形, 回回鼻, 獅子鼻, 蠹肉生, 獨顴生面, 獨鼻孤峯, 眉疎鬢疎, 華蓋額, 華蓋眉, 頭大面尖, 頭尖額削, 睛黃髮赤, 面大鼻小, 乳頭白小, 乳頭不起, 額上三紋, 鼻上生紋, 口角紋多, 面色如紛, 陽上無毛, 陽毛逆生, 陽囊無紋, 光華白紛, 肉重如泥, 肉浮又軟, 肉滑如綿, 肉多骨弱, 血不華色, 面似橘皮, 人中淺短, 一身無毫, 骨冷精寒, 全身肉冷, 皮血枯焦, 內官聲音, 內官形像, 蛇皮蛇眼, 雷公嘴, 馬面龍睛, 鼠目雉睛, 猢猻腮, 鷹腮, 蛇形, 骨圓(手骨), 三關無脈, 腎脈不起
○ 男有五十一孤, 凡一件者, 難言子息
* 남자의 상에는 51가지 고신이 있다. 무릇 한 건이라도 있는 자는 자식을 말하기 어렵다.
* 水形有髮 : 수형인이 머리카락이 많으면 고신이다.
* 木形無髮 : 목형인이 머리카락이 없으면 고독하다.
* 眼陷成坑 : 눈이 꺼진 듯 구덩이가 생기면 고신이다.
* 臥蠶低暗 : 와잠이 낮고, 어두우면 자식이 없다.
* 判官形 : 염라청 재판관처럼 생긴 얼굴
* 羅漢形 : 라한처럼 생긴 얼굴.
* 回回鼻 : 아랍사람의 코
* 獅子鼻 : 사자코
* 蠹肉生 : 와잠이 좀 벌레 같은 살이 생기면 고신이다.
* 獨顴生面 : 얼굴에 관골이 홀로 높으면 고독하다.
* 獨鼻孤峯 : 홀로 높이 솟은 봉우리 같은 코
* 眉疎鬢疎 : 눈썹과 빈발이 드물면 고독하다.
* 華蓋額 : 승려의 이마
* 華蓋眉 : 승려의 눈썹.
* 頭大面尖 : 머리는 큰데, 얼굴[턱]이 뾰족하면 고독하다.
* 頭尖額削 : 머리는 뾰족하고 이마가 깎인듯 하면 고신이다.
* 睛黃髮赤 : 눈동자가 노랗고, 머리카락이 붉으면 외롭다.
* 面大鼻小 : 얼굴은 큰데, 코가 작으면 홀로 산다.
* 乳頭白小 : 유두가 희고 작으면 아들이 적다.
* 乳頭不起 : 유두가 일어나지 않으면 아들이 없다.
* 額上三紋 : 이마에 세 개의 주름이 있으면 고독하다.
* 鼻上生紋 : 콧등에 주름이 있으면 고독하다.
* 口角紋多 : 입의 끝에 주름이 많으면 고신이다.
* 面色如紛 : 얼굴에 분을 바른 듯 희면 고독하다.
* 陽上無毛 : 양물 위에 털이 없으면 외롭다.
* 陽毛逆生 : 양물의 털이 거슬러서 나면 고독하다.
* 陽囊無紋 : 양물의 주머니에 주름이 없으면 고독하다.
* 光華白紛 : 살이 분을 바른 듯 희고, 화사하게 빛이 나면 고독하다.
* 肉重如泥 : 살이 무거워 진흙 같으면 고독하다.
* 肉浮又軟 : 살이 들뜨고, 또 부드러우면 아들을 못 둔다.
* 肉滑如綿 : 살이 솜처럼 부드럽고 미끄러우면 고독하다.
* 肉多骨弱 : 살이 많고, 뼈가 약하면 고독하다.
* 血不華色 : 혈색이 화사하지 않으면 고독하다.
* 面似橘皮 : 얼굴이 귤피 같으면 고독하다.
* 人中淺短 : 인중이 얕고, 짧으면 고독하다.
* 一身無毫 : 온 몸에 털이 없으면 고독하다.
* 骨冷精寒 : 뼈가 차갑고, 정혈이 차가우면 고독하다.
* 全身肉冷 : 온 몸이 살이 차가우면 고독하다.
* 皮血枯焦 : 피부의 혈색이 말라 타는 듯 하면 고독하다.
* 內官聲音 : 내시 같은 음성이면 아들이 없다.
* 內官形像 : 내시 같은 형상을 하면 고독하다.
* 蛇皮蛇眼 : 뱀 같은 피부, 뱀의 눈과 같으면 고독하다.
* 雷公嘴 : 입이 새의 부리 같으면 고독하다.
* 馬面龍睛 : 말은 얼굴, 용의 눈동자면 외롭다.
註) 말의 얼굴은 길고, 용의 눈동자는 나와 있어서 외롭고 고독한 상이다.
* 鼠目雉睛 : 쥐의 눈이나 꿩의 눈동자면 외롭다.
* 猢猻腮 : 원숭이의 턱과 같으면 외롭다.
* 鷹腮 : 매의 턱과 같으면 외롭다.
* 蛇形 : 뱀과 같은 형상이면 외롭다.
* 骨圓(手骨) : 손가락의 뼈가 둥글면 외롭다.
* 三關無脈 : 입. 귀. 눈[삼관]에 맥이 없으면 고독하다.
* 腎脈不起 : 신장의 맥이 짚이지 않으면 고독하다.
○男有十剋之格, 凡一件者, 一子也不能送終, 乃老困之相.
鬚分燕尾, 鬚直無索, 子鬚, 臥蠶低暗, 乳頭朝下, 牛肉朝下, 眉毫喬上, 鬚多無髮, 一面縐紋, 眼下生毫.*男有十剋之格 : 남자로서 10극의 격이 있다.
* 凡一件者, 一子也不能送終, 乃老困之相
* 무릇 한 건이라도 있는 자는 자식이 하나 있어도 능히 끝까지 지키지 못하고, 이에 늙어 곤고한 상이다.
* 鬚分燕尾 : 수염이 제비 꼬리처럼 나뉘면 10극이다.
* 鬚直無索 : 수염이 곧아서 곱실거리지 않으면 10극이다.
* 子鬚 : 턱의 가운데만 자라나는 수염이면 10극이다.
* 臥蠶低暗 : 와잠이 낮고 어두우면 10극이다.
* 乳頭朝下 : 유두가 아래로 향하면 10극이다.
* 牛(蠹)肉朝下 : 와잠이 아래로 쳐지면 10극이다.
* 眉毫喬上 : 눈썹의 털이 활시위를 당겨 놓은 듯 위로 향하면 10극이다.
* 鬚多無髮 : 수염은 무성한데, 머리카락이 없으면 10극이다.
* 一面縐紋 : 얼굴에 가는 주름이 있으면 10극이다.
* 眼下生毫 : 눈 밑에 가는 털이 나면 10극이다.
○ 十二件刑妻之相.
天倉生此, 爲開庫紋, 剋五妻, 鬚多鼻小, 鬚長無索, 顴骨高, 天倉陷, 山根斷, 魚尾低, 羅漢判官, 三尖六削, 奸門深, 魚尾紋深, 魚尾一紋一妻.○ 十二件刑妻之相 : 12가지의 건은 처를 형극하는 상이다.
* 天倉生此(疵) 爲(地)開庫紋 剋五妻 : 천창에 흉터가 있고, 턱이 벌어지고, 지고에 주름이 있으면 처를 다섯 번 형극한다.
* 鬚多鼻小 : 수염은 많은데 코가 작으면 처를 형극한다.
* 鬚長無索 : 수염이 길지만 곱실거림이 없으면 형처한다.
* 顴骨高 : 관골이 너무 높으면 형처한다.
* 天倉陷 : 천창이 꺼지면 형처한다.
* 山根斷 : 산근이 끊어지면 형처한다.
* 魚尾低 : 어미가 낮으면 형처한다.
* 羅漢判官 : 라한이나 판관처럼 생기면 형처한다.
* 三尖六削 : 삼첨과 육삭이면 형처한다.
註) 삼첨은 머리, 준두, 지각이며, 세 곳이 뾰족한 것을 뜻하고, 육부는 천창 상이부, 관골 중이부, 지고 하이부라 하여 육부가 깎인 것을 육삭이라 한다.
* 奸門深 : 간문이 깊으면 형처한다.
* 魚尾紋深 : 어미에 깊은 주름이 있으면 형처한다.
* 魚尾一紋一妻 : 어미에 주름이 하나면 한 번 처를 剋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