命宮(雙局中間印堂部位) 一、命宮有直紋的人: 此種有懸針紋,影響所及勢必神經衰弱,個性偏激,疑神疑鬼,易遭失敗。 二、命宮低陷的人: 除自卑外,生活較艱苦孤獨。命宮低陷的人,易遭生命危險兼保護力弱。 三、命宮狹窄的人: 碌而操心,為人氣量不大,缺乏安全感。 猜忌多疑,運程起伏,一生過得不太安定。 四、命宮有皺紋沖破之人: 運氣不順,頗勞碌。易與上司或別人引起爭端、遭到失敗。 五、命宮氣色的看法如何: 赤紅色,必須防止口舌是非,官非訴訟。 青色,必有驚恐之事發生。 黑色,必有破財、骨折車禍等事發生。 六、命宮寬大的人: 是一個成功的人,智慧和器量都相對的增加。 七、命宮豐厚的人: 是一個圓滿的命格。容易獲得成功與財富。 附註:命宮位於兩眉之間。 太寬:二指以上、無主見、理想高不切實際。 太窄:低於一指、考慮太少。眉頭交鎖氣量狹窄。 隱性懸針紋屬內勞型、勞心傷神。 (此人頭腦聰明與人說話之際其腦筋不停的轉動) 印堂寬廣雙分入鬢、卿相位何疑、交頭並印促、背祿奔馳。 朝中無交眉之宰相。 財帛宮 (鼻子部位) 一、鼻子窄小肉薄而陷的人: 身體健康不佳。 財帛較差、作事易受阻滯、反覆且困難。 如為女人、其丈夫必定長得不美。 二、鼻子上有橫紋的人: 易得暗疾、不易治療。 婚姻與事業易造成失敗。 三、鼻子有直紋的人: 易為養子或收他人為養子 如在準頭上的直紋,則是五馬分屍紋,注意交通外傷。 四、鼻樑低鼻頭尖的人: 財帛不佳。 身體不佳。 如為女人沒有好的丈夫運。 五、鼻孔仰露的人: 財來財去、不易守財。 為人較浪費、不為節制。 六、鼻子彎曲斷節的人: 婚姻易遭失敗。 三十五至四十歲時身體不佳。 經濟狀況有挫折。 七、準頭太接近唇邊的人: 處世經驗差、眼光淺。 做事沒有原則、易受牽制。 八、鼻子氣色赤紅的人: 象徵是非口舌、犯小人、破財。 長期赤紅、必見貧窮狐獨。 九、鼻子有黑塵的人: 生病的跡象。 不易存殘、財源不佳、有破財跡象。 宜防水難、或腎臟有疾病。 十、鼻子豐聳直的人: 表示財帛富足。 表示健康長壽。 表示地位與名望日趨上升。 十一、鼻子圓勻高貫的人: 圓勻則多福、生活享受美好。 高貫則事業崛起、地位崇高。 十二、鼻子端方整齊的人: 有強大的活力、從事各項工作。 如為女人必嫁一個好丈夫。 十三、鼻子氣色潤澤的人: 表示目前財源廣進、事業順遂。 如黃亮光艷如紫、更是萬事如意財富大增。 鼻樑低則聚,高則會花。 長在鼻翼上的黑痣會漏財。 女子無命但看夫星(看鼻相) 鼻長為臉長的三分之一,高度是鼻長的三分之一。 鼻子太長,教人多生疑慮,太短易於暴躁。 鼻低而陷夫婿必多勞碌,鼻有缺病,丈夫外遇特多。 鼻高無樑,婚姻終須觸礁,除非作繼室,或可自保無妨。 面大鼻小,加上小腿削瘦,乃是情婦姘頭之命。 鼻高觀配才好,否則丈夫恐怕受不了欺凌,結果在外金屋藏嬌。 端正純和、善良多福。 豐隆有勢、高貴任俠。 肥厚不露、貪食財豐。 此外鼻樑要茁壯力強、意志堅定、少年得志、家長愛護。 女命鼻子長瘤,易長子宮癌或切除。 準頭須以光潤為佳、縱無財喜亦必健康、切忌發紅、會破財。 亦忌發赤:赤則貪而奔波,赤而焦名為火燒中堂,百事無成、易遭兇死。 常紅:奔波、野心、詭計過人、易成易敗; 易得罪他人,宜修身養性、易得罪他人而官司刑訟。 鼻頭淡黑防疾病將生:呈不潔垢穢、則主波奔勞苦。 準頭有痣,雖免破財,益多佈財施,也主好色, 男為女敗、女為男勞、女性所嫁之人必是剛暴、惡劣且心計尖毒之人。 父母宮 (在日月角至輔角的部位,左父右母) 一、日月角低陷或凹凸不平的人: 父母親的緣份淡薄。 父母親在其早年時生活環境、不佳難受良好照顧。 日月角偏斜或有傷痕的人。 二、日月角偏斜或有傷痕的人: 顯示父母親的健康情形及目前狀況。 顯示父的居家情形。 三、明角氣色暗滯的人: 父母親有疾病發生。 顯示考試不能過關。 四、日月角氣色黑暗的人: 父母親的身體有疾、很危險。是重病。 五、日月角黃潤光澤的人: 表示父母身體健康。 表示父母親有喜事。 表示考試順利過關。 六、日月角豐隆明亮而相勻配的人: 父母親的健康情形良好。 福氣而長壽。 七、日月角有痣或疵的人: 表示父母有暗疾或受傷的情形。 其位置何處視痣或疵的位置而定。 兄弟宮 (左右兩眉毛的位置、左兄弟右姊妹) 一、眉毛短促的人: 脾氣不穩定、外觀隨和、不易與人和睦相處。 兄弟姊妹感情不好、縱好也是各自奔忙。 兄弟感情緣數幾年依流年算之。 二、眉毛粗糙的人: 眉稀之人不可交、兄弟無義。 易與人相爭脾氣不佳。眉毛凌亂、兄弟不睦、對工作不滿。 易有法律訴訟事件發生。 三、眉毛旋螺的人: 唐詩:粧罷低顏問夫婿 脾氣最壞、殺氣騰騰。畫眉深淺入時無。 易有法律訴訟事件。 四、眉毛有間斷的人: 兄弟姊妹感情會有挫折、易有不和或意外傷亡事故。 小心兄弟姊妹間及自己健康方面出問題。 五、眉毛有光彩的人。 精神活力充足、有服務大眾之心。 能廣受群眾的敬重。 六、眉毛有眉帶稜骨的人。 反叛心強、自尊心亦強。 眉毛如長得漂亮、兄弟都能發達。 七、眉毛柔細、長順、清秀的人。 兄弟感情良好、能互相助益。 看不得兄弟有苦難、必定鼎力相助。 性情溫和、爭執少。 備註: 眉上有痣為劫財、忌交有財。 眉毛每根長一公分。 女命眉濃下部毛粗密,其性無厭。 女命眉稀缺乏自律,其性貪婪。 眉毛須要長(長度)或要毛長也要齊(最好向上有一定的方,無逆生。) 眉毛逆生代表凶禍(立即拔除,洗臉時用熱毛巾敷眉,讓其平順。) 眉長毫毛(又為彩) 30歲見毫毛,35歲死。35歲見,40歲死。40歲見45歲死。 45歲以後長毫毛又不同乃屬富貴有壽之相。 眉細而密多,愛情熱烈濃厚:眉疏而白少, (律眉)主觀、金錢至上、利害衝突時、六親不認、對先生也不例外。 女眉稀薄沒多大關係,但眉頭和眉毛的濃淡疏密一定要相*、 頭頭無尾或頭濃眉稀、人生中會有一段刻骨銘心的遭遇。 眉毛或眉尾別長:父母鐘愛、孝順父母、也要求夫婿孝順娘家。 一字眉:感情豐富、更兼理智、能幹、自尊心強、為女強人性格。 夫妻宮 (眼晴的尾部魚尾及魚尾外側奸門部位) 一:若低陷肉薄的人: 婚姻生活易生障礙、不易協調。 婚姻有問題須防止離婚。 二:若見其上有十字紋的人 會打老婆,而且對老婆很凶。 防止婚姻有始無終。 三:若見魚尾蚊的人: 此人勞碌。 性神經衰弱、不能持久的人。 四:若見黑痣的人: 易搞三搞四,有剋妻或夫之嫌。 若從事娛樂事業,則人緣特別好。 五:若見青筋的人: 配偶必體弱多病。 性冷惑不協調之象。 六:若見眼尾朝下的人: 此人吝嗇,小心異性糾纏、會造婚姻不幸。 七:眼尾可看出情緒平定否: 眼尾垂則易變、眼尾上翹、則是感覺敏銳、性緒激昂、有驕氣、有原則。 八:若眼尾肌肉豐滿、氣色光潤明鮮的人。 配偶相當聰慧賢淑。 夫妻生活美滿、感情佳。 備註: 女人失貞的翌的魚尾部會有一層薄紅。 魚尾紋兩三條較好,如果只有一條,表示其人個性厲害, 出現多而則為淫亂之相。 魚尾色暗而濁的人或有痣,雀斑、疤痕、腫、病, 表示有色難或感情糾葛、對婚姻欠缺忠誠故難偕白首。 子女宮 (淚堂及臥蠶部位,左子右女) 一、若見肌肉乾枯低陷或見骨的人: 子女不孝,易有爭執意,父母與子女無緣。 子女健康有問題。 懷孕易生問題,要多看醫生,防止不孕或流產。 二、若見皺紋深痕的人: 不易懷孕,要檢查生殖是否有缺陷。 子女不孝,與子女健康有問題。 易收養蟆蛉義子。 三、若見有黑痣的人: 防止患有先天性的疾病。 注意刑剋問題,左眼子女宮代表男,右眼子女宮代表女,痣在眼頭代表 長男長女,痣在眼尾代表么男么女。 當心對孩子會操心操勞,甚至過份的寵愛。 痣的大小或色惡更象徵程度的輕重。 四、若肌肉豐滿或有臥蠶的人: 子女必定成器有出息。 子女相當孝順。 子女健康良好。 五、若子女宮寬闊的人 子女落落大方。 子女成群。 備註: 1.生男育女速斷法: 被相人:男女都可(孕婦本人或先生) 方法:概看全臉臉色。 快速逼近看臥蠶。 綜合氣色左和平均臉色不同-生男胎。 綜合氣色右和平均臉色不同-生女胎。 右臥蠶和平均臉色不同,眼袋較大-生女。 左臥蠶和平均臉色不同,眼袋較大-生男。 2.臨盆日期: 印堂紅主丙丁日火旺,必生男。 水星口角 主壬癸水旺,必生女。 雙顴明主甲乙日本旺,必生男。 天倉下庫 主庚辛日金旺,必女必難產,必男無妨。 官祿宮 (左前額的中央部,上至髮往下至印堂) 一、官祿宮有疤痕或黑痣的人: 小心傲上或犯上,自以為才華受長輩的壓抑。 代表父母或家庭有事發生。 宜從事服務行業。 二、塌陷的人: 事業有嚴重的無力感。 命運顯得挫折與坎坷,易遭困難,多失敗。 三、有橫紋截過的人: 少年環境差,挫折多,相當勞苦。 好管閒事,喜打抱不平,易惹麻煩。 是個神經質的人,夜晚睡不著的人。 四、有懸斜紋沖破的人: 做事神經兮兮,疑神疑鬼,令人討厭。 個性固執拗強,很霸道。 極易碰上意外災難,宜投保險。 五、最忌黑暗氣色,因此有黑暗氣色的人: 小心降調失 ,破產失業,官司口舌。 防止身體上疾病,宜赴醫院檢查以免不可收拾。 六、端正豐隆的人: 端正代表事業根基的雄厚,事業未來展望極佳。 豐隆則代表聲名,地位劫如破竹,大展雄風, 再見骨聳透髮際更易成功,人人敬仰。 七、氣色黃明透紫的人: 運氣極佳,萬事如意。 在官升官,仕民進財,堪稱福祿雙至。 田宅宮 (兩眉之間的上眼瞼部位) 一、眼瞼寬廣而美的人: 個性良好溫和。 居住的環境極佳。 能得長輩照顧提攜,獲得遺產。 二、上眼瞼狹窄而陷的人: 個性較急。 居住環境較差。 做房產買賣極易吃虧,不易賺錢。 三、眼瞼有痣或疤的人: 容易變動環境。 家內易不平安。 四、眼瞼表筋顯現的人: 要檢查內分泌系統。 否則會影嚮睡眠不足或失眠。 備註: 田宅宮有痣要注意燙傷。 奴僕宮(下巴的左右面頰、兩腮的內側的部份) 一、兩腮尖削無肉的人: 遇不到知心與忠心的朋友,無法相信他人疑神疑鬼。 晚運不佳。 二、破陷、傷疤、痣痕的人: 易遭下屬的攻訐或誣告,雖有忠實的部下。 宜防水厄。 三、腮骨成 角方形的人: 精神活力充足,肯苦幹。 老運極佳的人。 四、腮頰肌肉圓豐的人: 性格圓滿,個性溫和。 為人忠厚誠實,以善待人。 備註: 承漿有痣忌行船並戒酒,會有水厄。 承漿為奴僕宮氣色灰暗家中潮濕,反之則乾陽光充足。 疾厄宮(山根及鼻樑左右位置) 一、山根斷裂的人: 經常有疾病發生。 意外事件大都與生命的安危有關。 應遠離故鄉,出外謀發展。 二、山根有紋的人: 如為宜紋,易收他人為養子,或自己被人收養。 如為宜紋,小心意外災難,尤其要注意車禍, 如為準頭上的直紋,則為五馬分屍之紋,小心死得難看。 如為橫紋,小心暗疾或挫折,挫折指婚姻及事業挫折。 三、印堂出現青筋的人: 須預防腎病。 須防止身體上的日趨衰弱。 四、鼻樑見節人: 防止身體上災病不斷。 防止婚姻不幸,一結再結。 五、鼻樑出現青筋的人: 防止慢性疾病的出現,如胃腸病、慢性支氣管炎、便秘或痔瘡。 寒氣旺小心險邪入侵。 六、山根豐滿的人: 身體強壯,對疾病抵抗力強。 夫婦婚姻生活美滿,百鳳和鳴。 財氣充足,十足好運。 備註: 山根低陷或有痣及橫紋:一生中易車禍,注意41歲至44歲有大難。 壽上有骨凸如結節者:一生事業或婚姻會有一次相當大的挫折。 如有痣出現或氣色晦滯,休咎與上相同,主身弱多病或貧困。 男:易為女色所誘。 女:易為男人所欺,所嫁之人難免多病,百事纏身。 看山根須與氣色結合,山根氣色灰暗為生病之前兆。 女命山根灰暗氣色漫及山根兩旁而達夫座,必有通姦之事實。 山根黑氣下貫年上,是為家人有病,黑氣越重,病亦愈重,甚至死亡。 山根有痣主刑剋,女會改嫁,男再娶,如在下部正中央主災劫橫死。 山根上部之痣,多以牢獄之災應驗,在左右側多半患胃病。 福德宮(在眉尾的上方,而眉凌骨又稱蓄財骨看財氣福氣的部位) 一、福德宮尖削無肉的人: 很勞碌,但總是勞多獲少。 個性孤獨,不易獲得知音。 二、低陷或有缺陷的人: 可以說是一個無福的人,勞碌命不妨外出創業,也許會有一番新氣象。 小心農曆四月份及七月份有災禍。 三、飽滿明潔的人: 福氣很大,福澤不小。 可以安心享樂,事業成功的人,一生很少挫折。 遷移宮(前額兩側靠髮際的部份,包括邊城驛馬, 上至山林下至輔角,眉毛上方外側部) 一、遷移宮低陷的人: 出外無力,白奔波。 不適合外務工作,不宜創業管理。 二、遷移宮狹窄不平的人: 財源少,不適合國貿。 安份為妙,免將祖業敗光。 三、氣色黑暗的人: 出外不力。 陰靈侵入。 四、有惡痣、刀疤之類的人: 出外小心,會屢遭危險。 不適宜經營國貿,出外旅行最好投入保險業。 屢為工作不穩定而為遷移變動所苦。 五、遷移宮豐隆的人: 出外有良好的契機,可以大發展。 最適宜經營國際貿易事業的人,財源富足。 六、遷移宮有骨聳起的人: 出外掌握權勢。 投入軍旅界必能顯赫一時。 備註: 流年遷移宮有痣、疤及氣色不佳,不能出國或不順利成行。 【面相歌訣】 面相歌訣對初學人士大有助力 赤脈貫睛,不離敗則破。 紅絲纏眼,不禍則殃。 三角眼之相,陰謀而陰毒。 鶯歌咀鼻,奸滑而貪心。 唇掀暴牙防命短,囊縮咀凸也孤貧。 口大唇薄,好說是非之輩。 掌宿烏鴉,恐招刑戳之徒。 行如火炎輕且薄,眼斜浮露賤而淫。 坐常搖膝,有財難聚。 背脊陷坑,從富而貧。 行步全身搖動,敗家之輩。 向人冷笑無情,蹇義之流。 兩眼視物如針,此相不奸即盜。 雙睛光露如醉,此人非盜即娼。 一線人中,無子而死。 流涎口角,乏食而寒。 髮際壓目,不獨刑傷而蹇滯。 雙眉鎖印,縱無剋害也孤貪。 少年白髮,怙恃早刑。 壯藏眉寒,兒女多害。 聲粗而燥賤且惡,髮短而亂夭且孤。 眼垂眉寒,懼內之人。 鬚黃髮赤,不孝之兒。 眼凸眉寒,性貪婪而蹇滯。 腮尖耳聳,心無信而乖張。 井灶露竅,必困敗於中年。 額角尖斜,定貧寒於幼歲。 冷笑無情,機深莫測測。 多言好勝,惹禍招災。
一 命宮
命宮者는 居兩眉間山根之上하니 光明如鏡하면 學問皆通하고
山根平滿이면 乃主福壽오 土星聳直하면 扶拱財星이오
眼若分明하면 財帛豊盈하고 額如川者하면 命逢驛馬라
官星이 果若如斯하면 必保雙全富貴나 凹沈하면 必定貧寒이오
眉接相交하면 成下賤이오 亂理면 離鄕又剋妻오
額窄眉枯하면 破財迍邅이라
山根平滿이면 乃主福壽오 土星聳直하면 扶拱財星이오
眼若分明하면 財帛豊盈하고 額如川者하면 命逢驛馬라
官星이 果若如斯하면 必保雙全富貴나 凹沈하면 必定貧寒이오
眉接相交하면 成下賤이오 亂理면 離鄕又剋妻오
額窄眉枯하면 破財迍邅이라
詩曰 眉眼中央是命宮이니 光明瑩淨學須通이라
若還紋理多迍滯니 破盡家財及祖宗이라
若還紋理多迍滯니 破盡家財及祖宗이라
二 財帛宮
鼻乃財星이라 爲居土宿이니
(天倉, 地庫, 金甲, 三陰, 井竈를 總曰財帛이니
須要豊滿明潤이라야 財帛有餘오 忽然枯削昏黑하면 財帛乏消이라)
截筒懸膽이면 千倉萬箱이오 聳直豊隆하면 一生財旺富貴오
中正이 不偏하면 須知永遠滔滔며
鷹嘴尖峰이면 破財貧寒이니 莫敎孔仰하라 主無隔宿之糧이오
廚竈若空하면 必是家無所積이니라
(天倉, 地庫, 金甲, 三陰, 井竈를 總曰財帛이니
須要豊滿明潤이라야 財帛有餘오 忽然枯削昏黑하면 財帛乏消이라)
截筒懸膽이면 千倉萬箱이오 聳直豊隆하면 一生財旺富貴오
中正이 不偏하면 須知永遠滔滔며
鷹嘴尖峰이면 破財貧寒이니 莫敎孔仰하라 主無隔宿之糧이오
廚竈若空하면 必是家無所積이니라
詩曰 鼻主財星瑩若隆하고 兩邊廚?莫敎空하라
仰露家無財與粟이오 地閣相朝甲匱豊이라
仰露家無財與粟이오 地閣相朝甲匱豊이라
三 兄弟宮
兄弟位居兩眉라 屬羅計하니
眉長過目하면 三四兄弟無刑하고
眉秀而疎하고 枝幹이 自然端正하야
有如新月하면 和同永遠超群이오
眉環塞眼하면 雁行必疏하며 兩樣眉毛면 交須異母오
交連黃薄하면 自喪他鄕이오 若是短粗하면 同氣連枝見別이오
旋結回毛하면 兄弟蛇鼠니라
眉長過目하면 三四兄弟無刑하고
眉秀而疎하고 枝幹이 自然端正하야
有如新月하면 和同永遠超群이오
眉環塞眼하면 雁行必疏하며 兩樣眉毛면 交須異母오
交連黃薄하면 自喪他鄕이오 若是短粗하면 同氣連枝見別이오
旋結回毛하면 兄弟蛇鼠니라
詩曰 眉爲兄弟軟輕長하면 兄弟生成四五强이라
兩角不齊須異母오 交連黃薄喪他鄕이라
兩角不齊須異母오 交連黃薄喪他鄕이라
四 田宅宮
田宅者는 位居 兩眼이니
最怕赤脉侵睛이라 初年破盡家園하고
到老無糧作孼이오 眼如點漆하면 終身産業이 榮昌하고
鳳目高眉하면 稅置三州五縣이오 陰陽枯骨하면 莫保田園이오
火眼氷輪은 家財傾盡이라
最怕赤脉侵睛이라 初年破盡家園하고
到老無糧作孼이오 眼如點漆하면 終身産業이 榮昌하고
鳳目高眉하면 稅置三州五縣이오 陰陽枯骨하면 莫保田園이오
火眼氷輪은 家財傾盡이라
詩曰 眼爲田宅主其宮하니 淸秀分明一樣同이라
若是陰陽枯更露하면 父母家財總是空이라
若是陰陽枯更露하면 父母家財總是空이라
五 男女
男女者는 位居兩眼下하니 名曰漏堂이라
三陽平滿하면 兒孫福祿榮昌이오
隱隱臥蠶이면 子媳還須淸貴오
漏堂이 深陷하면 定爲男女無緣이오
黑痣斜紋이면 到老兒孫有剋이오
口如吹火하면 獨坐蘭房이오
若是平滿人中이면 難得兒孫送老니라
三陽平滿하면 兒孫福祿榮昌이오
隱隱臥蠶이면 子媳還須淸貴오
漏堂이 深陷하면 定爲男女無緣이오
黑痣斜紋이면 到老兒孫有剋이오
口如吹火하면 獨坐蘭房이오
若是平滿人中이면 難得兒孫送老니라
時曰 男女三陽起臥蠶이니 瑩然光彩好兒郞이라
懸針理亂來侵位하면 宿債一生不可當이라
懸針理亂來侵位하면 宿債一生不可當이라
六 奴僕
奴僕者는 位居地閣하니 重接水星하고
顔圓豊滿하면 侍立成群이오
輔弼星朝면 一呼百諾이오
口如四字하면 主呼聚喝散之權이오
地閣尖斜하면 受恩深而反成怨恨이오
紋痕敗陷하면 奴僕不周하고
墻壁低傾하면 恩成讐隙이니라
顔圓豊滿하면 侍立成群이오
輔弼星朝면 一呼百諾이오
口如四字하면 主呼聚喝散之權이오
地閣尖斜하면 受恩深而反成怨恨이오
紋痕敗陷하면 奴僕不周하고
墻壁低傾하면 恩成讐隙이니라
詩曰 奴僕還須地閣豊이니 水星兩角不相容이라
若言三處都無應이면 傾陷紋痕總不同이라
若言三處都無應이면 傾陷紋痕總不同이라
七 妻妾宮
妻妾者는 爲居魚尾하니 號曰奸門이라
光潤無紋하면 必保妻全四德이오
豊隆平滿하면 娶妻에 財帛盈箱하고
顴星이 侵天하면 因妻得祿하고
奸門이 深陷하면 常作新郞하고
魚尾紋多하면 妻防惡死하고
奸門이 黯黲하면 自號生離오
黑?斜紋이면 外情好而心多淫慾이니라
光潤無紋하면 必保妻全四德이오
豊隆平滿하면 娶妻에 財帛盈箱하고
顴星이 侵天하면 因妻得祿하고
奸門이 深陷하면 常作新郞하고
魚尾紋多하면 妻防惡死하고
奸門이 黯黲하면 自號生離오
黑?斜紋이면 外情好而心多淫慾이니라
詩曰 奸門光澤保妻宮하면 財帛盈箱見始終이오
若是奸門生黯黲하고 斜紋黑痣蕩淫奔이라
若是奸門生黯黲하고 斜紋黑痣蕩淫奔이라
八 疾厄
疾厄者는 印堂之下라 位居山根하니
隆而豊滿하면 祖祿無窮하고
連接伏犀하면 定主文章이오
瑩然光彩하면 五福俱全하고
年壽高平하면 和鳴相守하며
痕紋低陷하면 連年宿疾沉痂오
枯骨尖斜하면 未免終身受苦오
氣如烟霧하면 災厄纏身이니라
隆而豊滿하면 祖祿無窮하고
連接伏犀하면 定主文章이오
瑩然光彩하면 五福俱全하고
年壽高平하면 和鳴相守하며
痕紋低陷하면 連年宿疾沉痂오
枯骨尖斜하면 未免終身受苦오
氣如烟霧하면 災厄纏身이니라
詩曰 山根疾厄起平平하면 一世無災禍不生이오
若直紋痕幷枯骨하면 平生辛苦却難成이라
若直紋痕幷枯骨하면 平生辛苦却難成이라
九 遷移
遷移者는 位居眉角하니 號曰天倉이라
隆滿豊盈하면 華彩無憂하고
魚尾位平하면 到老得人欽羨하고
騰騰驛馬면 須貴遊宦四方이오
額角이低陷하면 到老住場難覓이오
眉連交接하면 此人은 破祖離家오
天地偏斜하면 十居九變이라 生
相如此는 不在移門이면 必當改墓니라
隆滿豊盈하면 華彩無憂하고
魚尾位平하면 到老得人欽羨하고
騰騰驛馬면 須貴遊宦四方이오
額角이低陷하면 到老住場難覓이오
眉連交接하면 此人은 破祖離家오
天地偏斜하면 十居九變이라 生
相如此는 不在移門이면 必當改墓니라
詩曰 遷移宮分在天倉하니 低陷平生少住場이라
魚尾末年不相應하면 定因遊宦却尋常이라
魚尾末年不相應하면 定因遊宦却尋常이라
十 官祿
官祿者는 位居中正하니 上合離宮하고
伏犀頂貫하면 一生에 不到公庭이오
驛馬朝歸하면 官司退擾하고 光明瑩淨하면 顯達超群이오
額角堂堂하면 犯着官司貴解오 紋痕理破하면 常招橫事하고
眼如赤鯉하면 決死徒刑이니라
伏犀頂貫하면 一生에 不到公庭이오
驛馬朝歸하면 官司退擾하고 光明瑩淨하면 顯達超群이오
額角堂堂하면 犯着官司貴解오 紋痕理破하면 常招橫事하고
眼如赤鯉하면 決死徒刑이니라
詩曰 官祿榮宮仔細詳하라 山根倉庫要相當이니
忽然瑩淨無痕點하면 定主官榮久貴長이라
忽然瑩淨無痕點하면 定主官榮久貴長이라
十一 福德
福德者는 位居天倉이니 牽連地閣하고
五星이 朝拱하면 平生福祿이 滔滔하고
天地相朝하면 德行須全五福이오
鮭圓額窄하면 須知苦在初年이오
額潤頦尖하면 迍否還從晩景이오
眉高目聳하면 尤且平平하고
眉壓耳掀하면 休言福德하라
五星이 朝拱하면 平生福祿이 滔滔하고
天地相朝하면 德行須全五福이오
鮭圓額窄하면 須知苦在初年이오
額潤頦尖하면 迍否還從晩景이오
眉高目聳하면 尤且平平하고
眉壓耳掀하면 休言福德하라
詩曰 福德天倉地閣圓하고 五星光照福綿綿이라
若還缺陷幷尖削하면 衣食平平更不全이라
若還缺陷幷尖削하면 衣食平平更不全이라
十二 父母
父母宮은 論日月角이니 須要高圓이라
明淨則父母 長壽康寧하며 低陷하면 幼失雙親이오
暗昧하면 主父母有疾이라 左角은 偏妨父오 右角은 偏妨母라
或同父異母며 或隨母嫁父하고 出祖成家라
重重災異니 只宜假養이라야 方免刑傷이라
又云重羅疊計면 父母重拜하고
或父亂母淫하야 與外奸通이며 又主妨父害母라
頭側額窄은 多是庶出이며 或因奸而得이라
又云左眉高右眉低하면 父在母先歸하고
右眉上左眉下하면 父亡母去嫁오
額削眉交하면 父母早抛라 是爲隆角이니 反面無情이오
兩角入頂하면 父母雙榮하고 更受祖?하며 父母聞名하고
氣色靑하면 主父母憂疑오 又有口舌傷刑하고
黑白하면 主父母雙亡하고 紅黃하면 主雙親喜慶이니라
明淨則父母 長壽康寧하며 低陷하면 幼失雙親이오
暗昧하면 主父母有疾이라 左角은 偏妨父오 右角은 偏妨母라
或同父異母며 或隨母嫁父하고 出祖成家라
重重災異니 只宜假養이라야 方免刑傷이라
又云重羅疊計면 父母重拜하고
或父亂母淫하야 與外奸通이며 又主妨父害母라
頭側額窄은 多是庶出이며 或因奸而得이라
又云左眉高右眉低하면 父在母先歸하고
右眉上左眉下하면 父亡母去嫁오
額削眉交하면 父母早抛라 是爲隆角이니 反面無情이오
兩角入頂하면 父母雙榮하고 更受祖?하며 父母聞名하고
氣色靑하면 主父母憂疑오 又有口舌傷刑하고
黑白하면 主父母雙亡하고 紅黃하면 主雙親喜慶이니라
十二宮 相貌
相貌者는 先五嶽이 盈滿이니
此人은 富貴多榮하고 次辯三停俱等이니 永保平生顯達이라
五嶽이 朝聳하면 官祿遷榮하고 行坐威嚴하면 爲人이 尊重이라
額主初運이오 鼻主中年이며 地庫水星이 是爲末主니
若有剋陷하면 斷爲凶惡이니라
此人은 富貴多榮하고 次辯三停俱等이니 永保平生顯達이라
五嶽이 朝聳하면 官祿遷榮하고 行坐威嚴하면 爲人이 尊重이라
額主初運이오 鼻主中年이며 地庫水星이 是爲末主니
若有剋陷하면 斷爲凶惡이니라
詩曰 相貌須敎上下停이니 三停平等更相生이라
若還一處無均等하면 好惡中間有改更이라
若還一處無均等하면 好惡中間有改更이라
1.命 宮
命宮者는 居兩眉間山根之上하니
光明女鏡하면 學問皆通하고 山根平滿이면 乃主福壽오
土星聳直하면 扶拱財星이오 眼若分明하면 財帛豊盈하고
額如川字하면 命逢驛馬라
官星이 果若如斯하면 必保雙全富貴나
凹沈하면 必定貧寒이오 眉接相交하면 成下賤이오
亂理면 離鄕又剋妻오 額窄眉枯하면 破財迍邅이라
光明女鏡하면 學問皆通하고 山根平滿이면 乃主福壽오
土星聳直하면 扶拱財星이오 眼若分明하면 財帛豊盈하고
額如川字하면 命逢驛馬라
官星이 果若如斯하면 必保雙全富貴나
凹沈하면 必定貧寒이오 眉接相交하면 成下賤이오
亂理면 離鄕又剋妻오 額窄眉枯하면 破財迍邅이라
時曰 眉眼中央是命宮이니 光明瑩淨學須通이라
若還紋理多迍滯니 破盡家財及祖宗이라
若還紋理多迍滯니 破盡家財及祖宗이라
2. 財帛宮
鼻乃財星이라 位居土宿하니
(天倉, 地庫, 金甲, 二陰, 井竈를 總曰財帛이니
須要豊滿明潤이라야 財帛有餘오 忽然枯削昏黑하면 財帛乏消이라)
截筒縣膽이면 千倉萬箱이오 聳直豊隆하면 一生財旺富貴오
中正이 不偏하면 須知永遠滔滔며 鷹嘴尖峰이면 破財貧寒이니
莫敎孔仰하라 主無隔宿之糧이오 厨竈若空하면 必是家無所積이니라
(天倉, 地庫, 金甲, 二陰, 井竈를 總曰財帛이니
須要豊滿明潤이라야 財帛有餘오 忽然枯削昏黑하면 財帛乏消이라)
截筒縣膽이면 千倉萬箱이오 聳直豊隆하면 一生財旺富貴오
中正이 不偏하면 須知永遠滔滔며 鷹嘴尖峰이면 破財貧寒이니
莫敎孔仰하라 主無隔宿之糧이오 厨竈若空하면 必是家無所積이니라
時曰 鼻主財星瑩若隆하고 兩邊주竈莫敎空하라
仰露家無財與粟이오 地閣相朝甲匱豊이라
仰露家無財與粟이오 地閣相朝甲匱豊이라
3. 兄弟宮
兄弟位居兩眉라 屬羅計하니
眉長過目하면 三四兄弟無刑하고
眉秀而疎하고 枝幹이 自然端正하야
有如新月하면 和同永遠超群이오
若是短粗하면 同氣連枝見別이오
眉環塞眼하면 鴈行必疎며
兩樣眉毛면 交須異母오
交連黃薄하면 自喪他鄕이오
旋結回毛하면 兄弟蛇鼠니라
眉長過目하면 三四兄弟無刑하고
眉秀而疎하고 枝幹이 自然端正하야
有如新月하면 和同永遠超群이오
若是短粗하면 同氣連枝見別이오
眉環塞眼하면 鴈行必疎며
兩樣眉毛면 交須異母오
交連黃薄하면 自喪他鄕이오
旋結回毛하면 兄弟蛇鼠니라
時曰 眉爲兄弟軟經長하면 兄弟生成四五强이라
兩角不齊須異母오 交連黃薄喪他鄕이라
兩角不齊須異母오 交連黃薄喪他鄕이라
4. 田宅宮
田宅者는 位居兩眼이니 最怕赤脉侵睛이라
初年破盡家園하고 到老無糧作蘗이오
眼如點漆하면 終身産業이 榮昌하고
鳳目高眉하면 稅置三州五懸이오
陰陽枯骨하면 莫保全園이오 火眼冰輪은 家財傾盡이라
初年破盡家園하고 到老無糧作蘗이오
眼如點漆하면 終身産業이 榮昌하고
鳳目高眉하면 稅置三州五懸이오
陰陽枯骨하면 莫保全園이오 火眼冰輪은 家財傾盡이라
時曰 眼爲田宅主其宮하니 淸秀分明一樣同이라
若是陰陽枯更露하면 父母家財總是空이라
若是陰陽枯更露하면 父母家財總是空이라
5. 男女宮
男女者는 位居兩眼下하니 名曰淚堂이라
三陽平滿하면 兒孫福祿榮昌이오
隱隱臥蠶이면 子媳還須淸貴오
淚堂이 深陷하면 定爲男女無緣이오
黑痣斜紋이면 到老兒孫有剋이오
口如吹火하면 獨坐蘭房이오
若是平滿人中이면 難得兒孫送老니라
三陽平滿하면 兒孫福祿榮昌이오
隱隱臥蠶이면 子媳還須淸貴오
淚堂이 深陷하면 定爲男女無緣이오
黑痣斜紋이면 到老兒孫有剋이오
口如吹火하면 獨坐蘭房이오
若是平滿人中이면 難得兒孫送老니라
時曰 男女三陽起臥蠶이니 瑩然光彩好兒郞이라
懸針理亂來侵位하면 宿債一生不可當이라
懸針理亂來侵位하면 宿債一生不可當이라
6. 奴僕宮
奴僕者는 位居地閣하니 重接水星하고
顔圓豊滿하면 侍立成群이오
輔弼星朝면 一呼百諾이오
口如四字하면 主呼聚喝散之權이오
地閣尖斜하면 受恩深而反成怨恨이오
紋痕敗陷하면 奴僕不周하고 墻壁低傾하면 恩成讐隙이니라
顔圓豊滿하면 侍立成群이오
輔弼星朝면 一呼百諾이오
口如四字하면 主呼聚喝散之權이오
地閣尖斜하면 受恩深而反成怨恨이오
紋痕敗陷하면 奴僕不周하고 墻壁低傾하면 恩成讐隙이니라
時曰 奴僕還須地閣豊이니 水星兩角不相容이라
若言三處都無應이면 傾陷紋痕總不同이라
若言三處都無應이면 傾陷紋痕總不同이라
7. 妻妾宮
妻妾者는 位居魚尾하니 號曰奸門이라
光潤無紋하면 必保妻全四德이오
豊隆平滿하면 娶妻에 財帛盈箱하고
顴星이 侵天하면 因妻得祿하고
奸門이 深陷하면 常作新郞하고
魚尾紋多하면 妻防惡死하고
奸門이 黯黲하면 自號生離오
黑痣斜紋이면 外情好而必多淫慾이니라
光潤無紋하면 必保妻全四德이오
豊隆平滿하면 娶妻에 財帛盈箱하고
顴星이 侵天하면 因妻得祿하고
奸門이 深陷하면 常作新郞하고
魚尾紋多하면 妻防惡死하고
奸門이 黯黲하면 自號生離오
黑痣斜紋이면 外情好而必多淫慾이니라
時曰 奸門光澤保妻宮하면 財帛盈箱見始終이오
若是奸門生黯黲하고 斜紋黑痣蕩淫奔이라
若是奸門生黯黲하고 斜紋黑痣蕩淫奔이라
8. 疾厄宮
疾厄者는 印堂之下라 位居三根하니 隆
而豊滿하면 祖祿無窮하고 連接伏犀하면
定主文章이오 瑩然光彩하면 五福俱全하고
年壽高平하면 和鳴相守하며 痕紋低陷하면
連年宿疾沉疴오 枯骨尖斜하면 未免終身受苦오
氣如烟霧하면 災厄纒身이니라
而豊滿하면 祖祿無窮하고 連接伏犀하면
定主文章이오 瑩然光彩하면 五福俱全하고
年壽高平하면 和鳴相守하며 痕紋低陷하면
連年宿疾沉疴오 枯骨尖斜하면 未免終身受苦오
氣如烟霧하면 災厄纒身이니라
時曰 山根疾厄起平平하면 一世無災禍不生이오
若値紋痕幷枯骨하면 平生辛苦却難成이라
若値紋痕幷枯骨하면 平生辛苦却難成이라
9. 遷移宮
遷移者는 位居眉角하니 號曰天倉이라
隆滿豐盈하면 華彩無憂하고
魚尾位平하면 到老得人欽羡하고
騰騰驛馬면 須貴遊宦四方이오
額角이 低陷하면 到老住塲難覔이오
眉連交接하면 此人은 破祖離家오
天地偏斜하면 十居九變이라
生相如此는 不在移門이면 必當改墓니라
隆滿豐盈하면 華彩無憂하고
魚尾位平하면 到老得人欽羡하고
騰騰驛馬면 須貴遊宦四方이오
額角이 低陷하면 到老住塲難覔이오
眉連交接하면 此人은 破祖離家오
天地偏斜하면 十居九變이라
生相如此는 不在移門이면 必當改墓니라
時曰 遷移宮分在天倉하니 低陷平生少住場이라
魚尾末年不相應하면 定因遊宦却尋常이라
魚尾末年不相應하면 定因遊宦却尋常이라
10. 官祿宮
官祿者는 位居中正하니 上合離宮하고
伏犀頂貫하면 一生에 不到公庭이오
驛馬朝歸하면 官司退擾하고
光明瑩淨하면 顯達超群이오 額
角堂堂하면 犯着官司貴解오 紋
痕理破하면 常招橫事하고
眼如赤鯉하면 決死徒形이니라
伏犀頂貫하면 一生에 不到公庭이오
驛馬朝歸하면 官司退擾하고
光明瑩淨하면 顯達超群이오 額
角堂堂하면 犯着官司貴解오 紋
痕理破하면 常招橫事하고
眼如赤鯉하면 決死徒形이니라
時曰 官祿瑩宮仔細詳하라 山根倉庫要相當이니
忽然瑩淨無痕點하면 定主官瑩久貴長이라
忽然瑩淨無痕點하면 定主官瑩久貴長이라
11. 福德宮
福德者는 位居天倉하니 牽連地閣하고
五星이 朝拱하면 平生福祿이 淊淊하고
天地相朝하면 德行須全五福이오
頦圓額窄하면 須知苦在初年이오
額濶頦尖하면 迍否還從晩景이오
眉高目聳하면 尤且平平하고 眉壓耳掀하면 休言福德하라
五星이 朝拱하면 平生福祿이 淊淊하고
天地相朝하면 德行須全五福이오
頦圓額窄하면 須知苦在初年이오
額濶頦尖하면 迍否還從晩景이오
眉高目聳하면 尤且平平하고 眉壓耳掀하면 休言福德하라
時曰 福德天倉地閣圓하고 五星光照福綿綿이라
若還缺陷幷尖削하면 衣食平平更不全이라
若還缺陷幷尖削하면 衣食平平更不全이라
12. 相貌宮
相貌者는 先觀五嶽이 盈滿이니
此人은 富貴多榮하고 次辯三停俱等이니 永保平生顯達이라
五嶽이 朝聳하면 官祿遷榮하고 行坐威嚴하면 爲人이 尊重이라
額主初運이오 鼻主中年이며 地庫水星이 是爲末主니
若有尅陷하면 爲凶惡이니라
此人은 富貴多榮하고 次辯三停俱等이니 永保平生顯達이라
五嶽이 朝聳하면 官祿遷榮하고 行坐威嚴하면 爲人이 尊重이라
額主初運이오 鼻主中年이며 地庫水星이 是爲末主니
若有尅陷하면 爲凶惡이니라
時曰 相貌須敎上下停이니 三停平等更相生이라
若還一處無均等하면 好惡中間有改更이라
若還一處無均等하면 好惡中間有改更이라
一命宮
* 一命宮○解曰
* 첫 번째 명궁. 풀이하여 이르되,
* 命宮兩眉之間, 山根之上
* 명궁은 두 눈썹사이에 있으며, 산근 위에 있다.
* 光明如鏡, 學問皆通
* 밝게 빛나는 거울과 같으면 모든 학문에 능히 통할 수 있다.
* 山根平滿, 必主福壽
* 산근이 평평하고 가득차면 반드시 복과 수를 누린다.
* 土星高聳, 必主財原
* 토성이 높이 솟으면 반드시 재원이 있다.
* 眼若分明, 必保雙全富貴
* 눈이 만약 흑백이 분명하고 밝게 빛나면 반드시 부귀를 모두 겸한다.
* 官星含浸, 必主寒孤 :
* 관성[두 눈]이 깊이 꺼지면 반드시 춥고 고독하다.
註) 四學堂(사학당)의 一曰(일왈) 官學堂爲眼(관학당위안) : 사학당의 첫 번째가 관학당이며, 두 눈이 된다.
* 眉接交加 成下賤
* 눈썹이 서로 접한듯 이어지면 하천하게 된다.
* 紋亂離鄕又剋妻
* 인당에 주름이 어지러우면 고향을 떠나고 또는 처를 극한다.
* 額窄眉高(枯) 乃一世窮苦之相
* 이마가 좁고, 눈썹이 마르면 이에 일생 궁고한 상이다.
* 是曰 眉眼中間是 命宮 : 눈과 눈썹 사이에 있는 것이 명궁이다.
* 光瑩潤澤學須湧(通) : 윤택하게 빛이 나면 모든 학문에 샘솟듯 달통한다.
* 學須通 : 인당은 뇌수의 반영처
* 若還紋亂多蹇滯, 破盡家財辱祖宗
* 만약 인당에 주름이 어지러우면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많다. 재산을 모두 탕진고, 조상을 욕보인다.
二財帛宮
* 二財帛宮○解曰
* 두 번째 재백궁, 풀이하여 이르되,
* 鼻乃財帛, 爲居土宿
* 코를 재백이라 하며, 토수가 머무는 자리다.
* 節筒懸膽, 千倉萬箱
* 절통비와 현담비가 되면 천개의 창고와 만개의 상자가 있다.
* 聳直豊隆, 一生富貴
* 비량이 곧게 솟고, 준두가 풍융하면 일생 부귀를 누린다.
* 中正不偏 須知福祿滔滔
* 비량이 곧고 바르며, 삐뚤어지면 안 되니 모름지기 복록이 끊임이 없음을 알 수 있다.
* 鶯小尖峰 到老貧寒下賤
* 꾀꼬리[새] 부리처럼 코가 작고 뾰족하여 봉우리 같으면 늙을 때까지 빈한하고 하천하다.
* 莫交孔仰 主無隔宿之量
* 비공이 앙천하지 마라. 주로 이틀 먹을 양식이 없다.
註) 공앙 : 콧구멍이 하늘을 우러러 본다는 뜻이다. 들창코라고 하기도 한다.
*廚竈若空 必定家無所積
* 정조가 만약 비면 반드시 가정에 재산을 쌓아 놓을 곳이 없다.
註) 정조는 난대정위라 하며, 콧망울을 뜻한다.
* 凡鼻內一二根毛 名爲金兎 不好 多生者妙
* 무릇 코 속에서 한 두 개의 털이 나오는 것을 이름하여 금토라 한다. 좋은 것이 아니니 잔잔한 털이 많이 난 것이 묘하다.
* 詩曰 鼻乃財帛高且隆, 兩邊井?莫敎空
* 시왈 코는 재백이라 하며 높고 또한 융풍해야 한다. 양 정조의 구멍이 텅 비지 않아야 한다.
* 仰露永無財與粟, 地閣相朝穀祿豊
* 비공이 앙로하면 재산과 양식이 없으며, 지각이 상조하여야 곡식과 재록이 풍성하다.
註) 지각은 입 아래의 턱이며, 상조는 턱이 앞으로 살짝 나와 코와 서로 마주 보는 듯 해야 한다.
三兄弟宮
* 三兄弟宮○解曰
* 세 번째 형제궁, 풀이하여 이르되
* 兄弟位居兩眉 屬羅計
* 형제의 위치는 두 눈썹에 있으니 라후와 계도에 속한다.
註) 왼쪽 눈썹 라후이며, 오른쪽 눈썹이 계도라 한다. 이를 합하여 라계라 한다.
* 眉長過目, 兄弟三四無刑
* 눈썹이 눈을 지나면 3~4명의 형제가 서로 형극이 없다.
* 眉秀而淸, 兄弟還須有貴
* 눈썹이 수려하면서 맑으면 형제가 모두 모름지기 귀함이 있다.
* 形如新月, 和睦永遠超群
* 만일 눈썹이 신월미[초승달]의 모양이면 형제들이 모두 화목하고, 영원히 뛰어나다.
* 若是短粗, 手足難同定別
* 만약 눈썹이 짧고 거칠면 수족[형제]이 함께 살기 어렵고, 정녕코 이별한다.
* 兩樣眉毛, 必須異姓
* 두 눈썹이 다른 모양이면 반드시 배다른 형제가 있다.
* 交連黃濁, 身喪他鄕
* 눈썹이 서로 이어진듯 하거나 누렇게 탁하면 타향에서 죽는다.
* 頭高尾低, 兄弟不如
* 눈썹의 머리는 높고, 눈썹의 꼬리가 낮으면 형제간에 여유롭지 않다.
* 詩曰 眉爲兄弟軟淸屛(眉), 兄弟生成四五强
* 시왈, 눈썹은 형제로 삼으니 연청미 같으면 4~5명 형제가 모두 강성하다.
註) 연청미는 맑고 부드러운 눈썹이 수려하게 긴 것을 의미한다.
* 兩角不齊須異母, 交連黃濁喪他鄕
* 눈썹의 끝이 가지런하지 않으면 모름지기 이모[계모]가 있으며, 눈썹이 서로 연이은 듯 하고, 누렇게 탁하면 타향에서 죽는다.
* 四田宅宮○解曰
* 네 번째 전택궁이다. 풀이하여 이르되,
* 眼爲田宅
* 눈을 전택이라 한다.
* 最忌赤脈貫睛, 初年破盡家園
* 가장 꺼리는 것은 붉은 실핏줄이 눈동자를 관통한 것이니 초년에 가원이 다 없어진다.
* 明陽失陷, 到老無糧停業
* 밝은 양기가 꺼지고 잃으면 늙을 때까지 양식이 없고, 직업이 없다.
* 眼如點漆, 終身産業榮華
* 눈이 옻칠로 점을 찍은 듯하면 평생 산업이 영화롭다.
* 鳳目高眉, 置稅三州五縣
* 봉목에 눈썹이 높으면 삼주오현의 세금을 걷는다.
* 黃暗神露, 財産家傾
* 눈동자가 노랗게 어둡고, 눈빛이 들어나면 재산과 가정이 기운다.
* 時曰 眼如田宅主其宮, 睛(淸)秀分明一樣同
* 시왈, 눈이 전택궁이다. 눈동자 맑고 수려하며, 흑백이 분명하고, 두 눈이 같은 모양이어야 한다.
* 若是陰陽枯再露 父母家財總是空
* 만약 음양[두 눈] 마르고, 다시 눈동자가 들어나면 부모, 가정, 재산 모두 공허하게 된다.
* 五男女宮○解曰
* 다섯 번 째 남녀궁이다. 풀이하여 이르되
註) 남녀궁는 자녀궁를 의미한다.
* 男爲左, 女爲右
* 남자[아들]는 왼쪽이 되고, 여자[딸]는 오른쪽이 된다.
* 俱在眼下, 名洞堂, 又名臥蠶
* 눈 아래를 통당이라 이름하고, 또는 와잠이라 부른다.
* 三陽平滿, 男女福祿榮華
* 삼양이 평평하고, 풍만하면 남녀의 복록이 영화롭다.
註) 왼쪽 와잠을 태양, 중양, 소양이라 하며, 오른쪽 와잠을 태음, 중음, 소음이라 한다. 즉 본문의 삼양은 삼양과 삼음으로 양 와잠을 의미한다.
* 隱隱臥蠶, 子息終須有貴
* 은은하게 풍만하면 와잠은 자식이 평생토록 귀하다.
* 漏堂深陷, 男女無緣
* 루당이 깊게 꺼지면 자녀와 인연이 없다.
* 黑?斜紋, 不得男送女老
* 와잠에 검은 점이 있거나 주름이 있으면 아들은 얻지 못하고, 늙을 때까지 딸만 있다.
* 嘴如吹火, 女人獨守蘭房
* 입이 새 부리처럼 취화구가 되면 여인은 난방[규방]을 홀로 지킨다.
註) 취화구는 불을 끄듯 입이 나온 모양으로 여인은 독수공방한다.
* 人中平滿, 子息難言
* 인중의 평평하고 가득 차면 자식을 말하기 어렵다.
* 詩曰, 男女三陽起臥蠶, 瑩然光彩好兒郞
* 시왈, 남녀궁은 삼양이 일어난 것을 와잠이라 하고, 밝은 빛이 나면 좋은 아들이 있다.
* 若是紋理來侵位, 宿孼平生不可當
* 만약 와잠에 주름이 침범하면 평생 자녀를 얻지 못한다.
* 六奴僕宮○解曰
* 여섯 번째 노복궁. 풀이하여 이르되,
* 奴僕, 乃金縷地閣是也
* 노복은 금루와 지각을 본다.
註) 금루는 법령의 끝자락이고, 지각은 입 아래 살짝 나온 턱이다.
* 重接水星, ?圓豊滿 侍立成群 輔弼相共 一呼百諾
* 노복궁은 수성[입]과 접해 있으며, 턱이 둥글고 풍만하면 많은 사람이 모시듯 서 있고, 서로 보필하여 한 번 부르면 백 사람이 대답한다.
* 口如四字, 主呼聚喝散之權
* 입이 사자[넉사자] 모양이면 주로 명령에 모이고 흩어지는 권력이 있다.
* 倉庫偏斜, 施恩反成恨怨
* 창고[천창, 지고]가 삐뚤고 기울면 은혜를 베풀면 오히려 원한으로 갚는다.
* 奴僕宮深, 用人無(武)力
* 노복궁이 깊으면 사람을 쓰고자 할 때 무능력자를 얻는다.
* 詩曰 奴僕還須地閣豊, 水星兩角不相同
* 시왈, 노복궁은 모름지기 지각이 풍만해야 하며, 수성[입]의 양 끝이 같지 않으면 안 된다.
* 若還三處都無應, 傾陷紋痕奴僕空
* 만약 세 곳이 응하지 않고, 기울고 꺼지며 주름이나 흉터가 있으면 노복궁이 공허하다.
註) 세 곳은 수성, 지각, 금루를 뜻한다.
* 七妻妾宮○解曰
* 일곱 번 째 처첩궁. 풀이하여 이르되,
* 妻妾爲居魚尾, 號曰奸門
* 처첩은 어미에 있으며, 간문이라 부른다.
* 光潤無紋, 必保妻全四德,
* 간문에 주름이 없이 윤택하게 빛나면 반드시 사덕을 갖춘 처를 만난다.
* 豊隆平滿, 娶妻財帛盈箱
* 간문이 풍융하고 평만하면 처를 얻어 재백의 상자가 가득 찬다.
* ?骨侵天, 因妻得祿
* 관골이 천창으로 올라가면 처로 인하여 복록을 얻는다.
* 奸門深陷, 常作新郞
* 간문이 깊이 꺼지면 항상 새로운 신랑을 맞는다.
* 魚尾多紋, 妻防惡死
* 어미에 주름이 많으면 처가 흉하게 죽는 바를 예방해야 한다.
* 奸門深?, 長要生難
* 간문이 짙은 검푸른 색이면 오랫동안 생이별을 한다.
* 暗滯斜紋, 子多庶出
* 간문이 어둡게 막힌 듯 하고, 어미에 주름이 있으면 서출의 아들이 많다.
* 詩曰 奸門光潤保妻宮, 財帛盈箱見始終
* 시왈. 奸門에서 밝게 윤이 나면 사덕을 갖춘 부인을 맞고, 시종[항상] 재백의 상자가 가득 차있다.
* 若是奸門生??, 斜紋暗滯子偏生
* 만약 간문에 참담한 색이 있고, 주름이 어두우면 소실의 자식이 있다.
八疾厄宮
* 疾厄宮者, 年壽山根之位, 山根光潤, 無病;
* 질액궁은 년상, 수상, 산근의 위치를 말하며, 산근이 윤택하게 빛나야 병이 없다.
* 昏暗, 主災疾連綿
* 산근에 어두우면 주로 질병이 재앙처럼 끊임없이 이어진다.
* 時曰 山根疾厄起平平, 一世無災禍不生
* 시왈, 산근이 질액궁이니 평평하게 일어나야 일생 재화가 일어나지 않고 병이 없다.
* 若値紋痕?枯骨, 平生辛苦却難成
* 만약 산근이 주름이나 흉터가 있거나 산근의 골기가 약하면 평생 고생스럽고, 뜻을 이루기 어렵다.
九天移宮
* 位居眉尾, 號曰天倉
* 천이궁의 자리는 눈썹 끝을 이름 하여 천창이라 한다.
* 隆滿豊盈, 華彩無憂
* 천창이 융기되고 풍만하며 가득 차면 화사한 빛이 나면 근심이 없다.
* 此位潤平到老得人欽差
* 이 자리가 윤택하면 늙도록 모든 사람이 흠모한다.
* 騰騰驛馬, 須知遊宦四方
* 역마가 등등하면 모름지기 알 수 있으니 사방으로 벼슬을 하는 여유로움이 있다.
* 額角低陷, 到老住場難覓
* 액각[일월각]이 낮고 꺼지면 늙을 때까지 머물 곳이 없어 찾아다닌다.
* 眉毛一缺, 此人破祖難宗
* 눈썹의 중간이 끊어진 사람은 조상의 종묘를 지키기 어렵다.
* 天地偏陷, 到老九變
* 천지[천창지고]가 치우치고, 꺼지면 늙도록 아홉 번 변한다.
註) 도노구변 : 늙을 때까지 산전수전을 겪는 기구한 인생살이를 뜻한다.
* 生相如此, 移門改基
* 이와 같이 생긴 상은 문의 방향을 바꾸고, 조상의 무덤을 옮기면 된다.
* 詩曰 遷移宮分在天倉, 深陷生平少住場
* 시왈, 천이궁은 천창에 있으며, 깊게 꺼지면 평생 머무를 곳이 적다.
* 魚尾末年來相應 : 天倉이 豊融하게 꽉 차고, 눈 꼬리 부분 풍요롭고, 顴骨이 풍만하게 가득 찬 기운이 눈 꼬리 天倉 邊地까지 꿰뚫고 올라 揷天하면 말년이 좋은 운이 응해서 香華를 누리게 된다.
* 魚尾末年來相應, 定是遊宦不尋常.
* 어미와 말년에 서로 상응해야 하니 정녕코 벼슬자리는 찾아보기 어렵다.
十官祿宮
* 位居中正, 離宮上合
* 관록궁은 중정에 있으며, 이궁[천중]과 합해야 한다.
* 伏犀貫頂, 一生不到訟庭
* 복서골이 정수리까지 꿰뚫으면 평생 법정에 다니지 않는다.
註) 복서골은 준두에서 정수리까지 골기가 꺼지지 않고 이어진 것을 의미한다.
* 驛馬朝歸, 終身官司不優
* 역마가 중정을 향하면 평생 관사에 가는 근심이 없다.
* 光瑩明淨, 顯達超群
* 중정이 밝게 빛나며, 맑고 깨끗하면 무리에서 뛰어난 사람이 된다.
* 額角堂堂, 犯看官司貴解
* 액각[일월각]이 당당하면 범법을 해도 관사에서 귀하게 풀려나게 된다.
* 紋痕陷破, 管敎常招橫事
* 중정에 주름, 흉터가 있으며, 꺼지고 깨지면 관교에는 항상 횡사를 초래하게 되다.
주) 관교 : 나쁜 버릇을 고치다. 훈교, 훈육을 의미합니다.
* 眼如赤鯉, 決犯刑名
* 눈이 붉은 잉어 같으면 결코 범법으로 형벌의 이름이 올라간다.
* 詩曰 官祿榮宮仔細觀, 山根倉庫要相當
* 시왈, 관록궁을 자세히 살펴야 하니 산근과 천창과 지고가 서로 응해야 한다.
* 忽然明淨無痕點, 定是爲官貴久長
* 홀연히 맑고 깨끗하여 흉터나 점이 없으면 정녕코 귀한 관직에 오래도록 이어간다.
十一福德宮
* 位居天倉, 接連邊地, 平生福祿滔滔
* 복덕궁의 자리는 천창이니 변지와 접하여 이어 듯하면 평생 복록이 끊이지 않는다.
* 天地相朝, 德行須全五福
* 천창과 지고 서로 마주보듯 하면 덕행과 오복이 모두 갖추게 된다.
* 시圓額窄, 應知苦在初年
* 턱은 둥근데 이마가 깎인 듯 하면 응당 초년이 고생스럽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 頭大額尖, 困苦還來晩景
* 턱은 큰데 이마가 뾰족하면 초반에는 고생스럽더라도 말년에는 편안하다.
* 眉高耳聳, 還可榮身
* 눈썹이 높고, 귀가 솟으면 가히 영화로운 신분이 된다.
* 眉壓耳枯, 休言福德
* 눈썹이 눈을 압박하고, 귀가 마른듯 하면 복덕을 말할 수 없다.
* 詩曰, 福德天倉地閣圓 五星光照福綿綿
* 시왈, 복덕은 천창과 지고가 둥글어야 하고, 오성이 밝게 빛나면 복이 솜처럼 끊임없이 계속 이어진다.
* 若還缺陷幷尖破, 衣食平生更不全
* 만약 복덕궁에 결함이 있거나 또는 뾰족하고 파손이 되면 평생 의식이 온전하지 못하다.
十二相貌宮, 相貌者, 乃總論也,
* 열두 번 째 상모궁, 모양을 보는 바를 이에 총론한 것이다.
* 先觀五嶽, 次察三停
* 먼저 오악을 관찰하고, 다음으로 삼정을 살핀다.
* 若五嶽朝歸, 三停平等, 行坐威嚴, 爲人尊重, 此人富貴多榮
* 만약 오악이 서로 돌아보고, 삼정이 균등하며, 행주좌와가 위엄함이 있으면 사람됨이 존중됨이 있다. 이 사람은 부귀의 영화를 모두 누린다.
* 如五嶽歪斜, 三停不正, 一世貧苦
* 만약 오악이 기울고 비뚤어지며, 삼정이 균등하지 않으면 일생 가난하고 고생스럽다.
* 額主初限, 鼻主中限, 水星地閣, 主末限, 有一不好, 斷爲凶惡
* 이마는 주로 초년을 보고, 코는 주로 중년을 맡고, 수성과 지각은 말년을 보는데, 한 곳이라도 바르지 않으면 단정코 흉악한 상이 된다.
* 詩曰 相貌須敎上下停, 三停平等更相生
* 시왈, 상모는 모름지기 상하정이 서로 본받고, 삼정이 균등하여 다시 상생해야 한다.
* 若是一處無勻配, 不是滔滔享福人
* 만약 삼정중에 한 곳이라도 균등하게 배합이 되지 않으면 향복을 끝임 없이 누리는 사람이 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