要訣
觀相要有法, 無法不立說,
관상에는 중요한 법칙이 있으니 법칙에 맞지 않은 관상의 설은 없다.
雖是方技小道, 實具深潭正理,
비록 작은 도의 방술이라도 참으로 깊고 깊은 바른 이치인 것이다.
蓋人之心理, 喜道其所好, 畏直揭其所短,
대개 사람의 마음은 즐겁게 하는 말을 좋아하고, 직설적인 말을 싫어하고 두려워한다.
故衣冠禮儀, 豈寧無飾, 應答擧止, 豈盡披誠, 況入門請相,
고로 의관을 갖추고, 예의를 지키면 어찌 거짓 상을 편히 하겠으며, 어찌 응답을 하는데 성실함을 다하지 않겠는가. 하물며 상가의 문을 들어서서 상을 청하는데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賓主交流, 座中雖未必有客, 然而面子上, 寧無墻縫壁耳,
손님과 교류하는데 있어서, 앉아 있되 비록 손님이 있지 않아도 얼굴을 들고, 담장과 뚫린 벽이 없는듯 [멀리 내다보는 듯] 편안하게 있어야 한다.
故入門以後, 對答之間, 恒於無意中, 觀察其兩頰兩耳之色, 連及眼光, 以定神氣,
손님이 문을 들어선 후 대답을 하는 사이에 항상 무의식 중에 양 뺨과 양 귀의 색을 보고, 이어 눈빛을 살 핍으로써 神과 氣를 정한다.
次則, 或烟茶, 或菓餠, 推位讓坐, 以觀其氣槪,
다음은 담배를 피우고, 차를 마시고, 과자나 떡을 먹는 모습과 자리를 권하여 겸손히 앉는 모습으로써 그 사람의 기개를 관찰한다.
坐定, 必以竝其眉眼, 以定其人品,
자리에 앉으면 반드시 그 눈썹과 눈을 더불어 봄으로써 그 사람의 인품이 정해진다.
繼則聆其聲音, 以測其薄厚,
이어서 그 사람의 음성을 들음으로써 [福의] 薄厚[얇고 두터움]를 헤아린다.
後看三停, 以擦五官, 五嶽, 一一領會於心,
후에 三停을 보고, 五官과 五嶽 비교하고, 꼼꼼히 중요한 곳을 마음에 담아 둔다.
然後請其伸手, 蓋未請伸手之, 旣先當自領略其相於心, 及其伸掌之後, 則三才紋理, 八宮厚薄, 昭然若揭矣,
그런 후에 손을 펴보라고 청을 한다. 대개 손을 펴보라 청하기 전에 이미 먼저 대략적인 그 상을 마음에 정한 채 그 손바닥을 편 다음 三才의 주름과 八宮의 厚薄함을 분명하게 들어 보이게 한다.
體格之大者, 宜以氣槪爲主, 體格之小者, 法以精神爲先,
체격이 큰 사람은 기개를 주로 보고, 체격이 작은 사람은 정신을 먼저 기준을 삼는다.
若夫普通身材, 則當以氣色爲先, 次及其骨格,
만약 보통 신체의 사람이면 기색을 먼저 살피고, 다음으로 골격을 본다.
普通之相, 最難, 非比大富貴人物, 大凶敗之異相,
보통의 상이 가장 어렵다. 대부호, 귀격의 인물이나 대흉패의 특이한 상과 비교할 수 없다.
夫普通之相, 非必以身材普通而定之,
대개 보통의 상은 반드시 보통의 신체에 대한 어떤 기준이 정해져 있지는 않다.
今所謂普通身體者, 不過立論說法, 應如此庶有順, 序耳,
지금 말하는 보통의 신체 자는 상법의 이론을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와 같이 일반적인 순리에 맞출 뿐이다.
不然, 大小體格, 豈盡可憑以決其富貴耶,
그렇지 않으면 크고 작은 체격은 어디에 의거하여 그 부귀를 결정하겠는가.
夫普通相以氣色爲善者, 環境也,
대개 보통의 상이 기색이 좋은 사람은 환경이 좋다.
次及骨格者, 原其環境所由來, 而察未來之結果者也,
다음 골격이 좋은 사람은 근본적인 환경으로 인하여 미래의 결과를 알게 된다.
氣色乃目前之吉凶, 骨格, 五官, 爲終身之休咎,
기색은 눈앞의 길흉을 보고, 골격과 오관은 평생의 휴구를 삼는다.
看法當以五官之所美, 比較各部之所忌, 一善, 一忌, 爲立論,
상법에서 오관의 좋은 바로써 각각 부위의 꺼리는 바를 비교하고, 좋은 곳과 꺼리는 곳의 이론을 정해야 한다.
次接年齡, 流年之順惡相應, 其他平凡部位, 不過引以略之,
다음으로는 연령법으로 유년의 좋고 나쁨에 따라 상응하고, 기타 평범한 부위는 간략하게 볼 뿐이다.
庶幾言有序, 時有節, 肯在中肯, 要言不煩, 賓主款洽,
이상과 같은 말의 순서를 절기에 맞게 요점을 정리하여 말을 번잡스럽게 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손님의 마음에 흡족해야 한다.
斯爲得也, 次將要訣列擧于後.
이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는 것은 장차 要訣를 열거 한 이후가 될 것이다.
人品法
滿面陽和, 言談中, 眉間, 兩頰, 無變色, 神氣從容, 聲無變調, 韻無中?, 眼光泰然, 擧止溫純, 無假作, 無掩飾, 五官中有美處, 運到必發, 有忌處, 其凶亦少, 所謂中和上品也.
얼굴은 밝고 온화하고, 대화중에 눈썹 사이와 양 뺨의 색이 변하지 않고, 용모에 신과 기가 따르고, 음성이 조화로우며, 여운이 짧지 않아야 하고, 눈빛이 편안하고, 움직임이 온순하면 거짓됨이 없고, 숨기고 꾸밈이 없는 사람이다. 오관 중에 좋은 곳이 있으면 운이 이르러 크게 일어날 것이며, 꺼리는 곳이 있으면 흉화 또한 적을 것이다. 중화상품이라 한다.
滿面一見陽和, 言談中, 眉間兩頰屢有異色, 有短處, 切物多言, 神氣有異者, 美處略略言之而已, 聲有變調者, 美惡均宜婉轉, 譬曉此請相者之有詐, 不得不權變之相法也,
얼굴에 한 순간 밝고 온화하고, 대화중에 눈썹 사이와 양 뺨의 색이 다르게 나타나거나 색이 다양하게 변화를 하고, 모자란 곳에 말이 끊임없이 많으며, 신과 기가 이상한 자는 좋은 곳에 대해 간략하게 말할 뿐이다. 음성의 변화가 있는 자는 좋은 부분과 못난 부분이 평균적으로 이런 사람이 상을 청하면 거짓으로 꾸밈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득불 권변의 상법으로 해야 한다.
滿面陰氣, 擧動從容, 聲不變, 此中有溫純之品, 有暴發之氣, 言必中肯, 當簡則簡, 使其明瞭, 當重複, 再說則不憚勞,
얼굴이 조용하고, 용모에 따라 행동하며, 음성이 변하지 않으면 이는 온순지품이라 한다. 폭발적인 기운으로 말에 힘이 있게 하고, [요목조목] 간단하고 명료하게 하고, 중복적으로 당부한다. 재차 설명하여도 힘들거나 꺼려지지 않는다.
滿面陰氣, 擧止失序, 言談??, 此中有環境不佳之人, 有畏小禮之品, 宜直指晦運, 壯其膽力,
얼굴에 음기가 있고, 행동에 질서가 없으며, 대화중에 부끄러워하거나 겸연쩍어 하면 이는 환경이 좋지 못한 사람이다. 예의가 적고, 두려움이 많으므로 운이 좋지 않다고 직접적으로 말을 하면 아무렇지 않은듯 씩씩하다.
滿面一見陽和, 談話中, 驕矜自足, 面有德色, 只宜順其性, 不宜觸其怒,
얼굴에 얼핏 밝고 온화한듯 하고, 대화중에 교만하고 자부심이 스스로 만족스러워 하며 얼굴에 덕스러움이 있으면 다만 그 성정이 온순한 것이 마땅하고, 화를 내고 촉발적이라 보는 것은 마땅치 않다.
未言先笑者, 聲正而語明, 乃天性使然也,
말을 하기 전에 먼저 웃는 자는 음성이 바르고 언어가 분명하면 천성이 낙천적인 사람이다.
言有譏刺者, 詰人也,
말을 나무라듯 헐뜯는 사람은 공격적인 사람이다.
隱眉而獻情者, 詐也,
희미한 눈썹의 사람이 다정하면 거짓말이다.
其他, 言語莊重, 問無苟且, 聽無移神, 皆屬正氣之人,
기타 언어가 정중하고 엄숙하며, 물을 때 구차함이 없고, 들을 때 정신이 산만하지 않으면 대개 정기지인에 속한다.
面橫語急, 眼光流視, 皆屬險惡之輩,
얼굴의 골격이 강하고, 언어가 급하며, 눈을 흘겨보는 듯 하면 대개 험악지배에 속한다.
孔子曰 [可以言不與之言, 失人, 不可與之言而與之言, 失言, 知者不失人, 亦不失言]
공자께서 이르되 말 같지 않은 말을 하면 사람을 잃고, 말 같은 말이라도 옳지 않은 말은 말[신용]을 잃고, 아는 자는 사람을 잃지 않고, 또한 말을 잃지 않는다.
相法中, 言語運用, 誠有硏究之價値也.
상법 가운데 언어를 잘 쓰는 것은 진실로 연구의 가치인 것이다.
富在面者, 必有腹爲之容, 臀爲之?,
부유한 상의 사람은 반드시 배가 풍성한 용모이고, 엉덩이가 풍요롭다.
在?者, 必有鼻爲之倉, 唇爲之納,
관골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반드시 코가 넉넉하며, 입술이 너그럽다.
> 權 오타 ?으로 바꿈.
在鼻者, 必有蘭廷爲之櫃,
코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반드시 난정은 풍족해야 한다.
在眼者, 必有印堂爲之主,
눈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반드시 인당을 주장을 삼는다.
在身者, 爲有腰爲之托,
몸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허리에 의지해야 한다.
在耳者, 必有孔爲之納, 有珠爲之固,
귀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반드시 구멍에 [손가락을] 들어가고, 수주가 단단해야 한다.
在掌者, 必有肉爲之豊,
손바닥에 부유함이 있는 자는 살비듬이 풍성해야 한다.
明堂深厚, 爲之守,
명당이 깊고 두터운 것은 수를 삼는다.
以上七格,
이상 일곱 가지 격이 부유한 상이다.
相應在聲, 有聲則大富, 中有聲, 不相應者, 亦能豊衣足食, 而保小康,
상이 좋고, 음성이 좋으면 대부호이고, 보통의 음성에 상이 좋지 않으면 또한 의식이 풍족하고, 적은 재산을 지키며 산다.
貧財面者, 無臀, 無腹, 終身貧
가난한 상은 엉덩이와 배가 없으면 평생 가난하고,
在?者. 仰鼻, 縮唇, 落口貧,
관골이라는 것은 비공이 들리고, 입술이 오그라들고, 구각이 쳐지면 가난하다.
在鼻者, 無蘭廷, 債臺貧,
코라는 것은 난정[콧망울]이 없으면 빚더미에 앉은 가난한 사람이고,
在眼者, 無印, 隨出貧,
눈의 가난이 있는 것은 인당이 좋지 않으면 쫓겨 날 정도로 가난하다.
在身者, 無腰, 瘦地貧,
몸의 가난이 있는 것은 허리가 없으면 척박한 땅처럼 가난하다.
在耳者, 無孔, 無珠, 不智貧,
귀에 가난이 있는 것은 구멍이 작고, 수주가 없으면 지혜가 없어 가난하다.
在掌者, 無艮, 無堂, 辛苦貧,
손바닥에 가난이 있는 것은 간이 없고, 당이 없으면 고달게 가난하다.
以上七格,
이상 일곱 가지의 격이 가난한 상이다.
有聲??者, 僅保衣食充足, 有聲不相應者, 則奔波無寧日矣.
음성의 울림이 멀리 울리면 겨우 의식이 충족하게 살고, 음성의 울리지 않으면 분주하게 바쁘게 생활하니 하루라도 편안한 날이 없다.
相法, 眉彩, 眼光, 而聲??者, 父子富,
상법에서 눈썹이 반짝이고, 눈빛이 밝으며, 음량이 멀리 울리는 사람은 부자가 부자이고,
鼻梁豊?而聲??者, 甲地富,
비량과 관골이 풍융하고, 음량이 울리는 자는 최고의 갑부이다.
掌厚而軟, 聲?者, 身家富,
손바닥이 두텁고 부드러우며 음성이 맑은 자는 몸이 편안한 집이 부자이다.
一露, 二露, 無神者, 有衣, 無?貧,
한 두 가지가 들어나고, 눈빛이 없는 자는 웃옷은 입었어도, 바지를 못 입는 가난이다.
頭尖, 尾削, 無聲者, 討乞貧,
두각이 뾰족하고, 눈썹 꼬리[천창]이 깎이며, 음성이 맑지 못한 자는 빌어먹는 가난이다.
無股瘦面, 無聲者, 孤孀貧.
허벅지가 가늘고, 얼굴이 수척하며, 음성이 탁하면 고독한 과부로 가난하다.
地位
지위
相法, 五官無缺, 而聲??者 國之重器, 商之盟主, 農之領首, 官之寵兒,
상법에서 오관에 결함이 없이 성량이 울리는 자는 국가의 중요한 인물이 되고, 상권의 중임을 맡고, 농민의 수령이 되며, 관료는 임금의 총애를 받는다.
五嶽不敗, 而聲淸?者, 棟梁之材, 敎之始祖, 業之聖人,
오악이 모두 꺼지지 않고 음성이 맑게 울리는 자는 동량의 재목이 되며, 시조의 가르침을 받고, 성인의 덕업을 잇는다.
三停均等, 而聲?者, 時之寵兒, 爲官進爵, 爲商巨富, 爲農巨倉,
삼정이 균등하고 음성이 울리는 자는 한 때 총애를 받고, 관직이 승징하고, 상업으로 거부가 되며, 농부로 창고에 곡식이 가득하다.
眼大而聲?者, 工之鎭寶, 技之拔萃,
눈이 크고 음성이 울리는 자는 세공으로 보석을 깎고, 보석을 가려 뽑아 쓰는 기술이 있다.
眼長而近視者, 文章强記. 理科魁碩,
눈이 길고 가까이 보는 자는 문장에 힘이 있고, 이관에 뛰어난 석학이다.
眉彩而聲和者, 醫之學士, 律之明辯, 官之檢事,
눈썹이 빛나고 음성이 온화한 자는 의학자이고, 법률에 언변에 밝고, 검사의 벼슬을 한다.
有聲無?, 有?無鼻, 皆是職守之人,
음성은 좋은데 관골이 없거나 관골이 좋은데 비량이 약하면 모두 직분을 지키는 사람이다.
格小好威, 格大畏勞, 盡是有限之輩,
격이 낮으면 위엄을 좋아하고, 격이 높으면 수고로움을 싫어하니 진실로 한계가 있는 사람들이다.
身輕者, 依人作嫁, 持重者, 豈久隨人.
몸이 가벼운 자는 사람에 의지하여 시집을 가며 신중한 사람이 어찌 사람을 따라 멀리 가겠는가.
材短身偏者, 不受奇窮, 必有奇禍, 易滿易盈, 雖成必敗, 衰退難後.
재능이 짧고, 몸이 기운 자는 기궁하지 않으면 반드시 기화가 있으니 쉽게 차고 쉽게 넘치니 비록 성공을 하였어도 반드시 실패가 있으니 쇠퇴하여 뒤가 어렵게 된다.
肉從腰來, 轉運, 目前, 肉從腰去, 不日退財,
허리에 살이 붙으면 운이 들어오고, 운이 있어도 허리에 살이 빠지면 하루가 되기 전에 재물이 나간다.
面不和色, 聲不和調, 旋敗之人,
얼굴에 온화한 색이 없고, 음성이 조화롭지 않으면 오히려 실패하는 사람이다.
面上光彩, 聲音??, 新運之士,
얼굴에서 광채가 나고, 음량이 맑게 울리면 새로운 운이 들어온다.
盛運中, 言語不倫, 知其隱憂,
왕성한 운 중에 언어에 두서가 없으면 숨은 우환을 알 수 있다.
退敗中, 志守成, 知其將復,
운이 물러나고 일이 패하는 중에 뜻을 지키고 이루려 하면 장차 운이 회복됨을 알 수 있다.
守信終身, 雖敗必復,
평생 신용을 지키면 비록 운이 패하여도 반드시 운이 다시 돌아온다.
逢人??, 雖成終敗,
사람을 보면 부끄러워 하고, 겸연쩍어 하면 비록 운이 왕성해도 마침내 운이 패한다.
問壽在神, 神昏者, 不但運滯, 而且妨壽,
수명은 안신에 있으니 안신이 어두운 자는 운이 막힐 뿐만 아니라 또한 오래 살지 못한다.
求全在聲, 不?者, 運亦難成,
운은 온전히 음성에 있으니 음성이 맑지 않으면 운 또한 이루기 어렵다.
問智在耳, 耳孔少者, 愚而少運,
지혜는 귀에 있으니 이공이 작으면 어리석어서 운이 적게 온다.
問財在鼻, 鼻犯枯焦者, 財從何來,
재운은 코에 있으니 코가 타는듯 메마르면 재운이 어찌 오겠는가.
眼?昏暗, 口[不]宜守身, 印堂赤色, 官訟休惹,
눈자위가 어둡고 컴컴하며, 입이 마땅하지 않고, 인당이 적색으로 나타나면 관송이 쉬지 않고 계속 얽히게 된다.
邊城焦灼, 遠地無利,
변지가 불타는 듯 하면 멀리 나아가 불리하고,
額凹額尖, 難言試驗,
이마가 꺼지고 뾰족하면 시험을 말하기 어렵다.
眼淚眼昏, 何苦問孕,
눈에 눈물이 고이고, 눈이 어두우면 어찌 고생스러움을 물어 볼 수 있겠는가.
愁容滿面, 知其無運,
얼굴에 수심이 가득하면 운이 없음을 알 수 있다.
滿面光彩, 識其乘時,
얼굴 가득 광채가 나면 운이 상승함을 알 수 있다.
禮可飾, 衣可假. 神氣難假,
예의는 가식으로 할 수 있고, 옷은 가짜로 입을 수 있으나 신과 기는 거짓으로 하기 어렵다.
貧可裝, 富可飾, 骨格難假, 故手足知其貧富,
가난은 장식을 하고, 부자는 꾸밀 수 있으나 골격은 거짓으로 하기 어려우니 고로 손과 발로 빈부를 알 수 있다.
言可察其心理, 眼其心, 聲其神,
마음의 심리를 살피는데 눈은 그 마음을 보고, 음성은 정신을 말한다.
眼光炯炯, 而紋鎖印堂者, 豈常美運,
눈빛이 반짝반짝 빛나지만 인당에 주름이 얽혀 있으면 어찌 좋은 운이 있으랴.
聲音滿滿, 而語韻大小者, 處事無恒,
음성은 자신 만만한데, 말의 운율이 크고 작으면 하는 일이 꾸준하지 않다.
然聲亮而徐語者, 運必長久, 聲急而語快者, 運無長久,
그래서 음성이 맑고 말에 두서가 있으면 운이 반드시 오래가고, 음성이 급하고 말이 빠르면 운이 오래가지 않는다.
無意中吐氣, 必有難告人之憂,
무의식중에 한숨을 쉬면 반드시 운이 어려워 근심이 가득한 사람이다.
靜坐中如睡, 必犯退敗之業,
고요히 앉아 조는 듯 하면 반드시 운이 물러나 사업에 실패가 있다.
盛衰不等, 運氣依時,
운의 성쇠가 고루지 않으면 운기가 때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留心衡相, 久自有得, 幸誌之莫忘焉.
마음에 따라 상의 형평은 오래도록 스스로 터득해야 하며, 위의 글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五星 額鼻口耳(要明)
오성은 이마 코 입 귀는 밝게 빛나야 한다.
五嶽 額鼻??(要朝)
오악은 이마 코 턱 관골은 조읍을 해야 한다.
五官 眉眼耳口鼻(要氣)
오관은 눈썹 눈 귀 입 코는 기운이 꽉 차야 한다.
六府 上中下邊獲骨(要滿)
육부는 상 중 하의 가장자리 뼈가 나와 가득 차야 한다.
六曜
左眉羅侯星 右眉計都星
왼쪽 눈썹은 라후성, 오른쪽 눈썹은 계도성
左目太陽星 右目太陰星
왼쪽 눈은 태양성, 오른쪽 눈은 태음성
印左月?星 印右紫氣星
인당의 왼쪽은 월패성, 인당의 오른쪽은 자기성
> 인당은 자기성, 산근은 월패성
四瀆
耳爲江瀆
귀는 강독이라 하고,
眼爲河瀆
눈은 하독이라 하고,
鼻爲濟瀆
코는 제독이라 하며,
口爲淮瀆
입은 회독이라 한다.
三停
髮際至山根上一停
발제에서 산근까지를 상정이고,
山根至準頭中一停
산근에서 준두까지를 중정이며,
準頭至地閣下一停
준두에서 지각까지를 하정이라 한다.
天以五星垂象, 地以五嶽定形, 人以五官論貴,
하늘은 오성으로써 드리워진 상이고, 땅에는 오악으로써 형상을 정하며, 사람은 오관으로써 귀를 논한다.
五星若有一星不明者, 亦主二十年滯運.
오성이 만약 일성이라도 밝지 못하면 반드시 이십년의 운이 막힌다.
尤以火土兩星, 更屬重要,
또한 화성과 토성의 두 별은 매우 중요하다.
화성은 이마이고, 토성은 코를 본다. 두 별이 밝게 빛나야 하며 가장 중요한 별이다.
夫面上五行, 亦有生剋之論,
무릇 얼굴에는 오행이 있어 생극[재화]의 이론이 있다.
火能生土, 而萬物俱屬土中所生.
화는 능히 토를 생하니 만물은 모두 토[대지]에서 소생한다.
土能生金, 金能生水, 水能生木, 木能生火, 此乃相生之理也,
토는 금을 생하며, 금은 수를 생하고, 수는 목을 생하며, 목은 화를 생하니 이는 상생의 이치인 것이다.
火能剋金, 金能剋木, 木能剋土, 土能剋水, 水能剋火, 此內相剋之理也.
화는 금을 극하고, 금은 목을 극하며, 목은 토를 극하고, 토는 수를 극하며, 수는 화를 극하니 이는 상극의 이치에 따른 것이다.
火星陷(額部)則各星失陷火光不照, 氣色暗殘, 然寒, 無火, 不能生物, 有凍土之憂矣,
화성(이마)가 꺼지고, 다른 별성들이 빛을 잃어 꺼지고 화광(밝은 빛)을 잃으면 기색이 어둡고, 쇠잔해지면 자연 차가워서 따뜻함이 없어져 만물을 생성하지 못하고, 동토와 같은 우환이 있다.
少年多災沖剋, 中運不發, 終無大用矣,
젊어서 재화가 많아 충극이 있어나면 중년에 운이 일어나지 않으니 마침내 크게 쓰지 못한다.
耳若明厚木生火, 雙目黑白分明, 火星陷亦可小發也.
귀가 밝고 두터워 목생화를 하고, 두 눈의 흑백이 분명하면 화성(이마)가 꺼져도 조금 발달한다.
土星陷(鼻部)財物失去養生之土, 而各星則無中主, 氣接不堅,
토성(코)이 꺼지면 재물을 잃고, 양생의 토성이 없으니 다른 별성이 곧 얼굴의 주인이 없는 것과 같아 기의 소통이 견실하지 못한 것이다.
此人必五臟多病, 惑中年因病敗業,(山根不斷-年壽無?-可免大半),
이런 사람은 반드시 오장에 병이 많거나 혹은 중년에 병으로 인해 사업에 실패한다. (산근이 끊어지지 않고, 년상 수상에 흠이 없으면 대운의 반을 얻는다.)
鼻樑過高, 口小, 地閣不朝. 爲土剋水, 十三, 十四, 離鄕奔波受苦.
비량이 지나치게 높은데, 입이 작고, 지각이 응조가 안 되면 토극수하여 13~14년 동안 고향을 떠나 동분서주하며 고생을 한다.
金星陷(左耳), 金爲萬物之寶藏, 如各星失去金流, 萬物舊滯, 此人必無學問而夭折也.
금성이 꺼지면(왼쪽 귀), 금은 만물의 보물 창고이다. 다른 별성들이 빛을 잃고, 금성의 빛이 없으면 만물이 오랫동안 막혀서 이런 사람은 반드시 학문을 이룰 수 없고, 요절한다.
目欠神, 再耳反, 額高, 爲火剋金 父母家財皆是空.
눈빛에 어둡고, 귀가 뒤집히며, 이마가 높아 화극금을 하면 부모, 가장, 재산을 모두 잃는다.
水星陷(口部), 則萬物無水滋潤, 而草木不秀, 然群星不明,
수성(입)이 꺼지면 곧 수가 만물을 윤택하게 되지 못하니 초목이 자라지 못하고, 뭇별들이 밝지 못한다.
此人必福祿不週, 衣食不足,
이러한 사람은 반드시 복록이 순조롭지 못하고, 의식이 부족하다.
口大額尖爲水剋火, 運交十五歲, 身受困苦矣.
입이 크고, 이마가 뾰족하면 수극화하여 나이 15세에 온갖 곤고함을 겪는다.
木星陷(右耳及毛髮) 則各星無木培秀, 此人必先天養氣不足,
목성(오른쪽 귀와 모발)이 꺼지면 각별성들에게 목의 기를 보태어지지 않으면 이런 사람은 반드시 선천의 양생기운이 부족하다.
父母欠美而胎受也, 主幼小辛苦多病,
부모가 좋은 관계로 수태하지 않아 어려서 병으로 신고하게 보낸다.
山根斷, 年壽暗?, 終身帶疾.
산근이 끊어지고, 년상 수상에 어둡게 반점이 있으면 평생 질병을 끼고 산다.
月?是山根, 紫氣是印堂, 二星位居中央, 氣聚於中心,
월패는 산근이요, 자기는 인당이니 두 별은 중앙에 위치하고, 기가 모이는 중심이다.
得火星及太陽太陰, 諸星護照, 紫光直射群星,
화성과 태양, 태음, 육요를 통솔하고, 자기성의 빛이 뭇별들에게 빛을 비춰준다.
如羅喉 計都二凶星, 不侵犯本位,
라후성과 계도성 두 별은 흉성이므로 인당과 산근을 침범해서는 안 된다.
無陷無殺, 少年中年, 運均主亨也,
인당과 산근이 꺼지지 않고, 주름살이 없어야 소년, 중년에 운이 고루게 형통한다.
此二星有關終身大運, 最爲緊要也,
이 두 별[인당, 산근]은 평생 대운에 연관되어 있어 가장 중요한 곳이다.
羅喉計都二星, 名凶星, 本位不可帶殺, 更不可侵犯他星也.
라후 계도 두 별은 모두 흉성이므로 본위[좌우 눈썹]에 살성이 있어서는 안 되며, 다른 육요를 침범해서도 안 된다.
太陽太陰本位不可露, 須要含眞, 各星直助而不欺, 凶星不犯, 必主富貴也.
태양 태음은 [빛이] 들어나면 안 되며, 반드시 진기[빛]를 머금어야 한다. 다른 육요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기만해서는 안 된다. 흉성이 침범하지 않으면 반드시 부귀를 누린다.
夫, 五嶽者, 如地理, 以東南西北中, 五嶽之論也.
무릇 오악이란 지리와 같아 동, 남, 서, 북, 중앙으로써 오악을 논한다.
東岳泰山, 西岳華山, 南岳衡山, 北岳恒山, 中岳嵩山,
동악은 태산이오, 서악은 화산이며, 남악은 형산이오, 북악은 항산이고, 중악은 수산이다.
五嶽最要相朝拱, 朝者來龍?有勢, 氣脈相接,
오악의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 (중앙에) 조공을 받치듯 해야 하며, 조는 산맥의 기세가 래용하여 기맥이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五岳之中, 以中岳居正位, 爲主岳, 氣統四岳, 發?於中心也,
오악 중에 중악이 정중앙에 위치하여 주군의 산악이 되며, 사악의 기를 소통하고, 기맥을 일으키는 중심이다.
五岳最?無主, 惑孤峯無援, 惑有援而不接. (卽某岳陷是也) 此爲龍?無力, 氣脈不接,
오악이 가장 두려운 것은 주군(중악)이 없는 것이고, 혹은 (중악이) 홀로 높이 솟아 도움이 없거나, 혹은 도움은 되지만 (가까이) 접하지 않으면 {모악(동악, 서악)이 꺼짐} 이를 용맥이 무력한 것이고, 기맥이 연결되지 않아서 이다.
夫相分南北而論, 各有本位, 南乃火旺之地,
대저 남악과 북악을 나눠서 보며, 각각의 자리가 있으며, 남악은 화기가 왕성한 자리이다.
此本位不陷者, 他岳較弱, 亦爲得本位旺勢資助, 本位氣?不傷, 精神必旺也. 父母必是富貴, 自身事業亦能早發也.
이는 본위[남악]이 꺼지지 않고, 다른 산악이 비교적 유약하면 또한 본위가[남악] 왕성한 기세로 도움을 주고, 본위의[남악] 기맥이 상해를 입지 않으면 精과 神이 반드시 왕성하며, 부모가 부귀를 누리고, 본인은 사업을 일찍이 일으킨다.
南方無正土, 若得火旺者.(鼻偏不大忌) 火能生土, 除南岳之外, 他岳不大忌偏也.
남방지역은 토[코]가 바른 자가 없으니 만약 화기[남악]이 왕성한 자는 (코가 삐뚤어져도 크게 꺼리지 않는다) 화[남악]가 능히 토[코]를 능히 생하니 남악을 제외하고 다른 산악이 삐뚤어진 것을 크게 꺼리지 않는다.
(指南方言) [雖不大忌, 此人心田則不正也].
남쪽지방의 방언으로 비록 크게 꺼리지 않지만 남방 사람의 심전은 바르지 않다.
忌曲, 曲則氣弱, 少運不發, 大敗中年, 又生無子.
굽은 것을 꺼리며, 굽으면 기가 약해져 젊어서 운이 발하지 못하고, 중년에 크게 실패하며, 또한 아들을 낳을 수 없다.
北方居正土, 本位旺於水, 水能生木, 最要淸秀,
북방지역은 토[코]가 바르게 있고, 본위[북악]이 왕성한 수기이니, 수는 능히 목을 생하여 청수한 상이 가장 중요하다.
本位不失, 卽地閣厚而脣齒濟, 最忌土星偏斜.
본위[북악]의 자리를 잃지 않은 즉 지각이 두텁고, 입술과 치아가 가지런해야 하며, 토성[코]이 삐뚤고 기운 것을 가장 꺼린다.
若北人得水火通明者, 大富大貴之相也. (水火通明者, 乃北人, 地閣厚, 額廣, 五官正, 南人額高, 地朝, 五官不陷, 日月光彩射人是也).
만약 북방인이 수화통명이 되면 대부, 대귀의 상이다. (수화통명이란 북방인이 지각이 두텁고, 이마가 넓으며, 오관이 모두 바른 것이고, 남방인이 이마가 높고, 지각이 조응하며, 오관이 꺼지지 않고, 일월[두 눈]의 광채가 사람을 쏘아 보는 듯 한 것이다.)
東西二岳爲主岳之?岳, 要與中岳相配,
동서 두 산악은 중악의 관골악이며, 중악과 더불어 서로 배합이 되어야 한다.
忌腫, 忌露, 忌尖, 忌破, 忌紋, 忌獨, [獨內不運, 或孤?是也.]
동서 악에 부종이 나고, 로골이 되며, 뾰족하고, 깨지며, 주름이 있고, 홀로 서 있으면 안 된다. [관골이 홀로 서 있으면 운이 없다. 혹은 관골이 홀로 있는 것이다]
五嶽最要氣?有勢, 而各岳相關, 四水明流, 方爲大用之相.
오악의 가장 중요한 것은 기맥이 기세가 있어야 하며, 각각의 산악이 서로 연관이 있고, 사수가 맑게 흘러야 바야흐로 대용지상이라 한다.
河不得高山而水不能暢流, 山無明水之聲而山不秀,
강하는 높은 산이 없으면 수로가 능히 힘있게 흐르지 않으며, 산은 맑은 물소리가 없으면 빼어난 산이 아니다.
故?五岳須配察四水之流與不流,
고로 오관은 반드시 사수가 흐르는지 못 흐르는지를 살펴 봐야 한다.
通與不通, 明潔不明潔, 草木秀與不秀, 此乃至理也.
통하고, 안 통하며, 맑고 깨끗하고, 맑고 깨끗하지 않고, 초목이 수려하고, 초목이 수려하지 않는 것이 지극한 이치이다.
五岳之中, 若有一岳不成者, 亦主二十年困乏. 雖五官好, 亦不發大運, 縱發達, 亦減半, 故五岳不可有一陷也.
오악 중에 만약 한 개의 산악이 불성하면 또한 20년동안 곤란하게 궁핍하며, 비록 오관이 좋다해도 또한 대운이 일어나지 않고, 설령 발달해도 또한 반감되니 고로 오악이 하나라도 꺼져서는 안 된다.
南岳陷, 髮尖?印, 髮脚不齊, 髮低壓而閒日月角, [髮際過高, 主剋父母, 心多殺, 不爲陷也.]
남악이 꺼지고, 발제가 뾰족하여 인당을 충하고, 발각이 가지런하지 않으며, 발제가 낮아 일월각 사이를 압박하는듯 [발제가 지나치게 높으면 반드시 부모를 극하고, 심성이 충살이 많아 꺼지지 않아야 한다.]
若紋多而亂, 天倉骨陷, 額骨成坑, 額骨不起, 額骨凸露, 額左右傾偏, 額多靑筋, 額上凶?, 印堂帶殺, 以上均主剋父母, 破祖離家, 幼小多災, 不貴之相也.
만약 [남악에] 주름이 어지럽게 많고, 천창골이 꺼지며, 액골이 움푹 꺼지고, 액골이 일어나지 않고, 액골이 돌출하여 나오고, 이마의 좌우가 기울고 삐뚤며, 이마에 푸른 힘줄이 많고, 이마의 흉한 점이 있으며, 인당에 형살이 끼는 등 이상과 같으면 부모를 반드시 극하고, 조업을 깨고, 이산가족이 되며, 어린시절부터 재화가 많아 불귀한 상이다.
中岳陷, 山根斷, 弱, 紋, ?, 破, 傷, 偏, 曲, 孔露, 年壽凸凹, 形小, 短弱, 蘭廷不起, 孤峯無援主貧破敗, 終身帶疾, 少年破祖, 中年大敗, 少成之相也.
중악이 꺼지고, 산근이 끊어지고, 코가 약하고, 콧등에 주름이 있으며, 점이 있고, 깨지고 상처가 있으며, 코가 삐뚤고, 굽거나 비공이 들어나고, 년수상이 울퉁불퉁하고, 코의 모양이 작고, 짧은듯 약하며, 난정이 약하고, 중악만 홀로 높이 솟아 도움을 받지 못하면 반드시 가난하고, 재물이 깨지며, 평생 질병으로 살고, 젊어서 조업을 깨며, 중년에 크게 실패하는 소성의 상이다.
東岳陷, 若破, 若尖, 若無, 若腫, 若紋, 若露, 若陷, 無串橫骨(耳門骨是也), 若紋?點破, 若?閉命門等缺陷者, 均主家運不佳, 亦主剋父母,
동악이 꺼지고, 만약 깨지고, 뾰족하며, 부족이 있거나 주름이 있고, 만약 뼈가 들어나고, 꺼지며, 횡골이 없고, (이문의 뼈를 의미한다.) 동악이 주름 사마귀 점으로 깨지거나 빈발이 명문을 가리는 등의 결함이 있으면 반드시 가운이 좋지 못하고, 또한 부모를 형극한다.
書云, 左?突出, 父先死, 不死不刑, 便自傷.
서운에 왼쪽 관골이 돌출되면 아버지가 먼저 돌아가시고, 아니면 돌아가시지 않으면 갖은 형극을 당하고, 또는 자신이 자상을 입게 된다.
西岳陷, 與東岳同論, 東西二岳, 最要與中岳相配, 否則運至中年, 或少年, 大敗也.
서악이 꺼지고, 동악과 같은 이론이다. 동서 두 산악은 중악과의 배합이 가장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운이 중년에 이르러 혹은 젊어서 크게 실패한다.
北岳陷, 若?尖, 若斜, 若無, 若側, 若薄, 若?,(?者長過上停, 反過鼻準是也).
북악이 꺼지고, 만약 해[턱]가 뾰족하거나 기울고, 턱이 없는듯 하며, 삐뚤고, 얇으며, 턱이 지나치게 나오고, (교란 상정보다 지나치게 길고, 오히려 준두보다 나온 것이다.)
或口尖, 唇不齊, 無鬚, 結?, 凶?, 紋, 傷破, 鬚黃, 濃, 困, 枯, 人?斜, 曲, 短, 淺, 主老無運, 五十一後大破敗.
혹은 입이 뾰족하고, 입술이 가지런하지 않으며, 턱수염이 없거나, 콧수염에 흠이 있고, 흉한 사마귀, 주름, 상처, 누런 턱수염, 짙은 수염, 수염이 입을 가리거나, 수염이 메마르며, 인충이 기울고, 굽고, 짧으며, 얕으면 반드시 늙어서 운이 없으며, 51세 이후에 크게 파패한다.
四瀆者, 乃耳目口鼻是也,
사독이란 귀, 눈, 입, 코를 의미한다.
耳爲江瀆, 目爲河瀆, 口爲淮瀆, 鼻爲濟瀆, 四瀆名四水,
귀는 강독, 눈은 하독, 입은 회독, 코는 제독이라 하며, 사독을 사수라 명칭한다.
四水最要暢流, 流則通, 通則明, 明則鮮.
사수는 길게 흘러가는 것이 중요하며, 흐르면 통하고, 통하면 밝으니 밝은 즉 선명해 진다.
書云, 人中是溝?, 爲四水之總脈 四水之善惡, 須察溝?.
서운에 인중은 구혁이라 하며, 사수의 총맥이 된다. 사수의 선악은 반드시 구혁을 살펴야 한다.
若溝?明顯而正, 上細下寬, 且長者, 謂之四水通流, 自然舒暢也.
만약 구혁이 바르고, 밝게 들어나며, 위는 가늘고 아래가 넓어야 하며, 또한 길면 사수가 유통이 되는 것이니 자연 길게 뻗어나가는 의미이다.
人沖深長, 子孫滿堂, 少病, 守財之相也,
인충이 깊고 길면 자손이 번창하고, 병이 적고, 재물을 지키는 상이다.
四水不流, 或不秀者, 主多疾, 少財, 短壽, 少子, 非美相也.
사수가 흐르지 않거나 혹 수려하지 않으면 반드시 병이 많고, 재산은 적으며, 수명이 짧고, 아들이 적으니 좋은 상이 아니다.
三才, 三停, 三才者, 額爲天, 欲?而圓, 名曰, 有天, 貴. 鼻爲人, 欲旺而齊直, 名曰, 有人, 壽, ?爲地, 欲方而闊, 名曰, 有地, 富.
삼재는 삼정이니 삼재란 이마는 천재이오, 넓고 둥글어야 하며, 이름하여 천, 귀를 의미한다. 코는 인재며, 왕성하고 가지란하며 곧아야 하고, 이름하여 인, 수를 의미한다. 턱은 지재이고, 모진듯 넓어야 하며, 이름하여 지, 부를 의미한다.
三停者, 髮際至印堂爲上停, 山根至準頭爲中停, 人沖至地閣爲下停,
삼정이란 발제부터 인당까지를 상정이라 하며, 산정부터 준두까지를 중정이라 하고, 인충부터 지각까지를 하정이라 한다.
老[初]年自髮際至眉爲上停, [中年]眉至準頭爲中停, [末年]準頭至地閣爲下停.
초년은 발제부터 눈썹까지를 상정을 삼고, 중년은 눈썹부터 준두까지를 중정으로 삼으며, 말년은 준두부터 지각까지를 하정이라 한다.
訣云, 上停長老吉昌, 中停長近君王, 下停長壯吉祥, 三停平等富貴榮顯, 三停不均孤貧夭賤.
결운에 상정이 길면 늙도록 길하게 번창하고, 중정이 길면 군왕을 가까이 모시고, 하정이 길면 장차 길한 상서로움이 있다. 삼정이 균등하면 부귀를 영화롭게 누리고, 삼정이 균등하지 않으면 고빈하고, 요천한다.
詩云, 面相三停仔細看, 額高須得耳門寬, 學堂三部奚堪足, 空有文章恐不官.
시운에 면상의 삼정을 자세히 살펴봐서, 이마가 높으면 반드시 이문이 너그러워야 하며, 학당 삼부가 어찌 충분히 감당할 수 있으며, 문장이 뛰어난데, 관직이 없을까 두려워하지 말라.
鼻樑隆起如懸膽, 促者中年壽難言,
비량이 융기하여 마치 현담비 같고, 비량이 단촉하면 중년과 수명을 말하기 어렵다.
地閣滿來田地盛, 天庭平?子孫昌.
지각이 풍만하면 전지가 풍성하게 돌아오고, 천정이 평평하게 넓으면 자손이 번창한다.
六府者, 兩輔骨, 兩?骨, 兩?骨, 欲其充實, 相輔, 不欲支離, 孤露,
육부란 양 보각, 양 관골, 양 이골이며, 모두 충실해야 하며, 서로 보완하고, 따로 떨어져서는 안 되며, 로골이 되면 고독해 진다.
靈臺秘訣云, 上二府, 自輔角, 至天倉, 中二府, 自命門, 至虎耳, 下二府, 自肩[?]骨, 至地閣,
영대비결에 이르길 상이부는 보각부터 천창까지이며, 중이부는 명문부터 호이까지이고, 하이부는 견[시]골부터 지각까지이다.
六府充直, 無缺陷, (無)瘢痕者, 主財旺,
육부가 충실하고 곧아야 하며, 결함이 없고, 결함이 없으면 반드시 재물이 왕성해진다.
天倉起多財祿, 地閣?方, 萬頃田, 缺陷者, 不合格.
천창이 융기하면 재록이 많으며, 지각이 넓고 모진듯 하면 만 이랑의 밭이 있으며, 결함이 있으면 격에 합당하지 않는다.
眼爲官學堂, 又爲官星, 眼爲明秀學堂, 須黑白分明, 秀長有神, 主文章, 聲譽, 而淸貴也.
눈은 관학당이며, 또는 관성이다. 눈은 명수학당이니 반드시 흑백이 분명하고, 수려하게 길며 안신이 있어야 문장이 뛰어나고, 명성이 높은 청귀한 사람이다.
印上祿學堂, 又爲天爵之位, 額爲祿學堂, 額?頂平, 中正滿, 有官, 有祿, 少年成功.
인당은 록학당이며, 또는 천작의 지위를 의미한다. 이마는 록학당이며, 이마가 넓고, 정수리가 평평해야 하며, 중정이 가득차야 관직에 올라 록을 받으며, 젊어서 성공한다.
耳爲外學堂, 又爲金馬玉堂之位, 耳爲聰明學堂, 又爲聞名學堂, 須得紅潤, 色白過面厚圓, 如櫻桃, 主爵祿, 豊厚富貴非常.
귀는 외학당이며, 또한 금마옥당의 지위를 의미한다. 귀는 총명학당이며, 또는 문명학당이라 한다. 반드시 붉고 윤택해야 하며, 귀의 색이 얼굴보다 희고, 두텁고 둥글어야 하며, 앵두같이 붉으면 높은 작위를 받고, 풍요로운 부귀가 남다르다.
門牙內學堂, 又爲口德學堂, 當門齒, 爲內學堂, 又爲祿食學堂, 要周正而密瑩淨, 如銀, 主忠信, 孝敬, 多食祿.
문아는 내학당이며, 또 구덕학당을 의미한다. 당문치는 내학당이며, 또는 록식학당을 의미한다. 치아가 바르고 주밀하며, 치밀하고 맑게 빛나야 한다. 은과 같으면 반드시 충성스럽고 믿음이 있으며, 공경심과 효심이 지극하여 식록이 많다.
眉爲班筍, 問壽在眉.
눈썹을 반순이라 하며, 수명을 묻는다면 눈썹에 있다.
耳爲聰明, 問名在耳.
귀는 총명이라 하며, 명예를 묻는다면 귀에 있다.
眼光明秀, 問貴在目.
눈이 빛나면 명수라 하며, 귀를 묻는다면 눈에 있다.
額上高明, 問富在額.
이마 윗부분을 고명이라 하며, 부를 묻는다면 이마에 있다.
額爲高廣, 問福二角.
이마를 고광이라 하며, 복을 묻는 다면 이각(일월각)에 있다.
印堂光大, 問官在印.
인당을 광대라 하며, 관을 묻는 다면 인당에 있다.
口唇忠信, 問祿在口.
입과 입술을 충신이라 하며, 록을 묻는 다면 입에 있다.
舌相廣大, 問德在舌.
혀의 모양은 광대라 하며, 덕을 묻는 다면 혀에 있다.
高明部學堂, 圓頭或有異骨昻.
고명부 학당은 둥근 두상이라야 하며, 혹은 특이한 골이 솟아야 한다.
高廣部學堂, 額湧明潤骨起而方.
고광부 학당은 이마가 힘차게 일어나 밝고 윤택해야 하며, 골기가 모진듯 해야 한다.
廣大部學堂, 印堂平明無傷痕.
광대부 학당은 인당이 평평하며 밝아야 하며, 상처가 없어야 한다.
明秀部學堂, 眼光黑多神隱藏.
명수부 학당은 눈이 빛나고, 검은 동자가 많고, 빛이 은은하게 감춰져야 한다.
聰明部學堂, 耳有輪廓紅而白.
총명부 학당은 귀의 윤곽이 분명하고, 붉거나 흰색이라야 한다.
忠信部學堂, 牙齊周密白如霜.
충신부 학당은 치아가 가지런하며, 주밀해야 하고, 서리처럼 희어야 한다.
光德部學堂, 舌長至準紅紋長.
광덕부 학당은 혀의 길이가 준두에 이르고, 붉으며, 긴 주름이 있어야 한다.
班筍部學堂, 橫起天中細秀長.
반순부 학당은 눈썹이 가로로 융기해야 하며, 이마 가운데로 가늘고 수려하게 길어야 한다.
玉管訣, 上輔學堂左右分, 平如鏡子亦無紋, 更兼中正, 無傾陷, 定作公侯位高人.
옥관결에 상보학당은 좌우로 나뉘고, 거울처럼 평평하고 주름이 없어야 하며, 또한 중정과 더불어 기울고 꺼진 곳이 없으면 공후의 지위에 이르는 고귀인이다.
中輔學堂七十分, 平光潤澤是賢臣, 更兼下部有成就, 六部大臣近至人,
중보학당은 칠십으로 나뉘며, 평평하고, 윤택하게 빛나면 현명한 신하이며, 또한 하부와 더불어 성쉬하게 되니, 육부의 대신을 가까이 모시는 사람이다.
下輔學堂地閣朝. 承漿俱滿是官僚, 如若中輔來相應, 必坐朝堂佐舜堯.
하보학당은 지각이 조응하여 승장이 충만하면 관료가 된다. 만약 중보와 상응하면 반드시 좌조당의 지위에 올라 요순을 보좌하게 된다.
[天絪縕, 萬物化醇], 大氣之妙用也.
하늘의 기운이 풍성하면 만물의 변화가 순일하니 대기의 묘한 작용력이다.
人爲萬物之靈, 萬物爲人之用,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고, 만물을 이용하는 것은 사람이다.
相人之道, 焉能無憑,
상은 사람의 도이니, 어찌 능히 의지하지 않으리오.
富貴貧賤, 善惡壽夭, 不離於型也,
부귀빈천과 선악요절은 형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型之本有於行, 行之本在於神, 神之本歸之於氣也, 氣者謂自然之大氣,
형상의 근본은 행동에 있고, 행동은 본래 신에 있으니 신은 본래 기로 돌아가는 것이다. 기라는 것은 자연의 대기이다.
先天之氣, 後天之氣, 養成之氣, 有正氣邪氣之分也.
선천의 기, 후천의 기, 양성의 기가 있으니 이는 정기와 사기로 나뉜다.
正氣生人, 神爽形秀, 端正威嚴, 爲富爲貴爲壽爲慈性必正直好善.
정기를 타고난 사람은 신이 맑아지고, 형상이 수려하며, 단정하고 위엄이 있다. 부, 귀, 수, 자성 등은 반드시 바르고 곧아 좋은 정기이다.
邪氣生人, 神滯形濁虛浮輕薄, 爲賤爲惡爲夭爲貧,
사기를 타고난 사람은 신이 막히고, 형상이 탁하고, 허하며, 들뜨고, 가벼우며, 얇아 천, 악, 요, 가난하다.
稍有富貴不能長久, 性必淫而兼暴,
처음에는 부귀가 있으나 능히 오래가지 못하는 것은 성정이 반드시 음탕하고 겸하여 포악하기 때문이다.
夫容稟於神, 是故神淸氣爽者, 其骨必圓必秀, 肉自勻稱, 色亦明潤, 乃富貴之格也.
무릇 신을 품은 얼굴은 이는 고로 신이 맑고 기가 밝은 자는 그 골격이 반드시 둥글고 또 수려하며, 살비듬이 고르게 이루어져 있으며, 기색 또한 밝고 윤택하니 이에 부귀의 격이다.
夫氣者, 稟於陰陽而成者也, 故審其面骨之氣勢, 能知某一代風水及住宅之善惡, 均以諸陽而斷之也.
무릇 기란 음양기를 타고 이뤄진 것이다. 고로 얼굴의 골격의 기세를 자세히 살펴서 능히 일대의 풍수와 주택의 선악을 알고, 균형 된 모든 양기로써 판단한다.
夫頭爲六陽魁首, 九陽氣勢, 注射於百部靈臺, 透運於周神, 而內固於體也.
무릇 두상에는 육양의 머리 형상과 구양의 기세를 백가지 부위의 영대에 주사하니 신이 두루 미쳐 운에 투출되고, 안으로는 신체가 굳건해 진다.
故諸陽氣足, 而骨豊隆者, 自然神淸氣爽, 則體健身安, 爲壽爲福也.
고로 모든 양기가 충족되어 골기가 풍융한 자는 자연 신이 맑고 기가 밝은 즉 신체가 건강하고, 몸이 편안하니 수과 복을 누린다.
六陽者, 景陽, 兩太陽, 兩華陽, 後陽, 是也.
육양이란 경양, 두 태양, 두 화양, 후양을 의미한다.
九陽者, 天陽, 景陽, 太陽, 華陽, 九陽, 龍陽, 後陽, 靈陽, 柱陽, 是也.
구양이란 천양, 경양, 태양, 화양, 구양, 용양, 후양, 영양, 주양을 의미한다.
天陽氣上--主五代以上風水之善惡.
천양기상은 주로 오대 이상의 풍수의 선악을 알 수 있다.
景陽氣首--主三代以上風水之善惡.
경양기수는 주로 삼대 이상의 풍수의 선악을 알 수 있다.
太陽氣助--主二代以上及祖宅, 水塘, 樹木, 等風水之善惡.
태양기조는 주로 이대 이상의 조택, 수당, 수목, 등 풍수의 선악을 알 수 있다.
華陽氣則--華陽又曰--左爲丘陵, 右爲塚墓, 主墳穴一代以上之 風水及住宅善惡.
화양기즉은 화양을 달리 이르길 좌측은 구릉, 우측은 총묘이니 주로 일대 이상의 분혈과 풍수, 주택의 선악을 알 수 있다.
耳上一寸謂邱陵塚墓, 再上一寸卽 [頭角] 謂山林是也.
귀의 일촌 위를 구릉, 총묘라 하며, 다시 일촌 위를 [두각]이며, 산림이라 한다.
若凸露超過山林骨者, 謂之氣急不美也. 陷者謂氣弱.
만약 산림골이 지나치게 돌출된 자는 기급하여 좋지 않으며, 꺼진자는 기가 약하다.
九陽氣聚--主當代以上至二代風水, 住宅, 床位, 廚位, 門向, 厠位, 等之善惡.
구양기취는 주로 당대 이상 이대의 풍수, 주택, 상위, 주위, 문향, 측위 등 선악을 알 수 있다.
此陽爲最重要之氣也, 骨, 肉, 紋, 毛, ?, 色, 型, 均宜細察也.
이는 양이 가장 중요한 기이며, 골, 육, 문, 모, 지, 색, 형을 고르게 자세히 살펴야 마땅하다.
龍陽氣流--主當代上下風水之善惡.
용양기류는 주로 당대 상하의 풍수의 선악 본다,
後陽氣守--主上下三代風水之善惡.
후양기수는 주로 삼대 상하의 풍수의 선악을 본다.
靈陽氣藏--主一代上下及住宅左右風水氣勢之善惡.
영양기장은 주로 일대 상하의 주택 좌우 풍수 기세의 선악을 본다.
主陽氣托--主當代風水及住宅, 地氣之善惡.
주양기택은 주로 당대 풍수와 주택, 땅기운의 선악을 본다.
例如--九陽氣陷, (印堂是也), 此人祖父或曾祖父之風水及住宅等, 定有凶殺和其打破壞, 此本人必多凶險及刑剋在事業上亦主多成多敗.
예를 들어 구양기(인당)가 꺼지면 이는 조부 혹은 증부의 풍수와 주택 등의 흉살로 평온한 가문을 타파하여 무너뜨린다. 이는 본인이 반드시 흉험과 형극이 사업상에 많이 미치며, 또한 성패가 많이 일어난다.
龍陽氣陷, 主此人祖父或曾祖父風水, 龍脈定爲不旺, 主此本人家中有凶死之人, 本身亦常帶疾病.
용양기가 꺼지면 주로 이런 사람의 조부 혹은 증조부의 풍수의 용맥이 왕성하지 않아 주로 본인과 집안 중에 흉사한 사람이 있으며, 본인의 몸 또한 상상 질병이 따른다.
天陽豊滿--主福祿壽俱全, 性直仁慈.
천양골이 풍만하면 반드시 복, 록, 수 모두 온전하며, 성정이 곧고 인자하다.
露者--(卽尖也) 主毒而奸猾老必孤貧.
천양골이 뾰족하게 들어난 자는 반드시 성정이 독하고 간교하고 교활하며, 늙어서는 고독하고 가난하다.
陷者--主弱而多思, 不孤則夭.
천양골이 꺼진 자는 주로 허약하고 생각이 많으며, 고독하지 않으면 요절한다.
景陽豊滿--主當壽多貴, 性覺聰明.
경양골이 풍만하면 주로 장수함이 타당하며, 대부분 귀하다. 성정이 자각하고, 총명하다.
露者, 孤苦波折, 性惡.
경양골이 들어난 자는 고독하며, 고생하고, 파란과 좌절이 있다. 성정은 악독하다.
陷者, 主傷, 性愚
경양골이 꺼진 자는 주로 상해를 많이 입으며, 성정은 어리석다.
太陽豊滿--主極爲聰明, 亦多主貴人相遇
태양골이 풍만하면 반드시 지극히 총명하고, 또한 주로 귀인의 도움을 많이 받는다.
露者, 主孤易投入道門, 若骨成一路線者, 修行易遇神仙而得道. 常人必主破相.
들어난 자는 주로 고독하여 쉽게 종교에 입문한다. 만약 태양골이 한 선의 골기로 이뤄진 자는 수행하는데 쉽게 신선을 만나고, 득도한다. 보통사람은 반드시 좋은 상은 아니다.
陷者主愚, 性惡, 父母刑剋, 少運老運皆蹇, 主六親無?
꺼진자는 반드시 어리석고, 성정이 악독하며, 부모를 형극하며, 젊어서 운이나 늙어서의 운이 모두 막힌다. 반드시 육친에게 의지할 데가 없다.
華陽豊滿--主仁慈好施, 聰明爽直, 富而守財, 貴而淸正, 必得賢妻內助,
화양골이 풍만하면 주로 인자하며, 베풀기를 좋아하고, 총명하며 명백하고 곧은 사람이다. 재산을 지키는 부자이며, 맑고 정직한 귀인이니 반드시 현처의 내조를 얻는다.
露者...主淫亂好勝, 亦主聰明爽直, 必多刑剋, 性極剛强.
들어난 자는 주로 음난하며, 싸워 이기는 것을 좋아한다. 또한 반드시 총명하며, 명백하고 곧은 사람이지만 반드시 형극이 많으며, 성정이 극단적으로 강하고 완강하다.
陷者--主貧弱夭折, 賤而性惡.
꺼진 자는 주로 가난하고 허약하여 요절한다. 천하여 성정이 악독하다.
九陽豊滿--主福祿壽俱全, 一生大禍不臨, 逢凶化吉, 爲人正直好善, 主掌權柄, 得遇有力貴人幇助.
구양골이 풍만한 자는 주로 복, 록, 수, 모두 온전하고, 평생 큰 재화를 만나지 않으며, 흉화한 것을 만나도 길하게 변화한다. 사람됨이 정직하고 선을 좋아하여 반드시 권력의 핵심을 장악하며, 유력한 귀인의 도움을 받는다.
露者--多災難及凶險, 剋妻子離鄕奔走, 心性陰毒.
들어난 자는 재난이 많고, 흉험함이 따른다. 처와 자녀를 극하며, 고향을 떠나 분주하다. 심성이 음흉하고 표독하다.
陷者, 主凶險波折疾病多災難及刑剋, 心性凶暴多思, 奔波勞碌, 妻子且不能早配, 祖産無?, 事業多成多敗.
꺼진 자는 주로 흉험하고, 파란과 좌절을 겪으며, 질병과 재난이 많아 형극이 따른다. 심성은 흉폭하고 생각이 많으며 수고롭고 부산스럽게 다닌다. 처자 또한 일찍 만나지 못하고, 조상의 유산을 지키지 못하며, 하는 사업마다 망한다.
龍陽豊滿--主得賢美之妻, 如氣貫頂者, 身體健康少病, ?大果斷, 心性爽直,
용양골이 풍만한 자는 주로 현명한 미인의 처를 얻는다. 용양골이 정수리까지 꿰올라간 자는 신체가 건강하고 병이 적으며, 담력이 크고, 과단성이 있으며, 성정이 명백하고 정직하다.
露者--(似腫也) 主破相或刑剋, 孤相也.
종기처럼 들어난 자는 반드시 좋은 상이 아니며, 혹은 형극이 있는 고독한 상이다.
陷者--?小刑剋, 六親難?, 體弱多病, 主剋妻或招不美不賢之妻, 常遇小人?忌. 離祖離鄕奔走勞碌之相也.
꺼진자는 담력이 작아 형극이 있으며, 육친과 친하지 않고, 체력이 약해 병이 많다. 주로 처를 극하고, 혹은 아름답지 않고, 현명하지 않은 처와 결혼한다. 항상 시기 질투하는 소인배를 만나고, 조상의 종묘와 고향을 떠나 분주한 노록지상이다.
* 노록지상 : 한 평생 고생하였는데도 남은 것이 아무것도 없는 상
後陽豊滿--主中老運佳, 得享遐齡, 子孫榮貴.
후양골이 풍만하면 주로 중년과 노년의 운이 좋고, 나이가 들수록 향화를 누리며, 자손이 영화롭고 귀하다.
露者--主心性反常, 爲人奸猾亦主不忠, 刑剋孤壽, 若有肉包者, 必主財壽尤隆也.
들어난 자는 주로 심성이 평범하지 않고, 사람됨이 간교하고 교활하며, 또한 주로 불충[불성실]하고, 갖은 형극을 겪으며 고독하게 오래 산다. 만약 살점이 잘 감싸면 반드시 재물과 수명이 더욱 융성해 진다.
陷者--主夭折多病, 中老年運敗, 子孫少而不貴, [東北人不在此限]
꺼진 자는 주로 요절하거나 병이 많고, 중년과 노년에 운이 좋지 않고, 자손이 적으며 귀하지 않다. [동북인은 이런 제한에 들지 않는다.]
靈陽豊滿--主壽年極高, 富貴必有, 妻榮子孝,
영양골이 풍만하면 주로 수명이 지극히 길고, 부귀가 반드시 있으며, 부인은 영화롭으며, 자손의 효도를 받는다.
露者--主孤苦貧賤, 性暴心强.
들어난 자는 주로 고독하며, 고생스럽고, 가난하며, 천하다. 성정이 포악하고 심성이 완강하다.
陷者--主奸狡夭折少中年大敗, 刑妻剋子, 六親無?, 離鄕奔走.
꺼진 자는 주로 간교하고, 단명하며, 소년과 중년에 크게 실패한다. 처자를 형극하고, 육친과 친하지 않으며, 고향을 떠나 분주하게 살아간다.
柱陽豊滿--主逢凶化吉, 中老年大富, 壽旣高妻亦榮, 此人必得橫財. 肉包者--亦主財.
주양골이 풍만하면 주로 흉화한 일을 만나도 길하게 변화하며, 중년과 노년에 큰 부자가 되고, 수명은 이미 길며, 처 또한 영화롭다. 이런 사람은 반드시 횡재를 얻으며, 살점이 잘 감싸면 또한 재력이 있다.
露骨者--主孤獨性情反復無常.
뼈가 들어난 자는 주로 고독하며, 성정이 평범하지 않아 같은 일을 여러 번 반복한다.
陷者--主多疾病, 萬事無成, 奔波勞碌, 必無大壽, 乃孤苦之相也.
꺼진 자는 주로 질병이 많고, 모든 일이 이뤄지지 않으며, 수고롭게 분주하고, 반드시 장수할 수 없는 고고지상이다.
* 孤苦之相 : 고독하고 가난한 상.
察諸陽氣勢, 應驗凶吉者, 宜詳察各部配合而觀, 始爲驗也.
모든 양의 기세를 살펴 길흉을 경험한 자는 각 부위의 배합을 상세히 살펴봄이 마땅하며, 비로소 증험하였다 할 수 있다.
例如後陽不好, ?鼻縱然好者而運不發, 待至鼻準運方發.
예를 들어 후양골이 좋지 않으면 관골과 코가 설령 좋다고 해도 운이 일어나지 않으며, 준두에 이르러 바야흐로 운이 일어난다.
靈陽不好, ?好, 蘭台, 廷尉亦好, 此運難發是也.
영양골이 좋지 않다면 관골이 좋고, 난대 정위 또한 좋다해도 이 운은 일어나기 어려운 것이다.
人之陰陽者, 非指某一部?而言也,
사람의 음양이란 어느 한 부분만 가리켜 말하는 것이 아니다.
反者爲陽, 覆者爲陰. 天有, 陰陽之氣, 人有男女之別,
反[볼록 한] 것은 양이고, 覆[오목 한] 것은 음이며, 하늘에는 음양의 기운이 있고, 사람에는 남녀의 구별이 있다.
男人全體是陰, 生殖器爲陽, 女人周身純陽, 下部一點眞陰. 又曰--骨爲陽, 肉爲陰,
남자는 전체가 음이고, 생식기가 양이며, 여자는 온 몸이 순수한 양이며, 하부의 한 곳만 진정한 음이 있다. 또한 이르되 뼈는 양이고, 살은 음이다.
面左爲陽, 面右爲陰, 面前爲陽, 面後爲陰, 面上爲陽, 面下爲陰, 體前爲陽, 體後爲陰,
얼굴의 왼쪽은 양이고, 얼굴의 오른쪽은 음이며, 얼굴의 앞은 양이고, 얼굴의 뒤는 음이다. 얼굴의 위는 양이고, 얼굴의 아래는 음이다. 몸의 앞은 양이고, 몸의 뒤는 음이다.
眼上爲陽, 眼下爲陰, 左眼爲陽, 右眼爲陰,
눈의 위는 양이고, 눈의 아래는 음이며, 왼쪽 눈은 양이고, 오른쪽 눈은 음이다.
面骨凸顯處爲陽, 面部凹暗處爲陰,
얼굴의 뼈가 튀어나와 들어난 곳은 양이 되며, 얼굴의 부분 중에 들어가고 어두운 곳은 음이 된다.
陰者氣藏形而下, 陽者氣露形而上,
음이란 기를 형체 아래 감추고, 양이란 기를 형체 위로 들어낸다.
陰性宜正, 陽性宜和,
음의 성정은 단정한 것을 마땅히 여기고, 양의 성정은 온화한 것을 마땅하게 여긴다.
陰本趨柔, 陽本趨剛,
음은 본래 부드러움을 쫓고, 양은 본래 강함을 쫓는다.
陰陽不可不和不順, 和者氣舒骨正, 順者肉均色潤, 乃福壽之相也,
음양은 온화하고 순하지 않으면 안 되며, 온화한 것은 기가 바른 뼈에서 뻗어 나오고, 순한 것은 살비듬에서 윤택한 색이 고루게 나타난 것이다. 이는 복수지상이다.
* 복수지상 : 다복하고 장수를 누리는 상.
陰陽如不和順, 骨必露必斜, 或陰盛陽衰 (肉浮腫, 骨少是也) 或陽盛陰弱, (骨露肉少是也)
음양이 온화하고 순하지 않는 것은 뼈가 반드시 들어나고, 삐뚤어지며, 혹은 음이 왕성하여 양이 쇠하거나,(살이 혹처럼 부풀고, 뼈는 적은 것이다) 혹은 양이 왕성하여 음이 쇠약한 것이다.(뼈가 들어나 사이 적은 것이다)
眼型不正亦同論. 均非美相, 凶險不可幸免也.
눈의 모양이 바르지 않거나 균형이 맞지 않은 상은 흉험하여 요행으로 면할 수 없다.
* 역동론 : 해석 미흡
(甲)子午線左爲陽面.
(갑) 자오선을 중심으로 왼쪽은 양면이 된다.
(乙)子午線右爲陰面.
(을) 자오선을 중심으로 오른쪽은 음면이 된다.
(甲)卯酉線上爲陽面.
(갑) 묘유선을 중심으로 위는 양면이 되고,
(乙)卯酉線下爲陰面.
(을) 묘유선을 중심으로 아래는 음면이 된다.
(甲)左眼爲陽.
(갑) 왼쪽 눈은 양이 되고,
(乙)右眼爲陰.
(을) 오른쪽 눈은 음이 된다.
(一)甲陽,,名露三陽. 太陽, 正陽, 朝陽, 是也
(일) 갑양은 삼양의 들어난 명칭이고, 태양, 정양, 조양이라 한다.
(二)甲陰--名爲顧陰.
(이) 갑음은 고음이라 이름한다.
(三)眼上爲陽. 眼下爲陰.
(삼) 눈의 위는 양이 되고, 눈의 아래는 음이 된다.
(四)左眼下爲三陽. 太陽中陽少陽. 右眼下爲三陰. 太陰中陰少陰.
(사) 왼쪽 눈 아래를 삼양이라 하고, 태양, 중양, 소양이며, 오른쪽 눈 아래를 삼음이라 하고, 태음, 중음, 소음이다.
一 面前爲陽.
일 얼굴의 앞을 양이 되고,
二 面後爲陰.
이 얼굴의 뒤를 음이 된다.
相配
垂珠配鼻梁, 貴壽福榮相,
수주와 비량이 배합이 되면 귀하고, 장수하며, 복과 영화의 상이다.
耳厚眼配秀, 聰明意長揚,
귀가 두터운 것과 눈의 수려함과 배합이 되면 총명하고 뜻이 멀리 드날린다.
口正鼻直豊, 多見富貴翁,
입이 바르고, 코가 반듯하며 풍대하면 부귀를 누리는 노인을 많이 볼 수 있다.
舌長唇配正, 辦才理氣通,
혀가 길고, 바른 입술과 배합이 되면 판단능력이 있으며, 이치에 능히 통한다.
眼黑配唇紅, 學問多成功,
눈이 검고, 붉은 입술과 배합이 되면 학문으로 많이 성공한다.
眉秀眼配秀, 神氣未可量.
눈썹이 수려하고, 수려한 눈과 배합이 되면 신기(정신)을 헤아리기 어렵다.
相反 : 상반
耳大唇若薄, 男女定小福,
귀는 큰데, 입이 만약 얇으면 남녀 모두 복이 작다.
唇大耳若小, 問子多零落,
입술은 큰데, 귀가 만약 작아서 아들을 묻어보면 대부분 후사가 전혀 없다.
* 다영락 : 多 : 대부분, 많이. 零落 : 후사가 잇지 못한다.
鼻大眼若小, 有錢壽必夭,
코는 큰데, 눈이 만약 작으면 돈은 있으나 수명이 반드시 짧다.
耳小若眼大, 雖富容易了,
귀는 작은데 만약 눈이 크다면 비록 부자라도 쉽게 잃어버린다.
耳大眼若小, 前蹄欠後瓜,
귀는 큰데, 눈이 만약 작으면 처음에는 발굽에 흠이 있지만 뒤에는 과시(瓜時)한다.
* 전제흠 : 초년에는 과거에 합격하기에 부족하여 어려움이 있지만
* 후과 : 말년에 벼슬의 임기를 다하여 고향으로 물러나 게 된다.
鼻小舌若大, 一事煩不了.
코는 작은데, 혀가 만약 길면 모든 일에 번뇌가 끊이지 않는다.
陽爲男, 陰爲女, 此男女之陰陽也.
양은 남자가 되고, 음은 여자가 된다. 이는 남녀의 음양이다.
男女之陰陽, 固然有定,
남녀의 음양은 당연히 정해져 있는 것이다.
然則所謂陰陽者, 不論男女相中,
그렇다면 소위 음양이라는 것은 남녀의 상만을 론하는 것이 아니고,
亦有形相之陰陽, 及性格, 氣色, 聲音, 擧動, 思想, 有形, 無形, 無一不有陰陽.
또한 형사의 음양이 있고, 이에 성격, 기색, 음성, 행동거지, 사상, 유형, 무형, 하나라도 음양이 아닌 것이 없다.
故男人, 雖固屬陽, 必須有陰, 以和之.
고로 남인은 비록 진실로 양에 속하지만 반드시 음이 있어 온화함으로써 함이 있다.
女人雖固屬陰, 必須有陽, 以資之.
여인은 비록 진실로 음에 속하지만 반드시 양이 있어 자원으로써 함이 있다.
庶幾男有剛氣, 柔情, 相濟之美.
거의 남자는 강한 기운 속에 온화한 정이 있어서 상제의 미라 한다.
* 상제지미 : 강한 양기와 온화한 음기가 서로 섞여 있는 미.
女有貞烈, 和順, 相須之德.
여자는 곧고 강렬함 속에 온순함이 있어서 상수지덕이라 한다.
* 상수지덕 : 여자로서 본래 갖추어야 할 덕.
不然男已屬陽, 若無陰以和之. 則亢陽無制.
그렇지 않으면 남자는 이미 양에 속하지만 만약 온화함으로써 음이 전혀 없다면 즉 항양의 제약이 없는 것이다.
女已屬陰, 若無陽以資之, 則孤陰無化.
여자는 이미 음에 속하지만 만약 자원으로써 양이 전혀 없다면 즉 고음의 변화가 없는 것이다.
而因之所謂, 起居進退, 日常生活, 無所依據矣.
그러한 연유로 인하여 소위 기거, 진퇴 등의 일상생활에 의거할 바가 없는 것이다.
是故陽中喜陰者, 不宜陰氣太盛,
이런 고로 양 가운데 음이 있는 것을 기뻐하고, 음기가 지나치게 왕성한 것은 마땅치 않다.
陰太盛者, 謂之陽差.
음이 태성한 것은 양차라 한다.
陰中含陽者, 不宜陽氣太過,
음 가운데 양을 머금고 있는 것을 마땅히 여기고, 양기가 지나치게 넘치는 것을 꺼린다.
陽太過者, 謂之陰錯.
양이 태과한 것을 음착이라 한다.
玆將陰陽六格, 分釋於此.
이에 장차 음양의 여섯 격을 나누어 해석하였다.
苟能熟習, 吟味玩索, 而有得焉.
진실로 능히 익숙하게 연습하여 음미를 하고 완전히 가릴 줄 알게 되면 음양을 얻게 되는 것이다.
頭圓頂平, 頭略有角,
머리는 둥글고, 정수리는 평평해야 하며, 두상에 약간의 각이 있어야 한다.
面略方形, 額有圓骨,
얼굴은 약간 모진 모양이어야 하며, 이마는 뼈가 둥글어야 한다.
五岳隱起, 山根託印,
오악은 은근히 일어나야 하며, 산근은 인당에 의탁해 있어야 한다.
眉高有勢, 眉略有角, 眉毛稍稍向上,
눈썹이 기세 있게 높아야 하며, 눈썹이 살‘짝 각이 있어야 하고, 눈썹의 털 하나 하나가 위로 향해야 한다.
眼長含光, 聲?韻淸, 面色和霽,
눈이 긴고, 빛을 머금고 있어야 하며, 음성이 맑게 울려야 하고, 얼굴의 기색은 온화하고 밝게 개어있는 듯해야 한다.
言語緩急有情, 思想豁達,
언어에는 완급에 따라 정[힘]이 있어야 하고, 생각과 사상은 활달해야 한다.
臨事果斷, 處事光明,
일에 임해서는 과감하게 판단해야 하며, 일에 처해서는 밝게 빛나야 한다.
行藏從容, 不威而嚴.
행하고 멈추는데 침착해야 하고, [태도에] 위엄이 있지 않으면 엄숙해야 한다.
頭圓頂平, 面略方而圓,
머리는 둥글고, 정수리가 평평해야 하며, 얼굴은 약간 모진 듯 둥글어야 한다.
五岳略帶丸味, 山根有勢,
오악은 살짝 둥근 맛이 있어야 하고, 산근은 기세가 있어야 한다.
印堂平滿, 眉略彎, 眼略長,
인당은 평만해야 하고, 눈썹은 약간 굽어야 하며, 눈은 살짝 길어야 한다.
聲略細而似揚, 言語徐而不浸,
음성은 약간 가는 듯하고, [점차] 성량이 올라가야 하며, 언어는 느린듯하지만 가라앉지 않아야 한다.
思想緩而不冷泛, 處事溫柔,
생각과 사상은 느긋하지만 냉정하고, 번잡스럽지 않아야 하며, 일에 처해서는 따뜻하고 부드러워야 한다.
面色和謁, 一見令人可敬.
얼굴이 온화한 기색으로 [어른을] 알현하면 한번 보는 순간 사람들도 가히 존경심이 든다.
頭圓頂尖, 面丸凸起, 五岳丸帶尖味,
머리가 둥글고, 정수리가 뾰족하며, 오악이 둥근듯 뾰족한 맛이 있다.
眉促而灣, 或短而勢向上,
눈썹이 짧은듯 굽어 있고, 혹은 짧지만 기세가 위로 향해 있다.
眼露流光, 耳尖而縱,
눈의 빛이 흐르는듯 들어나고, 귀가 뾰족하게 쫑긋 서 있다.
聲大而粗, 或聲破而烈,
음성이 크고 거칠며, 혹은 음성이 깨진듯하고 맹렬하다.
性急而燥, 處事粗略,
성격이 참을성 없이 조급하고, 일처리는 약간 대충한다.
不慮前, 不顧後,
일을 하기 전에는 걱정이 없다가 일이 끝난 후에는 돌아보지도 않는다.
令人一見, 知其暴而識其簡,
이런 사람을 한 번 보면 그 포악함을 알고, 그 간단하고 단순함을 알 수 있다.
或頭小面大, 仰首輕浮等之大槪也.
혹 머리가 작고, 얼굴이 크며, 머리을 들고, 가벼이 들뜨는 등이 대부분 항양에 해당한다.
孤陰
頭面略帶方形, 或頭大面小,
머리와 얼굴이 살짝 모진 모양이고, 혹은 머리는 큰데, 얼굴이 작다.
正面如平, 側視中凹,
정면에서는 평평한듯한데, 옆면에서 보면 가운데가 움푹 들어갔다.
眼深眉低, 或平而粗,
눈이 깊고, 눈썹이 낮으며, 혹은 눈은 평평한데, 눈썹이 거칠다.
毫濃而促, 長大壓眼,
눈썹의 털이 짙고 짧으며, 눈썹의 털이 길고 크면 눈을 압박하는 듯 하다.
鬚髥深濃,
수염과 빈발이 농탁하다.
聲暗內喉, 語調緩中有刺, 或急而隱斷,
음성이 어둡고, 목구멍으로 기어들어가는 듯 하며, 언어가 조화롭고 느긋한 가운데 찌르는듯 하고, 혹은 말이 급히 하다가 은근히 끊어지기도 한다.
面色陰鬱, 處事過慮,
얼굴의 기색이 그늘지고 우울하게 보이며, 일처리 하는데 지나치게 걱정을 한다.
令人一見知其爲陰險, 執拗殘忍, 無化者是也.
이러한 사람을 한 번 보면 그 음험을 알 수 있고, 집요하며, 잔인함이 변하지 않는 자가 고음에 해당한다.
頭圓屬陽, 面方屬陰, 前面屬陽, 後腦屬陰,
머리가 둥근 것은 양에 속하고, 얼굴이 모진 것은 음에 속한다. 전면은 양에 속하고, 뒷통수는 음에 속한다.
頭大, 面大, 頭大, 面小, 前大, 後小, 前小, 後大, 此頭面差也.
머리가 크면 얼굴이 크고, 머리가 크면 얼굴이 작고, 앞면이 크면 뒷통수가 작고, 앞면이 작으면 뒷통수가 큰 것이 이것이 머리와 얼굴의 차이를 양차라 한다.
頭方屬陰, 面圓屬陽, 前後比差, 太過謂之陰錯也.
머리가 모지면 음에 속하고, 얼굴이 둥글면 양에 속하며, 전면과 뒷통수를 비교하여 차이가 지나치게 나면 이를 음착이라 한다.
面凸屬陽, 凹者屬陰, 四嶽起而中嶽凹, 亦謂陽差.
얼굴이 돌출하면 양에 속하고, 얼굴이 움푹 꺼지면 음에 속한다. 사악이 모두 웅장하게 일어났는데 중악만 움푹 꺼지면 역시 양차라 한다.
四嶽凹陷, 尖削, 而中嶽獨凸, 而高, 亦謂陰錯.
사악이 요함하고, 뾰족하며 깎인듯 하고, 중악만 돌출하여 높으면 역시 음착이라 한다.
如有骨無肉, 露眼無眉, 人大聲小, 亦謂陽差.
만약 뼈는 있는데 살이 없고, 눈은 들어났는데 눈썹이 없으며, 사람은 큰데 음성이 작으면 역시 양차라 한다.
有肉無骨, 眉重壓眼, 髮際低, 而天倉夾, 鬚?重而聲韻焦, 亦謂陰錯.
살은 있는데 뼈가 없고, 눈썹은 짙은데 눈을 압박하며, 발제는 낮아 천창까지 이르고, 수염과 빈발이 짙고, 음성이 매마르면 역시 음착이라 한다.
面雖大而色暗, 身雖男而步斜, 嬌娜如婦, 凡男體女行. 亦謂陽差.
얼굴은 비록 크지만 기색이 어둡고, 몸은 비록 남성이지만 걸음이 느려서 아리따운 부인같으며, 평범한 남자 체구에 여성처럼 행동하면 역시 양차라 한다.
女體男態者, 亦謂陰錯.
여자의 몸으로 남자의 행태를 하면 또한 음착이라 한다.
然則陽差陰錯, 最爲複雜, 而相無全吉, 世少完人.
그렇다면 양차와 음착이 가장 복잡하고, 상법에서 완전히 길한 것이 없으니 세상 사람들이 완전한 사람은 적다.
陽差陰錯者, 最多, 故相之爲難,
양차와 음착이란 가장 많은 고로 상법에서 어렵다고 한다.
難在分別形狀, 況有陽相而懷陰行, 陰相而作陽擧者哉.
형상을 분별하기 어려운데 하물며 양의 상이 음의 행동을 하거나 음의 상이 양처럼 행동을 하면 [어찌 상을 보겠는가?]
本篇已得捷經, 折衷綱領, 立陽差陰錯, 二法四例于後.
본 책에서 이미 첩경을 얻으며, 강령을 절충하였으니 양차와 음착을 세워 이 두 가지 법칙을 네 가지의 예를 뒤에 들어났다.
(一)男固陽, 混女行者, 正陽差.
(일) 남자는 진짜 양인데 여자의 행동이 섞여 있으면 양차의 정의다.
(二)女固陰, 混男態者, 正陰錯.
(이) 여자는 진짜 음인데, 남자의 행태가 섞여 있으면 음착의 정의다.
右二法, 是男女之正陽差陰錯.
위의 두 법칙은 남녀의 양차와 음착의 정법이다.
(一)不論男女, 槪以頭形, 屬天, 以象陽, 而主骨主聲, 故聲開?長持有韻者, 爲陽, 是以不論身之大小, 槪以聲?爲吉,
(일) 남녀를 불론하고, 대개 머리의 형상은 하늘에 속하며 양을 상징하며, 골기와 음성을 주장한다. 고로 음성은 목구멍이 열려 여운이 길게 끄는 자는 양이라 한다. 이로써 신체의 대소를 불론하고, 성량이 길한 것이다.
而聲暗韻短閉焦者爲陰是以身之大小不論, 槪以聲小不?爲凶, 此爲骨氣之陽差也.
음성이 어둡고, 여운이 짧으며, 막힌듯 메마른 자는 음이 되니 이로써 신체의 대소를 불론하고, 대개 음성이 작고, 울리지 않으면 흉한 것이다. 이는 골기의 양차가 되는 것이다.
(二)不論男女, 槪以面爲衆陽之宗, 而主骨肉儀表, 故五嶽隱起,
(이) 남녀를 불논하고, 대개 얼굴로써 일반적인 양의 근본 되는 것은 주로 골육으로 본보기를 삼으니 고로 오악이 은은하게 일어나야 한다.
鬚眉?髮中和爲吉, 凹陷重壓爲凶.
수염, 눈썹, 빈발, 머리카락이 중화를 이루면 길하고, 수염, 눈썹, 빈발, 머리카락이 움푹 꺼지거나 무겁게 압박을 하면 흉하다.
是以陰太盛者, 頭大面小, 後大前小, 髮際低, 眉重眉垂, ?重鬚重, 面凹色暗, 天倉夾, 有肉無骨, 槪爲陰錯,
이로써 음이 태서한 것은 머리가 크고 얼굴이 작으며, 뒷통수가 크고 전면이 작고, 발제가 낮으며, 눈썹이 짙고, 눈썹 끝이 쳐지며, 빈발과 수염이 짙고, 얼굴이 오목하며 기색이 어둡고, 천창이 좁으며, 살은 많은데, 뼈가 없는 듯 하면 대개 음착이 된다.
陽氣太過者, 頭小面大, 有骨無肉, 眉少稜露無眉, 露眼, 豁齒結喉, 前大後小, 聳肩, 尖面, 槪爲陽差.
양기가 태과한 것은 머리가 작고 얼굴은 크며, 뼈는 있는데 살이 없고, 눈썹 숱이 적고, 미릉골이 들어나서 눈썹 숱이 없는 듯 하며, 눈이 튀어나오고, 치아와 결후가 넓으며, 전면은 큰데 뒤통수가 작으며, 어깨가 높이 솟고, 얼굴이 뾰족하면 대개 양차가 된다.
(三)身材大而氣魄小, 處事?促, ??拘牽, 陰險殘忍, 執拗無化, 此陽不能制陰, 謂之陽差.
(삼) 몸의 자질은 큰데 기백이 작고, 일처리가 어수선하며, 부끄러움에 얽매이고, 고집스러움을 바꾸려 하지 않으면 이는 양이 능히 음을 제어할 수 없으니 이를 양차라 한다.
(四)人小而氣魄擴皇無度, 處事簡慢知進不知守, 此陰不能制陽, 謂之陰錯.
(사) 사람은 작은데, 기백이 넓고, 당당함이 헤아릴 수가 없으며, 일처리가 게으르고 대충하고, 나아갈 줄만 알지 지킬 줄은 모르면 이는 음이 능히 양을 제어하지 못하니 이를 음착이라 한다.
右四例中, 聲音之陽差, 氣本丹田應乎骨, 神靈而關壽夭.
위의 네 가지 예문 중에 음성을 양차라 하여 기의 근본인 단전에서 골기로 응하니 수명의 장단과 관련되어 신묘하다.
第二例及前云二法, 關乎六親者, 如陽差仍作陽相, 陰錯仍作陰相,
두 번째 예문의 순서에서 앞에 운문 두 개의 법칙은 육친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양차는 양의 상에서 나온 것이고, 음착은 음의 상에서 나온 것이다.
若夫陽和屬陽, 陰德屬陰, 固爲男女本性,
무릇 양화는 양에 속하고, 음덕은 음에 속하는데, 진실로 남녀의 본성이 되는 것이다.
唯是亢陽反陰, 孤陰反陽, 皆爲極變之例.
오직 항양이 오히려 음이 되고, 고음이 오히려 양이 되니 다 극이 변화한 예문이다.
如男之陽差, 變陰, 女之陰錯, 變陽是也.
남자의 양차가 변화하여 음이 되고, 여자의 음착이 변화하여 양이 되는 것이다.
夫面部流年運限者, 亦有無窮之訣也,
무릇 얼굴부위에 유년의 운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또한 무궁하게 결정되어 있다.
其中分兩種辨別, 一曰, 九陽定流法, 一曰九陽混流法.
그 중에 두 종류로 분별하여 보면 하나는 구양정류법이고, 또 하나는 구양혼류법이 있다.
定流法, 就是一般所傳的, 眉型好, 交眉運必佳.
정류법은 일반적으로 전해진 바을 취하여 눈썹의 모양이 좋으니 눈썹의 나이에 맞춰서는 반드시 운이 좋을 것이다.
混流法, 眉雖好, 而眼鼻耳不好者, 眉運不發, 注受於鼻, 鼻運佳也. (此乃眞傳秘決也. 讀者宜留意參考.)
혼류법은 눈썹이 비록 좋지만 눈, 코, 귀가 좋지 않다면 눈썹의 운이 불발하게 된다. 코에 대해 주를 단다면 코의 운은 좋은 것이다. (이는 진정 비결이 전해진 것이다. 독자가 마땅히 유의하여 참고해야 한다.)
眉好不發運, 鼻壞反運佳, 其中是有定理也,
눈썹이 좋아도 운이 불발하는 것은 코가 무너지면 좋은 운이 아니다. 그중에 이것이 정해진 이치인 것이다.
一般相書所註者, 如眉好, 運交三十一至三十四, 必得佳運, 其中奧理非此簡單也.
일반적으로 상서에 주해를 보자면 만약 눈썹이 좋으면 운이 31세부터 34세까지이므로 반드시 운이 좋다고 하나 그중에 오묘한 이치가 숨어 있으니 이렇게 간단하지가 않다.
麻衣老祖云--「禾倉祿馬要相當, 不識之人莫亂指」, 就是此意也.
마의노조가 이르길 「화창록마가 중요하니 서로 균형이 맞아야 한다. 이를 모르는 사람은 어지러이 가리키지 마라.」이러한 의미를 취하였다.
例如--年上壽上部位甚好, 而眉型六害者, 運交四十四歲, 四十五歲, 定有大災也,
예를 들자면 년상, 수상의 부위는 매우 좋은데, 눈썹의 형태가 육해미라면 운이 44세, 45세에 이르러 정녕코 큰 재화가 있게 된다.
如壽上骨陷, 眉生五彩有勢, 眼覆眞光, 注射於鼻, 運交壽上無有大害也.
만약 수상의 골격이 꺼지면 눈썹에 오채가 기세가 있고, 눈에서 진기로운 빛이 감춰져 있으니 코에 대해 주해를 붙이자면 년상의 운에 이르러 큰 재해는 있지 않다.
其中氣勢相關, 官官相顧, 不可不察, 故以新流年運限分段註解也.
그 중에 기세와 서로 관련이 있으며, 오관과 관계가 서로 연관이 되어 가히 살피지 않으면 안 되는 고로 새로운 유년의 운을 규정하고 나누고, 구별하여 주를 해석해야 한다.
本書注重, 混流法, 定流法容易察, 不加詳解也.
본 글의 주석이 중요하므로 혼류법과 정류법을 용이하게 살펴 더 이상 상세히 풀이할 수가 없다.
五官圖說
公篤曰。五官者。言其貴也。故以官名之。而分區段之要害故也。眉?保壽官。以長秀柔潤?合格。主名高壽永。?廉出之。保壽官居其上者。五福一曰壽之義也。目?監察官。以長收晶??合格。主職貴權重。剛毅出之。監察官居其次者。立身之本也。鼻?審辨官。以?隆圓聳?合格。主富厚多財。禮義出之。審辨官居其三者。財政重地也。口?出納官。以勻厚?仰?合格。主壽長祿重。孝弟出之。出納官居其四者。一生之衣祿也。耳?採聽官。以長大厚珠?合格。主聰明貴福。忠信出之。採聽官居其旁者。樂善之機也。
五官圖說
오관도설
公篤曰。五官者。言其貴也。故以官名之。而分區段之要害故也。
공덕왈 오관이란 귀함을 말한 것이다. 고로 官이라 이름을 붙이고, 구별하고 분류하여 말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인 것이다.
眉?保壽官。以長秀柔潤?合格。主名高壽永。?廉出之。保壽官居其上者。五福一曰壽之義也。
눈섭을 보수관이라 한다. 눈섭은 길게 수려하며 부드럽고 윤택해야 격에 합당하다. 눈섭은 주로 명예가 높고, 수명이 긴 것을 의미한다. 맑고 청렴한 것은 보수관에서 나온다. 보수관은 오관의 첫번째 있으며, 오복 중에 첫번째가 장수를 뜻한다.
目?監察官。以長收晶??合格。主職貴權重。剛毅出之。監察官居其次者。立身之本也。
눈을 감찰관이라 한다. 눈이 길고 수정처럼 맑아야 격에 합당하다. 눈은 주로 관직이 귀하고, 권세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강하고 의지가 굳센 것은 감찰관에서 나온다. 감찰관은 오관의 두번째로 자리한다. 입신하는데 있어 근본이 된다.
주) 收 : 거둘 수 : 눈꺼풀 밖으로 눈동자가 나오지 않고, 안에 살짝 숨은 듯 해야 한다.
鼻?審辨官。以?隆圓聳?合格。主富厚多財。禮義出之。審辨官居其三者。財政重地也。
코는 심변관이라 한다. 코가 풍융하고 준두가 둥글며, 비량이 곧게 솟아야 격에 합당하다. 코는 주로 넉넉하고 두터워야 재력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예의와 의기가 심변관에서 나온다. 심변관은 오관의 세번째이다. 심변관은 재력과 정권의 중요한 요지이다.
口?出納官。以勻厚?仰?合格。主壽長祿重。孝弟出之。出納官居其四者。一生之衣祿也。
입은 출납관이라 한다. 입은 상하가 균형이 맞고, 입술이 두터우며, 입술이 붉어야 하고, 구각[입꼬리]이 위로 향해야 격에 합당하다. 입은 주로 수명이 길고, 복록이 두터운 것을 의미한다. 자손이 효도하고, 아랫사람이 공경하는 것은 출납관에서 나온다. 출납관은 오관의 네번째이다. 평생의 의록을 관장한다.
耳?採聽官。以長大厚珠?合格。主聰明貴福。忠信出之。採聽官居其旁者。樂善之機也。
귀는 채청관이라 한다. 귀는 길고 크며, 수주[귓망울]가 두터워야 격에 합당하다. 귀는 주로 총명하고, 귀한 복을 의미한다. 충성스럽고 신용을 지키는 것은 채청관에서 나온다. 채청관은 오관의 다음에 있다. 善[선행]을 즐기는 기본이 된다.
주) 其旁者 : 오관 중에 얼굴의 옆면에 있다. 라는 뜻으로 풀이 해도 되며, 또는 오관의 순서를 정하고, 마지막에 其旁者라 하여 '그 다음'이라 해석해도 된다.
四瀆圖說:
公篤曰。耳目口鼻。名江河淮濟者何。蓋欲其疏通也。再得其宜?疏通。反比?閉塞。如得人中溝?深長。又?貫澈四瀆矣。疏通者。足跡所至。能得人之扶助。雖異?猶桑梓也。意無不中。謀無不通。利達之格也。閉塞者。難越井里。屈膝閉戶。遠謀則敗。乖 蹇之格也。
四瀆圖說:
사독도설
公篤曰。耳目口鼻。名江河淮濟者何。
공독 선생이 이르길 이목구비의 강하회제라는 명칭은 무엇이냐?
蓋欲其疏通也。再得其宜?疏通。反比?閉塞。
대개 강물이란 소통을 하고자함이다. 다시 말해서 소통이 되어야 마땅하다. 반대로는 닫히고 막히는 것이다.
如得人中溝?深長。又?貫澈四瀆矣。
인중을 구혁이라 하며, 깊고 길어야 하고, 또한 사독과 연결되어 흘러가야 한다.
주) 모든 강물[사독]이 모여 구혁[인중]을 통해 바다[입]으로 흘러 들어가야 한다
疏通者。足跡所至。能得人之扶助。
소통이란 발자취를 [목표에] 이르는 바이고, 능히 [귀인] 부조를 얻는 사람이다.
雖異?猶桑梓也。意無不中。謀無不通。利達之格也。
비록 타향에 있어도 상재[고향]에 있는 듯 하며,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이 없고, 꾀하는 것이 통하지 않음이 없으니 이달지격이다.
주) 이달지격 : 이익을 창출하는데 탁월한 능력이 있는 상
閉塞者。難越井里。屈膝閉戶。
닫히고 막힌 것은 정리[고향]을 벗어나기 어렵고, 방안에 쭈그리고 앉아 있는 것과 같다.
遠謀則敗。乖 蹇之格也。
원대한 뜻을 세우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가는 괴번지격이다.
주) 괴번지격 : 모든 뜻이 어긋나거나 원활히 진행이 되지 않는 격이다.
十二宮圖說:
公篤曰。一命宮。?印堂也。?心之根。面之主體也。所以名印者。尊貴之義也。
宜寬大,主智量。宜方骨,主大貴。宜?隆,主富貴。宜高突,主奇貴。宜明潤,主順遂。宜黃紫,主吉慶。忌懸針,主破敗刑剋及危險。忌坑陷,主勞苦刑人丁。忌狹窄,主駁雜小量。忌紋沖,主勞碌困?。忌黑暗,主危險及牢獄死災。忌紅燥,主凶敗官非。
十二宮圖說:
12지궁 도설 :
公篤曰。一命宮。?印堂也。?心之根。面之主體也。所以名印者。尊貴之義也。
공독선생왈 첫번째 명궁은 곧 인당이다. 마음의 뿌리로 삼으며, 얼굴의 주체가 된다. 이른바 인당이라 하는 것은 존귀한 뜻을 갖는다.
宜寬大,主智量。
인당은 마땅이 너그럽고 커야 하니 주로 지혜와 심량을 크다.
宜方骨,主大貴。
인당이 네모진 듯 하면 주로 대귀를 누린다.
宜?隆,主富貴。
인당이 풍요롭게 융성하면 주로 부귀를 모두 겸하게 된다.
宜高突,主奇貴。
인당이 높게 돌출하면 주고 기이한 귀인이 된다.
[奇貴 : 신선, 승려, 도인]
宜明潤,主順遂。
인당이 밝고 윤택하면 주로 모든 일이 순조롭게 이루어 진다.
宜黃紫,主吉慶。
인당의 기색이 밝은 황색과 자기색이 나타나면 주로 매우 길한 경사가 일어난다.
忌懸針,主破敗刑剋及危險。
인당에 현침문이 있으면 주로 재물이 깨지고, 갖은 형극으로 위험이 빠진다.
忌坑陷,主勞苦刑人丁。
인당이 움푹 꺼지면 주로 수고롭고, 고생스럽거나, 형벌을 범하는 사람이 된다.
忌狹窄,主駁雜小量。
인당이 좁고 협소하면 주로 시정 잡배, 소인배, 속인이다.
忌紋沖,主勞碌困?。
인당에 주름이 있으면 주로 수고롭게 고생하며, 일이 막히고 더디게 된다.
忌黑暗,主危險及牢獄死災。
인당이 검게 어두우면 주로 위험한 일로 인하여 수옥하게 되어 형벌아래 죽는 재앙이 따른다.
忌紅燥,主凶敗官非。
인당이 붉게 타는듯 하면 반드시 흉화로 인해 관송 시비에 얽혀 패하고 만다.
公篤曰。二財帛宮。鼻?財宮。位居土宿。有四竅焉。兩側竅入肺管。兩直竅入腦海。督脈之要道也。
宜?隆,主富。宜聳直,主貴壽。宜圓勻,主多福。宜高貫,主大貴。宜黃紫,主通達及進財祿。宜潤澤,主利祿。宜方齊,主創業。宜懸膽,主大貴。忌小薄,主反覆受制。忌仰露,主破敗。忌黑塵染?,主破財及短見。忌紅赤貫準,主刑剋冷退及疾病。忌尖低,主貧苦。忌斷節,主孤刑。忌紋沖分斷,主凶危及失敗刑剋。忌土凌水星,主寒窮受制
公篤曰。二財帛宮。鼻?財宮。位居土宿。
공독왈 이 재백궁은 코가 재궁이 되며, 위치는 토수라 한다.
> 토는 중앙 토를 의미하며, 코의 위치가 중앙에 있으므로 토라 한다.
> 수는 별자리 수를 의미하며, 토수는 중앙에 위치한 별자리를 말한다.
有四竅焉。兩側竅入肺管。兩直竅入腦海。督脈之要道也。
네 개의 구멍이 있다. 두 개의 구멍은 폐기로 들어가는 기관이고, 두 개의 곧은 구멍은 뇌수로 들어간다. 코의 네 개의 구멍은 독맥의 중요한 기맥이다.
宜?隆,主富。
준두가 풍요롭고 융성해야 마땅하니 반드시 부자가 된다.
宜聳直,主貴壽。
비량이 곧게 솟아야 마땅히니 주로 귀인이며, 장수한다.
宜圓勻,主多福。
준두가 둥글고 균형이 맞아야 마땅하니 반드시 복이 많다.
宜高貫,主大貴。
비량이 높은듯 이마로 궤올라가야 마땅히니 주로 대귀를 누린다.
宜黃紫,主通達及進財祿。
코의 색이 맑게 노란듯 자기색이 나타나면 주로 만사가 통달되어 재록이 많아진다.
宜潤澤,主利祿。
코가 윤택해야 마땅하니 주로 이로운 관록을 얻는다.
宜方齊,主創業。
준두가 모난듯 난대정위와 가지런해야 마땅하니 주로 창업을 한다.
宜懸膽,主大貴。
쓸개를 매달아 놓은 듯한 현담비는 주로 대귀를 누린다.
忌小薄,主反覆受制。
준두가 작고, 비량이 얇은 것을 꺼리니 주로 뒤집어지고 엎어지며 제약을 많이 받는다.
忌仰露,主破敗。
비공이 하늘을 우러러 들어나면 주로 사업이 깨지고 실패한다.
忌黑塵染?,主破財及短見。
검은 티끌이 묻은듯 하거나 검게 물든듯 하면 주로 재물이 깨지고 실수가 잦다.
> 단견 : 짧은 지혜로 인해 잦은 실수를 저지른다.
忌紅赤貫準,主刑剋冷退及疾病。
준두가 홍색, 적색으로 이마로 꿰올라가면 반드시 갖은 형극을 탕하고, 운이 쓸쓸하게 물러나고, 질병에 걸린다.
忌尖低,主貧苦。
준두가 뾰족하고, 비량이 낮으면 주로 가난하여 고생이 심하다.
忌斷節,主孤刑。
비량이 끊어진듯 뼈마디가 지면 주로 고독하여 갖은 형극을 겪는다.
忌紋沖分斷,主凶危及失敗刑剋。
비량이 끊어져 나뉜듯 주름이 깊이 지면 주로 흉화로 인해 위험해지고, 잦은 실패로 형극이 많다.
忌土凌水星,主寒窮受制
코가 지나치게 커서 수성[입]을 압박하면 주로 춥고 궁색하고, 제약을 많이 받는다.
公篤曰。三父母宮。由日角起。至輔角止。居火星之位。
宜骨?,主父母貴及本身大貴。宜勻配,主父母?壽。宜高明,主父母多福。宜黃潤,主父母喜慶。忌低陷,主幼失父母。忌偏斜,右損父左損母。忌?滯,主父母?疾。忌黑暗,主父母死亡。
公篤曰。三父母宮。由日角起。至輔角止。居火星之位。
공독 선생님께서 이르시길 세번째는 부모궁이니 일각이 일어나고, 보각에 이르기까지이다. 부모궁은 화성(이마)에 위치한다.
宜骨?,主父母貴及本身大貴。
일각, 월각이 정수리로 궤올라가야 하니 주로 부모가 모두 귀하고, 본인 또한 대귀를 누린다.
宜勻配,主父母?壽。
이마 전체가 균형이 맞아야 하니 주로 부모 모두 장수한다.
宜高明,主父母多福。
이마가 넓고 높아야 하니 주로 부모의 복이 많다.
宜黃潤,主父母喜慶。
이마가 윤택한 황색이 나야하니 주로 부모에게 기쁜 경사가 있게 된다.
忌低陷,主幼失父母。
이마가 낮고 꺼진 것을 꺼리니 주로 어려서 부모를 잃는다.
忌偏斜,右損父左損母。
이마가 삐뚤고 기울어 진 것을 꺼리니 왼쪽이 기울면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오른쪽이 기울면 어머니를 일찍 여읜다.
忌?滯,主父母?疾。
이마에 푸른 색이 나타나면 부모에게 깊은 병이 든다.
忌黑暗,主父母死亡。
이마에 검고 어두운 듯 하면 부모가 돌아가신다.
公篤曰。四弟兄宮。?兩眉之羅侯計都二曜是也。
宜長竪,主弟兄貴。宜?秀,主弟兄明敏。宜光彩,主仙佛聖賢。宜柔細,主和睦。宜稜骨,主弟兄發達。宜環曲,主貴而無刑及多子女。忌間斷,主刑剋疾厄。忌短促。主敗刑而少弟兄及失睦。忌粗燥,凶失和而多官訟。忌旋螺,主刑剋內爭。
公篤曰。四弟兄宮。?兩眉之羅侯計都二曜是也。
공독선생께서 이르시길 네 번째 형제궁은 즉 두 눈썹으로 라후, 계도라는 두 별이다.
宜長竪,主弟兄貴。
눈섭이 길게 서 있는 듯 해야 마땅하니 주로 형제가 모두 귀하다.
> 長竪 : 길 장, 설 수 : 눈썹이 一자로 뻗지 말고, 눈썹의 꼬리가 살짝 위로 향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宜?秀,主弟兄明敏。
눈섭이 맑고 수려해야 마땅히니 주로 형제가 현명하고 영민하다.
宜光彩,主仙佛聖賢。
눈섭에서 빛이 빛나면 주로 신선, 불도를 닦아 성인이 되어 현군이 된다.
> 항상 눈썹이 밝게 빛나면 일생이 신선처럼 편안하고 안정적이라는 의미이다.
宜柔細,主和睦。
눈썹이 부드럽고 가늘어야 마땅하니 주로 형제가 모두 화목하다.
宜稜骨,主弟兄發達。
미릉골이 살짝 높아야 마땅히니 주로 형제가 모두 출세하여 발달한다.
宜環曲,主貴而無刑及多子女。
눈썹의 꼬리가 살짝 굽어 있어야 마땅히니 주로 형제가 귀하며, 아무런 형극을 당하지 않고, 자녀가 많다.
> 灣曲眉(만곡미) : 둥근 초승달 모양의 눈섭을 의미한다. 매우 귀한 눈섭이다.
忌間斷,主刑剋疾厄。
눈썹의 중간이 끊어진듯 한 것을 꺼리니 주로 온갖 형극을 당하고, 질병으로 고생한다.
忌短促。主敗刑而少弟兄及失睦。
눈썹이 짧아 촉급한 것을 꺼리니 주로 실패와 형극이 있으며, 형제가 적고 화목하지 않다.
忌粗燥,凶失和而多官訟。
눈썹이 거칠고 건조한 듯 하면 꺼리니 불미스러운 일로 화목하지 않고, 형제간에 관송이 많다.
忌旋螺,主刑剋內爭。
눈썹이 곱슬거리는 것을 꺼리니 주로 형제간에 싸우고 다투는 일이 많다.
公篤曰。五妻妾。位居目尾。?奸門魚尾是也。
宜?滿,主賢德。宜光潤,主康健及喜因。宜橫梁,主操持。宜上仰。主?淑。忌十字紋,主生離。忌坑陷,主刑剋。忌下反,主刑三妻。忌紋多,主男女重配。忌黑?,主刑而惡疾。忌?筋,主常疾。
公篤曰。五妻妾。位居目尾。?奸門魚尾是也。
공독선생이 이르시길 다섯 번째 처첩궁이니 눈의 꼬리에 위치하며, 간문과 어미를 의미한다.
宜?滿,主賢德。
간문이 풍요롭고 가득차면 주로 현명하고 덕스러운 부인을 얻는다.
宜光潤,主康健及喜因。
간문이 윤택하게 빛나면 주로 건강하고, 처로 인하여 즐거움이 있다.
宜橫梁,主操持。
눈의 꼬리[어미]가 가로로 길면 주로 지조가 있는 여인을 부인으로 얻는다.
宜上仰,主?淑。
눈꼬리[어미]가 위로 살짝 올라가면 주로 엄숙하고, 정숙한 여인을 부인으로 얻는다.
忌十字紋,主生離。
어미에 十자 무늬의 주름이 있으면 이혼하는 경우가 많다.
忌坑陷,主刑剋。
간문이 깊어 구덩이가 생기면 부부간에 갖은 형극이 일어난다.
忌下反,主刑三妻。
눈꼬리가 아래로 쳐진 것을 꺼리니 주로 결혼을 세 번하여도 끝이 안 난다.
忌紋多,主男女重配。
어미에 주름이 많으면 결혼을 여러번 경험한다.
忌黑?,主刑而惡疾。
어미나 간문에 검은 점이나 사마귀가 있으면 형극이 일어나고 심하면 무서운 질병에 걸린다.
忌?筋,主常疾。
간문에 푸른 힘줄이 들어나면 배우자가 항상 질병에 시달린다.
公篤曰。六子女宮。?淚堂臥蠶之間是也。
宜?平,主子女貴。宜寬潤,主子女多。宜黃明,主子順遂。宜紫潤,主子女貴祿。忌枯陷,主刑剋及疾厄。忌紋沖,主少子女。忌高露,主孤刑。忌亂紋,主假子女。忌黑?,主刑剋及遲立。忌深痕,主孤刑。
公篤曰。六子女宮。?淚堂臥蠶之間是也。
공독선생이 이르시길 여섯 번째 자녀궁. 즉 루당과 와잠의 사이를 의미한다.
> 루당은 눈물 루, 집당 : 자녀로 인하여 눈물이 흐르는 곳이고,
> 와잠은 누을 와, 누에 잠 : 루당의 모양이 누에가 뽕잎을 먹고 누워있는 형상을 뜻한다.
宜?平,主子女貴。
와잠이 풍만하고 평평하면 주로 자녀 모두 귀하게 된다.
宜寬潤,主子女多。
와잠이 너그럽고 윤택하면 주로 자녀를 많이 둔다.
宜黃明,主子順遂。
와잠이 황금색으로 밝으면 주로 자녀가 부모의 뜻을 순수하게 잘 따른다.
宜紫潤,主子女貴祿。
와잠이 자기색으로 윤택하면 주로 자녀가 존귀한 지위에 올라 높은 관록을 받는다.
忌枯陷,主刑剋及疾厄。
와잠이 건조하고 꺼진듯 하면 주로 자녀의 형극이 많고, 질병으로 인한 재액이 많다.
忌紋沖,主少子女。
와잠에 주름살이 있으면 주로 자녀가 적다.
忌高露,主孤刑。
와잠이 높게 들어난 것을 꺼리니 주로 자녀로 인하여 고독하고 갖은 형벌을 받는듯 하다.
忌亂紋,主假子女。
와잠에 어지러운 주름이 많으면 주로 자녀를 양자로 얻는다.
> 외도로 인하여 배다른 형제가 있을 수 있다.
忌黑?,主刑剋及遲立。
와잠에 검은 사마귀나 점이 있으면 주로 자녀를 형극하고 또는 자녀를 늦게 두게 된다.
> 자녀가 늦게 독립한다.
忌深痕,主孤刑。
와잠에 깊은 상처가 있으면 자녀로 인해 고독하고, 갖은 형극이 일어난다.
公篤曰。七官祿宮。上至髮際下至印堂。及日月角是也。
宜方正,主根基厚。宜圓突,主大貴。宜骨聳,主奇貴。宜黃紫,主順遂進官祿。忌直紋,主凶死。忌橫亂紋,主挫折及勞苦。忌黑暗,主失官祿。忌傾陷,主徒刑而失敗。
公篤曰。七官祿宮。上至髮際下至印堂。及日月角是也。
공독선생께서 이르시길 일곱 번째 관록궁. 위로는 발제부터 아래로는 인당까지이며, 일월각을 의미한다.
> 발제 : 이마와 두상의 경계선. 머리카락이 난 부분.
宜方正,主根基厚。
발제가 모난듯 하고, 이마가 반듯하면 반드시 근기가 두텁다.
> 근기후 : 조상의 음덕과 부모의 환경, 본인의 학업성취로 사회적 출세가 빠른 것을 의미한다.
宜圓突,主大貴。
이마가 둥근듯 하며, 정수리가 돌출된 듯 하면 대귀를 누린다.
宜骨聳,主奇貴。
이마나 두상에 기이한 골이 솟으면 기이한 귀인이 된다.
> 기인 : 승도, 도가, 기이한 수행으로 경지에 오른 기이한 귀인을 뜻한다.
宜黃紫,主順遂進官祿。
이마가 밝은 황색이나 자기색이 나타나면 모든 일이 순조롭고, 관록이 영전된다.
忌直紋,主凶死。
이마가 곧은 주름이 있으면 반드시 흉하게 죽게 된다.
忌橫亂紋,主挫折及勞苦。
이마에 가로로 어지로운 주름이 있으면 반드시 좌절을 겪으면 수로롭게 살아간다.
忌黑暗,主失官祿。
이마가 검게 어두우면 반드시 관직을 잃고, 관록을 돌려주게 된다.
忌傾陷,主徒刑而失敗。
이마가 뒤로 길울고, 중정이 꺼진듯 하면 반드시 범법을 하거나 실패를 겪게 된다.
公篤曰。八田宅宮。發於肝。蓋氣魄關鍵。兩目是也。
宜充彩,主仙祿。宜精瑩,主田宅多。宜?秀,主厚祿。宜分明,主祖業。忌赤縷,主凶敗。忌濁紊,主破敗。忌流麗,主天賤最淫。忌枯露,主窮苦及凶。
公篤曰。八田宅宮。發於肝。蓋氣魄關鍵。兩目是也。
공독선생께서 이르시길 여덟 번째 전택궁. 간에서 일어나며, 대개 기백이 관건이다. 두 눈을 의미한다.
宜充彩,主仙祿。
두 눈의 빛이 쏘는 듯 하면 신선과 같은 복록을 얻는다.
> 재복이 많아 신선처럼 산다.
宜精瑩,主田宅多。
검은 눈동자가 맑으면 밭과 집이 많이 있다.
> 지방에 전원주택의 별장이 있고, 땅과 주택이 많이 있다.
宜?秀,主厚祿。
눈동자가 맑고, 눈의 모양이 수려하게 길면 반드시 두터운 복록이 있다.
宜分明,主祖業。
검은 동자와 흰 동자가 분명하면 조상의 유업과 유산을 많이 받는다.
忌赤縷,主凶敗。
눈에 붉은 실핏줄이 얽혀 있으면 반드시 흉화로 인해 실패하게 된다.
忌濁紊,主破敗。
> 검은 동자가 흐리고, 흰 동자가 어지러우면 반드시 만사가 깨지고, 사업이 실패한다.
忌流麗,主天賤最淫。
눈이 유산되거나 화려하게 보이면 반드시 가장 천하고, 가장 음탁하다.
> 유산 : 눈에 물기가 촉촉하게 젖어 있어서 윤택하게 보이지만 음탕한 눈이다.
> 화려 : 눈이 화사하고 아름답게 보이지만 정신이 안정되지 않아 가장 천한 눈이다.
忌枯露,主窮苦及凶。
눈이 매마른듯 하고, 눈이 돌출되면 궁색하며, 고통이 많고, 흉화가 따른다.
公篤曰。九奴僕。位居地閣。故在卑下兩?之側是也。
宜圓厚,主誠厚。宜?角,主多而忠誠。忌尖削,主遺累。忌破陷,主恩中怨。
公篤曰。九奴僕。位居地閣。故在卑下兩?之側是也。
공독선생께서 이르시길 구 노복은 지각에 위치하니 고로 [코]의 아랫부분이며, 양 시골의 옆에 있다.
> 시골 : 지각의 양 옆을 의미한다. 노복궁은 하정 전체를 보기도 한다.
宜圓厚,主誠厚。
하정이 둥글고 두터워야 하니 주로 성실하고 신용이 두터운 부하를 둔다.
宜?角,主多而忠誠。
지고의 뼈가 뿔처럼 튀어나와야 하니 주로 충성스러운 부하직원이 많다.
忌尖削,主遺累。
지각이 뾰족하고 턱선이 기울면 주로 부하직원이 누를 끼친다.
忌破陷,主恩中怨。
지고가 깨지고, 지각이 꺼진듯 하면 주로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
公篤曰。十疾厄宮。位山根命宮及年壽之左右是也。命宮忌?筋,主腎病及虛弱。年壽忌節?,主?疾胃病及水氣上泛濕氣痰?。精舍忌?露,主傷陰及失眠症。國印忌紅赤,主持血及冷退。命門忌黑暗,主暴卒及脫陽。口角忌黃浮,主?疾及濕疫。人中忌??,主痛症及瀉痢。三陽忌黑枯,主瘟疫及兩?症。
公篤曰。十疾厄宮。位山根命宮及年壽之左右是也。
공덕 선생왈 열 번째 질액궁. 위치는 산근, 명궁, 년상, 수상의 좌우를 의미한다.
命宮忌?筋,主腎病及虛弱。
명궁에 푸른 힘줄이 들어나면 신장병이 있거나 허약체질이다.
年壽忌節?,主?疾胃病及水氣上泛濕氣痰?。
년상 수상에 푸른 힘줄을 꺼려하니 위장,병이 깊이 침입하고, 수기가 범람하여 담음이 생긴다.
> 수기상범습 : 오장육부에 음습한 기운이 범람하여 담음[위궤양]이 온다.
精舍忌?露,主傷陰及失眠症。
정사, 광전에 푸른 힘줄을 꺼리니 음기를 상하고, 불면증이 생긴다.
> 정사, 광전은 산근의 양 옆을 의미한다.
> 상음 : 음기는 혈정을 의미하고, 실면증 : 불면증이다.
國印忌紅赤,主持血及冷退。
인당이 홍색, 적색을 꺼리니 치질로 인하여 출혈이 생기고, 냉병으로 이질이 생긴다.
命門忌黑暗,主暴卒及脫陽。
명문이 검고 어두운 것을 꺼리니 갑자기 죽거나 양기가 다 빠져 나간다.
> 명문 : 귀 앞부분
口角忌黃浮,主?疾及濕疫。
구각이 누렇게 들뜬 바를 꺼리니 질병이 침입하여 급성 전염병에 걸린다.
人中忌??,主痛症及瀉痢。
인중이 푸른색이 침범하는 바를 꺼리니 통증이 심하고, 설사병이 생긴다.
三陽忌黑枯,主瘟疫及兩?症。
와잠이 검고 건조한 바를 꺼리니 주로 유행성 급성 전염병에 걸린다.
公篤曰。十一福德宮。位居眉尾稜骨。西人所謂蓄財骨是也。
宜力突、主壽福及立外業。宜朝拱,主富德及貴名。忌低陷,主奸詐勞苦。忌尖削,主破敗多勞及刑人丁。
公篤曰。十一福德宮。位居眉尾稜骨。西人所謂蓄財骨是也。
공독 선생왈 십일 복덕궁. 위치는 눈썹 꼬리의 일어난 골기. 서방 사람은 축재의 골이라 의미한다.
宜力突、主壽福及立外業。
천창골이 힘있게 돌출되어야 하며 수명, 복록이 외국으로 사업에 미친다.
宜朝拱,主富德及貴名。
천창골이 변지골에 이르러 서로 연이은 듯하면 주로 너그러운 덕행으로 귀한 이름을 알린다.
忌低陷,主奸詐勞苦。
천창골이 낮고 꺼지면 주로 간사하고, 수고롭게 고생을 한다.
忌尖削,主破敗多勞及刑人丁。
천창골이 뾰족하거나 깎인듯 하면 주로 재물이 깨지고, 실패하여 범법자가 되기도 한다.
公篤曰。十二遷移宮。上至山林下至輔角。?邊城驛馬是也。
宜骨朝,主武貴。宜?隆、主官遊。宜沖破復起,主遠發他?。忌低陷,主無住場。忌偏窄,主破祖業。忌黑暗及?,主遠行失敗及驚險。
公篤曰。十二遷移宮。上至山林下至輔角。?邊城驛馬是也。
공독 선생왈 열 두번째 천이궁. 위로는 산림, 아래는 보각에 이른다. 즉 변성 역마를 의미한다.
> 변성 : 이마의 양 모서리 부분을 의미하고, 역마는 변성부위의 바로 아래를 본다. 산림은 역마의 아래부분이고, 보각은 산림의 아랫부분이다. 즉 눈섭꼬리의 천창에서 변성까지 일렬로 골기가 일어선 것을 의미한다.
宜骨朝,主武貴。
천이궁의 골기가 풍융하게 일어서 일월각을 보는듯 하면 무장으로서 귀인이 된다.
宜?隆、主官遊。
천이궁의 골기가 풍융하면 반드시 관직을 옮겨다니며 전국 유람을 한다.
宜沖破復起,主遠發他?。
천이궁의 골기가 중간에 깨진듯 하다가 다시 일어선듯 하면 타향에서 어렵게 성공한다.
忌低陷,主無住場。
천이궁이 낮고 꺼진듯 하면 반드시 머무를 곳이 없다.
> 안정된 직장도 없고, 월세방, 전세집으로 전전하며 살아간다.
忌偏窄,主破祖業。
천이궁이 삐뚤고, 깎인듯 하면 반드시 조상의 유업을 모두 잃어버린다.
> 조상의 유업, 유산을 모두 소모시키고, 어렵게 살아간다.
忌黑暗及?,主遠行失敗及驚險。
천이궁이 검고 어둡거나 사마귀가 있으면 원행을 가서 실패하고, 놀랄 일을 경험한다.
> 원행 : 지방 출장, 해외 출장, 이민, 여행 등 멀리 떠나면 반드시 실패를 하게 된다.
六府三才三停圖說:
公篤曰。三才者。君位也。三停者。區域也。六府者。邊?也。君位高。則下不欺凌。區域勻。則佐使不爭競。邊??。則全局寧靜。若有不合。則乘而推論之。
公篤三才各論, 亦尋常之談耳. 余觀各書, 未有及此者, 然有其名, 必有其說, 公篤蓋曉然于此矣, 右識.
六府三才三停圖說:
육부, 삼재, 삼정의 그림 설명
> 육부는 천창 상이부, 관골 중이부, 지고 하이부로 나뉜다.
> 삼재는 이마를 천재, 코를 인재. 턱을 지재라 한다. 얼굴의 중앙선상을 의미한다.
> 삼정은 발제~인당을 상정, 인당~준두를 중정, 인중~지각을 하정이라 한다.
公篤曰。三才者。君位也。
공독왈 삼재는 군주의 지위와 같다.
> 천중, 천정, 사공, 중정, 인당, 산근, 년상, 수상, 준두, 인중, 수성, 승장, 지각 : 가운데 선상
> 천재 : 천중, 천정, 사공, 중정, 인당
> 인재 : 산근, 년상, 수상, 준두
> 지재 : 인중, 수성, 승장, 지각
三停者。區域也。
삼정은 구역을 의미한다.
> 상정은 이마 전체[구역], 중정은 코와 관골 전체[구역], 하정은 입과 턱 전체[구역]
六府者。邊?也。
육부는 가장자리에 진열되어 있다.
> 상이부는 천창으로 상정의 가장자리, 중이부는 관골로 중정의 가장자리, 하이부는 지고로 하정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君位高。則下不欺凌。
군주의 위치는 높아야 하니 곧 신하가 군주를 기만하고 능멸해서는 안 된다.
> 얼굴의 중앙선은 군주와 같아 높아야 하고, 그외 다른 부위가 높아서는 안 된다.
> 군주는 삼재를 의미한다.
區域勻。則佐使不爭競。
구역은 균등해야 하니 즉 군주를 보좌해주는 관리로서 다퉈서는 안 된다.
> 구역은 삼정이니 삼정이 고루게 균등해야 하며, 어느 부위가 길거나 짧아서는 안 된다.
邊??。則全局寧靜。
가장자리 진열된 부위는 강해야 하니 곧 전국[전면]이 평안하고 고요하다.
> 변진은 육부이니 육부가 강하게 솟으면 평생 안정되고 편안하다.
若有不合。則乘而推論之。
만약 부합되지 않으면 곧 이와 같은 것으로 미루어 논하면 된다.
公篤三才各論, 亦尋常之談耳.
공독선생의 삼재의 각각의 이론은 또한 평상지론이다.
余觀各書, 未有及此者, 然有其名, 必有其說,
내 각각의 글의 보았을 때 아직 이러한 이론에 미치지 못하니 그러므로 그 제목에 반드시 부연설명이 필요하다.
> 위 글의 내용은 공독선생님의 말씀이 아니라, 제 삼자가 공독선생님의 책을 읽고 쓴 글이다.
公篤蓋曉然于此矣, 右識.
공덕선생은 이러한 상법을 모두 깨우치셨다. 오른쪽 자세히 설명하였다.
> 右識 : 고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세로로 쓰여져 있었으므로, 오른쪽에 설명이 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지금으로는 윗글과 같다. 뭐.. 그런 내용이다.
五星圖說:
公篤曰。兩耳?金木二星。宜長厚朝口。堅硬紫白。得其輕?之氣則貴。輪飛廓反則刑傷。黑暗則困苦惡疾。額?火星。得其炎露之氣則貴。低陷狹窄則貧苦而賤。鼻?土星。宜圓隆得其厚重之氣則富。小露缺沖則貧苦反覆。口?水星。宜厚仰?收。得其容納之氣則祿。尖薄下反則勞苦奔馳兼驚險。
公篤曰。兩耳?金木二星。
공독선생왈 두 귀는 금성과 목성이다.
> 왼쪽 귀는 금성, 오른쪽 귀는 목성이다.
> 두 귀의 모양이 서로 다르면 金剋木이 되어 초년이 불우하다.
宜長厚朝口。
귀가 길어야 하며, 귓망울이 두터워 입을 향해야 한다.
> 귀의 윗부분은 눈과 눈섭사이 정도로 높아야 하며, 아래로는 턱선까지 와야 한다.
> 귓망울을 水珠(수주:물구슬) 또는 垂珠(수주:구슬이 드리운)라고 표현한다.
> 수주가 앞으로 살짝 들려서 입을 향하면 이를 朝口(조구:입을 향해)라고 한다.
堅硬紫白。
귀의 윤곽이 단단하고, 붉거나 희어야 한다.
> 귀가 단단하고 힘이 있어야 의지가 굳건하고, 귀가 물렁하고 유약하면 의지가 약하다.
> 귀가 붉으면 감성적이며, 귀가 희면 이성적이며, 냉철하다.
得其輕?之氣則貴。
명문이 맑고 깨끗하면 귀하다.
> 명문은 귀이 앞부분으로 귀의 기운이 앞으로 향하는데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輪飛廓反則刑傷。
외윤이 날아가고, 내곽이 뒤집히면 갖은 형상을 당한다.
> 귀의 윤곽을 안과 밖으로 나뉘며, 안은 곽이라 하고, 밖은 윤이라 한다.
> 윤비곽반이 되면 어리석고 천하여 고생을 자초한다.
黑暗則困苦惡疾。
귀의 색이 검고 어두우면 곤궁하여 고생하며, 무서운 병에 걸린다.
> 耳屬腎(이속신 : 귀는 신장에 속한다)이라 하여 신장의 기운을 살피는 곳이다. 귀가 어두우면 신장의 기운이 약하다고 본다.
額?火星。
이마는 화성으로 삼는다.
> 이마와 머리 전체를 화성이라 본다.
得其炎露之氣則貴。
화성은 불꽃이 타오르는 듯한 기세가 곧 귀하다.
> 이마가 넓고 높아야 귀하다고 본다.
低陷狹窄則貧苦而賤。
이마가 낮고, 중간에 꺼진듯 하며, 좁고, 깎인듯 하면 가난하고, 고생하며, 천하다.
鼻?土星。
코를 토성이라 한다.
宜圓隆得其厚重之氣則富。
준두가 둥글고, 비량이 솟아야 마땅하며, 코가 두텁고 무거운 기운이 있으면 부자다.
> 준두는 코의 끝부분으로 둥글어야 재복이 많이 있다.
> 비량은 콧대를 의미하며, 콧대가 힘 있게 이마로 꿰올라가는 듯 솟아야 중년에 대성한다.
小露缺沖則貧苦反覆。
준두가 작고, 비량의 뼈가 들어나고, 삐뚤어지면 가난하며, 고생하는 바를 평생 반복한다.
> 준두가 작고, 뾰족하면 재복이 없다.
> 비량의 뼈마디가 굵게 나타나면 성격이 억세고, 거칠어 재운이 약하다.
> 沖 ; 부디칠 충 ; 콧대를 어디에 부딪치거나 맞아서 삐뚤어지면 중년에 성공하기 어렵다.
口?水星。
입을 수성이라 한다.
宜厚仰?收。
입술이 두터워야 하며, 입꼬리가 살짝 위로 향해야 하며, 주사를 바른듯 붉어야 하며, 입을 힘 있게 다물어야 한다.
> 입술이 두터워야 마음이 너그럽고, 입꼬리가 살짝 위로 향해야 복을 받는다.
> 주사 : 경면주사로써 옛날의 붉은 색 염료로 쓰였다. 요즘은 붉은 루즈를 바른듯 붉어야 한다라고 해야 맞는 말인 거 같다.
> 收 : 거둘 수 : 입을 꽉 다물고 있어야 몸 안의 기가 빠지지 않고, 유용하게 쓸 수 있지만 입을 항상 벌리고 있다면 기가 모두 빠져나가 힘을 쓸 수가 없다.
得其容納之氣則祿。
입은 기를 받아들이는 바로써 록을 얻는다.
> 입은 기를 내고, 들이는 기관으로 입이 너그럽게 크고, 붉으면 높은 관직의 봉록을 받을 수 있다. 입이 작고 허옇게 되면 직장을 구하기가 어렵다.
尖薄下反則勞苦奔馳兼驚險。
입이 뾰족하고, 입술이 얇으며, 입꼬리가 아래로 쳐지고, 입술이 뒤집힌듯 하면 수고로운 일로 바쁘게 돌아다니 게 되며, 험하고 놀랄 일이 많다.
六曜圖說:
公篤曰。六曜之圖。多驗氣色。今故撰之。如月?不宜沖破。兩眉不宜欺凌。若一欺凌。六親害累矣。色宜紫黃。主官祿。忌黑暗。主危損。羅計二曜忌濁暗。則主牽累驚險損害。太陽太陰則忌?黑。應哭泣。或疾厄。左男右女。命門二曜。主疾厄。一黑則腎?而死災也。
公篤曰。六曜之圖。多驗氣色。今故撰之。
공독선생 왈 육요는 기색으로 징험이 많으며, 지금 고로 글을 써 본다.
如月?不宜沖破。
월패는 충파가 마땅치 않다.
> 월패는 산근을 의미하며, 월패는 북두칠성을 뜻한다.
> 충파는 산근에 주름이 있거나 낮게 꺼지고, 끊어진듯 한 것을 말한다.
兩眉不宜欺凌。
두 눈섭이 [인당]을 능멸해서는 안 된다.
> 欺凌 : 속일 기, 능멸할 능 : 두 눈섭이 서로 연이은 듯 하면 인당의 자리를 침범하고 능멸한 형상을 의미한다.
若一欺凌。六親害累矣。
만약 조금이라도 인당을 침범하면 육친에게 해로운 누를 끼친다.
> 육친 : 부모, 형제, 처자
> 害累 : 해로울 해, 묶을 누
色宜紫黃。主官祿。
인당에 자색과 황색이 나타나면 반드시 관록이 높아진다.
> 자색은 밝고 투명한 여명의 빛을 의미한다.
忌黑暗。主危損。
인당이 흑색과 어두운 색이 나타나면 재액이 일어난다.
羅計二曜忌濁暗。則主牽累驚險損害。
라계 두 요는 흐리고 어두운 것을 꺼리며, 반드시 험하게 놀랄 일을 끌어들이고, 손해를 보는 누를 당한다.
> 羅計 : 그물 라, 꾀 계 : 왼쪽 눈섭을 라후, 오른 쪽 눈섭을 계도라 하며, 라후는 일식 때 나타나는 별이고, 계도는 월식 때 나타나는 별의 이름이다.
> 濁暗 : 흐릴 탁, 어두울 암 : 눈섭이 짙어서 어둡게 보이면 어리석고 천한 눈섭이다.
> 牽累驚險損害 : 끌 견, 묶을 누, 놀랄 경, 험할 험, 덜 손, 해로울 해
太陽太陰則忌?黑。應哭泣。或疾厄。
태양 태음은 검푸른 색을 꺼리니 흐느껴 울 징조이며, 혹은 질액이 있게 된다.
> 太陽太陰 : 태양은 해, 태음은 달을 상징한다. 즉 태양은 왼쪽 눈, 태음은 오른 쪽 눈을 의미한다.
> 應哭泣 : 응할 응, 울 고, 울 읍
左男右女。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
> 얼굴 전체를 좌우로 나눌 때, 왼쪽은 남자를 주로 보고, 오른쪽은 여자를 주로 본다.
命門二曜。主疾厄。一黑則腎?而死災也。
명문 두 요는 질액을 살피는 곳으로 한 번 흑색이 나타나면 신장기운이 끊기 게 되어 죽을 재액을 당하게 된다.
> 命門 : 목숨 명, 문 문 : 명문은 귀 앞부분이며, 이곳은 신장의 기능을 보는 곳이다.
> 黑則腎? : 검을 흑, 곧 즉, 콩팥 신, 끊을 절 : 귀가 검게 변하면 신장기능이 쇠약하게 되어 건강이 매우 위험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男女面?圖說:
公篤曰。經云。面無善?。一語已?括其大致矣。而緊要部位。亦不可不知也。然貴少賤多。凡?宜隱藏則吉。露出則凶。古有額橫七星。雖帝王亦因危而奔馳。此創業者流也。其他不足言矣。黑紅而高者??。紅而平者?記。黑而平者?斑。少年生者?雀斑。則疾苦而夭。老年生者?壽斑。則福祿而壽。
公篤曰。經云。面無善?。一語已?括其大致矣。而緊要部位。亦不可不知也。
공독왈 경운에 얼굴에는 좋은 점이 없다. 한 마디로 총괄하여 대략적으로 말한 것이다. 중요한 부위별로 알지 않으면 안 된다.
然貴少賤多。凡?宜隱藏則吉。露出則凶。
그러므로 귀한 점은 적고, 천한 점은 많다. 무릇 점은 은밀한 곳에 감춰져 있으면 길하고, 밖으로 들어나면 흉하다.
古有額橫七星。雖帝王亦因危而奔馳。此創業者流也。其他不足言矣。
고 이마에 가로로 칠성이 있으면 비록 황제라 해도 또한 위험에 닥쳐서 도주할 수 있으며, 이는 창업자의 부류이며, 기타 말로 다할 수 없다.
黑紅而高者??。紅而平者?記。黑而平者?斑。
검거나 붉은 점이 높으면 지이라 보고, 붉은 점이 평평하면 기라 한다. 검은 점이 평평하면 반이라 한다.
少年生者?雀斑。則疾苦而夭。
젊은 사람의 점이 작반(죽은깨)가 있으면 곧 질액으로 고통스럽고, 일찍 죽을 수 있다.
老年生者?壽斑。則福祿而壽。
늙은 사람의 점이 수반(검버섯)이 있으면 곧 복록이 가득하고, 장수할 수 있다.
男女身?圖說:
公篤曰。全身之?。惟結喉一?最凶。男女皆不得正命而死。或刀?死。或惡疾死。或自隘?難而殞。富貴貧賤皆然。腰腎?亦不好。男主弱疾夭壽。富貴之婦女。主私淫。常人則?娼妓奴僕等類。?佳者。惟足心生正方貴。次則陰上。又次則臍之上下。又次則膝乳螺骨。其他則鮮驗。
男女身?圖說:
남녀의 몸에 난 점에 대한 설명
公篤曰。全身之?。惟結喉一?最凶。
공독왈 전신의 점은 오직 목 줄기에 난 점이 가장 흉하다.
> 結喉 : 맺을 결, 목구멍 후 : 목 줄기에 솟은 돌기
男女皆不得正命而死。或刀?死。或惡疾死。
결후에 난 점은 남녀 모두 바른 운명을 타고나지 못하고, 죽게 되며, 혹은 범죄자로 죽기도 하며, 혹은 무서운 질병으로 죽게 되고,
> 刀?死 : 칼 도, 솥 쟁, 죽을 사 : 중죄를 짓고, 단두대에 죽거나, 솥에 삶아져서 죽을 수 있다.
或自隘?難而殞。富貴貧賤皆然。
혹은 난산으로 사산아를 낳게 되며, 이는 부자, 귀인, 가난한 사람, 천한 사람 모두 그러하다.
> 自隘?難而殞 : 스스로 자, 좁을 애, 낳을 사, 어려울 난, 말이을 이, 죽을 운 : 산도가 좁아 난산으로 산모가 죽거나 사산아를 낳게 된다.
腰腎?亦不好。男主弱疾夭壽。
허리에 난 점을 좋은 점이라 하나 또한 좋지 않고, 남자는 반드시 가벼운 병에 자주 걸리거나 수명일 길지 못하다.
富貴之婦女。主私淫。常人則?娼妓奴僕等類。
허리에 난 점은 부귀한 부인도 사사로이 음탕하게 되며, 보통 사람은 매소부나 일용직에 일하게 된다.
> 娼妓奴僕 : 창녀 창, 기녀 기, 노비 노, 종 복
?佳者。惟足心生正方貴。
좋은 점은 오직 발바닥에 난 것으로 바야흐로 귀한 점이다.
> 足心 : 발바닥 중심 : 용천부위
次則陰上。又次則臍之上下。
다음은 음물에 난 점이고, 또 다음은 배꼽의 위아래에 난 점이다.
> 陰上 : 남자의 양물 위나, 여자의 음물에 난 점.
又次則膝乳螺骨。其他則鮮驗。
또 다음은 무릎, 가슴, 가마, 정리수 뼈에 난 점이나 나머지는 선명한 점이 좋다.
> 膝乳螺骨 : 무릎 슬, 가슴 유, 소라 라, 뼈 골 : 소라는 정수리에 난 가마부위를 의미합니다. 정수리의 둥글게 솟은 부위에 점이 있으면 천하를 호령한다고 했습니다.
上應下口訣:
額應膝上胸面前。耳應股肱輪?邊。目後須知乳與腋。兩?多應少脅間。眉頭項下兩相應。?底生?足下全。唇應陰?或股際。印堂偏應心窩前。手應螺骨曲膝內。?應足?是指間。人中臍部或臍內。鼻應玉莖?果然。
額應膝上胸面前。
액응슬상흉면전
* 이마는 무릎과 응하고, 가슴과 응하며, 얼굴과 응한다.
주) 이마의 양기는 무릎과 가슴과 얼굴에 모두 응한다.
耳應股肱輪?邊。
이응고굉윤두변
* 귀는 다리와 팡에 응하며, 귀의 윤곽과 팔꿈치와 응한다.
目後須知乳與腋。
목후수지유여액
* 눈꼬리는 반드시 유두와 겨드랑이에 응한다.
兩?多應少脅間。
양관다응소협간
* 양 관골은 갈비뼈와 응한다.
眉頭項下兩相應。
미두항하양상응
* 눈썹 머리는 목 아래 양쪽과 응한다.
?底生?足下全。
해저생지족하전
* 턱 밑의 점이 발 아래 점에 응한다.
주) 턱 밑에 점이 있으면 발바닥에도 점이 있다.
唇應陰?或股際。
순응음낭혹고제
* 입술은 음낭에 응하고, 혹은 넙쩍다리에 응한다.
印堂偏應心窩前。
인당편응심와전
* 인당은 심장 부위의 움푹 패인 곳과 응한다.
주) 인당은 심장과 응한다. 응푹 패인 곳은 잔중을 가리킨다.
手應螺骨曲膝內。
수응라골곡슬내
* 손은 손등과 무릎 안과 통한다.
주) 라골은 손등이며, 曲膝內는 오금을 말한다.
?應足?是指間。
시응족두족지간
* 뺨은 발등과 발가락 사이에 응한다.
주) 족두는 발등이라 한다.
人中臍部或臍內。
인중제부혹제내
* 인중은 배꼽과 배꼽의 속과 응한다.
鼻應玉莖?果然。
비응옥경진과연
* 코는 옥경과 진실로 응한다.
주) 옥경은 남근을 뜻한다.
男女面毛圖說:
公篤曰。髮?血之餘。毛?髮之次。故于相法有關係焉。部位有宜不宜也。如面部生毛。不好者居多數。其義者何。晝蛇添足故也。凡毛要長過八分者方確。非毫毛也。西人云。血足者多生粗毛。余攷驗之又全非。又每出于血弱者。?將經驗者附左。俟高明者證之。
公篤曰。髮?血之餘。毛?髮之次。
공독선생 왈, 머리카락은 혈정의 여분이며, 털은 머리카락 다음이다.
故于相法有關係焉。部位有宜不宜也。
고로 옛날 상법에 [혈정과] 관계되어 있으며, 부위에 따라 마땅함과 마땅치 않음이 있다.
如面部生毛。不好者居多數。
만일 얼굴에 난 털이 좋지 않다는 것은 [털이] 지나치게 많이 났기 때문이다.
其義者何。晝蛇添足故也。
그 뜻은 무엇인가. 뱀을 그리는데 발까지 그린 고사와 같다.
凡毛要長過八分者方確。非毫毛也。
무릇 털의 길이가 8푼 정도가 알맞고, [짧으면] 호모가 된다.
주) 1촌 = 3Cm, 1촌 = 10푼, 8푼 = 2.4Cm
西人云。血足者多生粗毛。
서쪽 지방 사람들은 혈정이 풍족하므로 거친 털이 많이 났다.
余攷驗之又全非。
내가 경험한 바를 돌아보건대 전부 그렇지 않았다.
又每出于血弱者。
또 매번 혈정이 약해도 털이 나왔다.
?將經驗者附左。俟高明者證之。
장차 경험한 바는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상법에 고명한 자는 이를 증명할 것이다.
手掌圖說:
公篤曰。余于手掌相法。經驗甚少。乃枝葉小法。?姑誌之。大抵木形宜長直。金形宜方正。水形宜圓短。土形宜敦厚。火形宜尖露。掌與面部相生。則富貴壽考。相剋。則貧苦刑賤。瑩潔血足?上。端正紋細次之。粗滯沖斜。非善相也。有四季掌者亦貴。蓋春季?潤。夏季紅活。秋季白瑩。冬季明黑。色應四時故也。?砂手亦貴。如紋則玉柱金印?最。次則沖天田紋之類。皆富貴之掌也。其他末敢必其?貴賤也。
公篤曰。余于手掌相法。經驗甚少。
공독선생왈, 내가 여태 수상상법에 대해 경험이 매우 적다.
乃枝葉小法。?姑誌之。
이에 지엽적인 소법이나마 잠깐 얘기 하고자 한다.
大抵木形宜長直。
대저 목형은 길고 곧아야 마땅하다.
金形宜方正。
금형은 모진듯 반듯 해야 마땅하다.
水形宜圓短。
수형은 둥글고 짧아야 마땅하다.
土形宜敦厚。
토형은 도탑고 두터워야 마땅하다.
火形宜尖露。
화형은 뾰족하고 [뼈마디가] 들어나야 마땅하다.
掌與面部相生。則富貴壽考。
손바닥과 얼굴부위가 서로 상생이 되어야 곧 부귀를 누리고 장수를 한다.
相剋。則貧苦刑賤。
서로 상극이 되면 가난하고 고생스러우며 온갖 형극을 당하는 천한 상이다.
瑩潔血足?上。端正紋細次之。
청결하게 빛나고, 혈정이 풍족해야 최상으로 삼으며, 단정하고 손금이 가는 것이 그 다음이다.
粗滯沖斜。非善相也。
어둡게 거칠고, 뼈가 들어나며, 살이 없으면 좋은 상이 아니다.
有四季掌者亦貴。
사계를 모두 갖춘 손은 역시 귀하다.
蓋春季?潤。
대개 봄에는 맑고 윤택해야 한다.
주) 청윤 : 푸를 청자를 맑을 청자로 해석하는 것이 맞다.
夏季紅活。
여름에는 붉게 타오르는 듯 해야 한다.
秋季白瑩。
가을에는 희게 빛나야 한다.
冬季明黑。
겨울에는 맑은 흑색[진기]이어야 한다.
色應四時故也。
사계절에 따라 색이 응해야 한다.
?砂手亦貴。
주사를 바른 듯한 손은 역시 귀하다.
如紋則玉柱金印?最。
주름 중에서 옥주문, 금인문이 가장 좋다.
次則沖天田紋之類。皆富貴之掌也。
다음은 충천문, 전문의 종류가 있으며, 모두 부귀의 손이다.
其他末敢必其?貴賤也。
기타는 감히 귀천을 정하지 못하였다.
公篤之相, 以面爲主,
공독선생의 상법은 얼굴을 위주로 보며,
於掌法但備一格,
장법[손금]의 법은 다만 조금 갖췄을 뿐이다.
蓋謂有諸內必形諸外,
대개 모든 것이 내면적인 것이 외면의 형상을 보아야 한다.
綱領不在此也, 右識.
모든 상법의 이치가 손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男格推論:
公篤曰。男格外陽內陰。其位動。其化無窮。其格亦至不一。故有仙佛聖賢。富貴貧賤。鯤寡孤獨。壽夭凶殘之別。而禍福貴賤。?集于一身者。又比比皆是也。如黃帝關尹純陽之徒。貴而仙也。文王夷齊。聖而困也。祿山絳灌。出身低微。而俱王侯。賤而貴也。齊桓梁武。家世貴重。面俱餓死。貴而凶也。太公甘羅之遲早。?淵盜?之壽夭。若類?之。更僕難數矣。持鑑者。於人之吉凶先後有無之間。須確有所主。又彰彰甚明者也。余嘗以多數?主。少數?客。以之斷驗。應者頗多。又當含其時會。盛時天道淳厚。故以?華?貴。圓降?富。削露?貧。偏薄?賤。高稜?壽。縮弱?夭。沖缺?孤。坑陷?苦。此一定之則也。而無不驗焉。令則不然。若猶以前法論之。將有千里之失。至以威露?貴。瘦明?富。厚重?愚。血枯肉流?賤。累試皆然矣。若論壽夭。則壽少兩天多矣。
公篤曰。男格外陽內陰。其位動。其化無窮。其格亦至不一。
공독선생왈, 남자의 격상은 외면은 양이오, 내면은 음이니 움직이는 위치[본분]가 변화 무궁하여 그 격상 또한 여러 가지 이다.
故有仙佛聖賢。富貴貧賤。
고로 선가 불가 성인 현인 부자 귀인 빈자 천한 사람이 있고,
鯤寡孤獨。壽夭凶殘之別。而禍福貴賤。
홀아비 과부 등의 고독한 사람과 장수 요절 흉화 잔악한 것으로 나뉘어 禍 福 貴 賤으로 격상을 본다.
?集于一身者。又比比皆是也。
더불어 일신으로 집약하여 보면 또한 어떠한 것이든 모두 이와 같다.
如黃帝關尹純陽之徒。貴而仙也。
대개 황제 관윤자 순양[여동빈] 등의 순양의 사람은 귀한 신선이 되었다.
文王夷齊。聖而困也。
문왕 백이 숙제 등은 성인이나 곤고하였다.
祿山絳灌。出身低微。而俱王侯。賤而貴也。
안녹산 강관 등은 출신이 낮고 비루하였으나 제후가 되었으니 천하게 태어나 귀하게 되었다.
齊桓梁武。家世貴重。而俱餓死。貴而凶也。
제환공 양무제 등은 가문의 기세가 귀중했으나 굶어 죽었으니 귀하게 태어나 흉하게 죽었다.
太公甘羅之遲早。?淵盜?之壽夭。
강태공은 늦게 출세를 하였고, 감라는 일찍 출세를 하였으며, 안회는 요절하였고, 도척은 장수를 하였다.
若類?之。更僕難數矣。
만일 여러 가지를 열거하는데, 다 일일이 설명하기 어렵다.
持鑑者。於人之吉凶先後有無之間。須確有所主。又彰彰甚明者也。
지감자가 사람에게 길흉, 선후, 유무 사이에 반드시 확고하게 주장하는 바가 있니 정확하게 깊이 밝혀야 한다고 하였다.
余嘗以多數?主。少數?客。以之斷驗。
내가 다수를 위주로 보고, 소수를 객으로 삼으니 이로써 징험의 결단을 내렸다.
應者頗多。又當含其時會。盛時天道淳厚。
징험한 결과 제법 잘 맞았는데, 시대에 따라서 합당하게 보아야 하며, 태평성대에는 격상이 하늘의 도가 흐르고, 순수하고 두터운 사람들이 많다.
故以?華?貴。圓降?富。削露?貧。偏薄?賤。
고로 맑고 화사함으로 귀를 삼고, 둥글고 풍융함을 부로 삼았으며, 깎이고 로출됨을 빈으로 삼고, 기울고 얇게 됨을 천으로 삼았다.
高稜?壽。縮弱?夭。沖缺?孤。坑陷?苦。此一定之則也。
높고 웅장함을 수로 삼고, 위축되고 이지러지면 요로 삼고, 깨지고 결함이 된 것을 고로 삼으며, 패이고 꺼진 것을 고로 삼으니 이러한 것들이 바로 정해져 있는 법칙이다.
而無不驗焉。令則不然。
일일이 징험되지 않음이 없으나 요즘 세상에는 잘 맞지 않더라.
若猶以前法論之。將有千里之失。
이는 예전의 법칙을 논한 것이고, 장래에는 천리의 차가 될 수 있다.
至以威露?貴。瘦明?富。厚重?愚。血枯肉流?賤。累試皆然矣。
요즘에는 위세가 당당하면 수척하여도 귀가 되고, 수척하여도 밝으면 부가 되며, 후중한 사람은 우가 되고, 혈정이 마르고 살이 넘치면 천이 되니 이러한 법칙이 모두 그러한 것이다.
若論壽夭。則壽少兩天多矣。
만약 장수 요절을 논한다면 장수하는 자는 적고, 요절하는 자가 많다.
男女二十四刑剋:
鬚分燕尾,雙分也刑剋妻于。鬚直無索,老來刑子。眉沖無稜,刑弟兄子女。鬚不過溝,刑子。臥蠶坑陷,刑子女。海底蓬松,刑早子女。一面?紋,刑骨肉。乳頭下反,刑子女。臍凸下反,勞苦又刑子女。人中十字,孤?。三尖六削,重刑而苦。魚尾破反,刑妻主三配。印紋懸針,破敗刑人丁。?多絨毛,幼孤。邊城陷痕,刑父母。年壽曲節,刑子女。滿面肉堆,刑六親。兩額高露,刑妻。山根間斷,刑子女。奸門十字,妻生雖。門牙楞側,刑父。判官刑,肉滯也刑父。羅漢面,肉浮也有女。?牙尖角,刑父母。
鬚分燕尾,雙分也刑剋妻于。
수염이 제비꼬리처럼 둘로 나뉘면 처자를 형극한다.
鬚直無索,老來刑子。
수염이 직선으로 곧고, 꼬불거리지 않으면 늙어서 자식을 형극한다.
주) 索 : 노끈 색 : 새끼를 꼬듯이 곱슬거리는 것을 말한다. 수염이 꼽슬거려야 마땅하나 곧게 직선이면 말년에 자녀에게 방해를 한다.
眉沖無稜,刑弟兄子女。
눈썹이 못 생기고, 미릉골이 없으면 형제간에 형극이 있고, 자녀를 형극한다.
鬚不過溝,刑子。
수염이 인중을 가리지 않으면 자녀를 형극한다.
주) 溝(구) = 溝?(구혁) = 四瀆之總脈 = 인중
주) 윗수염이 인중을 중심으로 둘로 나뉘어 인중을 덮지 못하면 실속이 없고, 자녀를 형극한다.
臥蠶坑陷,刑子女。
와잠이 구덩이처럼 꺼지면 자녀를 형극한다.
海底蓬松,刑早子女。
턱 수염이 쑥대밭처럼 소나무가 우거지듯 하면 자녀궁을 일찍이 형극한다.
주) 海底(해저) : 턱 수염, 蓬松(봉송) : 쑥대밭, 소나무.
一面?紋,刑骨肉。
얼굴에 주름이 짜글짜글 많으면 육친을 형극한다.
주) 骨肉(골육) : 육친 = 부모 형제 처자.
乳頭下反,刑子女。
유두가 아래로 쳐지거나 움푹 꺼지면 자녀를 형극한다.
臍凸下反,勞苦又刑子女。
배꼽이 튀어나오고, 아래로 쳐지면 평생 수고롭고 고생하며 또한 자녀를 형극한다.
人中十字,孤?。
인중에 十자 주름이 있으면 고독하여 대가 끊긴다.
三尖六削,重刑而苦。
삼첨육삭이 되면 평생 무거운 형벌을 받듯 고생이 심하다.
주) 三尖(삼첨) : 머리, 준두, 지각이 뾰족하면 賤(천)하다.
주) 六削(육삭) : 천창 이부, 관골 이부, 지고 이부가 깎이면 가난하다.
魚尾破反,刑妻主三配。
어미가 쳐지거나 깨지면 처를 형극하고, 세 번 결혼한다.
印紋懸針,破敗刑人丁。
인당에 현침문이 있으면 가업이 깨지고, 가족을 형극한다.
주) 人丁 : 가족, 육친, 골육, 혈친
?多絨毛,幼孤。
빈발이 많고, 가는 털이 융단 같으면 어려서 고독하다.
邊城陷痕,刑父母。
변지역마가 움푹 꺼지거나 흉터가 있으면 부모를 형극한다.
年壽曲節,刑子女。
년상 수상의 뼈마디가 굵게 나오면 자녀를 형극한다.
滿面肉堆,刑六親。
얼굴 전체 살이 찐빵(진흙) 같으면 육친을 형극한다.
兩額高露,刑妻。
양 관골이 높아서 뼈가 들어나면 처를 형극한다.
山根間斷,刑子女。
산근의 중간이 끊어진 듯 하면 자녀를 형극한다.
奸門十字,妻生雖。
간문에 十자 주름이 있으면 처와 이별을 한다.
門牙楞側,刑父。
대문 치아가 모나게 옆으로 퍼지면 아버지를 형극한다.
判官刑,肉滯也刑父。
판관처럼 무서운 얼굴에 기색이 체한듯 하면 아버지를 형극한다.
羅漢面,肉浮也有女。
라한의 얼굴에 살이 부푼 듯 하면 딸만 있다.
?牙尖角,刑父母。
어금니가 뾰족하면 부모를 형극한다.
男格三十八貧賤:
兩目深陷。蠶囊肉浮。獨額凸突。淚堂紋沖。乳軟而垂。印堂紋沖。孤客獨聳。馬面長削。臍平下反。下陰無毛。腎囊無紋。足?無踵。橘面如塵。百會髮稀。肌肉?冷。食指不收。股眩無包。肉浮如泥。年壽斷節。蛇睛鼠目。人中窄平。陽精枯冷。口角反紋。血不華色。蘭臺紋破。髮焦黃枯。三尖六陷。肉緊而流。鼻紋開花。??雀跳。指節?腫。胸部粗毛。眉毛旋螺。腋?無毛。行坐無臀。三關無脈。足平無紋。聲如破?。
男格三十八貧賤:
남자의 38가지 빈천한 상
兩目深陷。
두 눈이 깊이 꺼지면 빈천하다.
蠶囊肉浮。
와잠의 살이 부풀린 듯 하면 빈천하다.
주) ?肉臥蠶(두유와잠) : 와잠의 모양이 좀벌레처럼 늘어져서 탄력이 없이 부풀어져 있으면 자녀와 인연이 적다.
獨?凸突。
오로지 관골만 뾰족하게 돌출하면 빈천하다.
주) 관골은 코를 보좌해주는 역할을 한다. 관골이 홀로 높다면 주객이 전도된 것과 같아 빈천하다.
淚堂紋沖。
루당에 주름으로 충살이 되면 빈천하다.
주) 루당은 와잠과 같은 부위이다.
乳軟而垂。
유두가 너무 부드러워서 무기력하여 아래로 쳐지면 빈천하다.
印堂紋沖。
인당에 현침문이 있으면 빈천하다.
孤峯獨聳。
코만 홀로 높이 솟아 있으면 빈천하다.
주) 좌우 관골이 약하고 코만 높으면 고독하고 가난하다.
馬面長削。
말의 얼굴처럼 길고 깎인듯 하면 빈천하다.
주) 面長者多辛苦也(면장자다신고야) : 얼굴이 길면 맵고 쓴 일이 많다.
臍平下反。
배꼽이 평평하거나 아래로 가깝거나 튀어나오면 빈천하다.
주) 배꼽은 깊고 넓어야 오장육부가 건강하다.
下陰無毛。
하초에 털이 없으면 빈천하다.
腎囊無紋。
음낭에 주름이 없으면 빈천하다.
足?無踵。
발뒤꿈치가 없으면 빈천하다.
橘面如塵。
귤껍질 같은 얼굴에 때가 낀 듯 하면 빈천하다.
百會髮稀。
백회에 머리카락이 드물면 빈천하다.
肌肉?冷。
비만하여 체질이 냉습하면 빈천하다.
食指不收。
두 번째 손가락이 굽어지지 않으면 빈천하다.
股眩無包。
팔 다리에 살이 없으면 빈천하다.
肉浮如泥。
비만하여 살이 마치 진흙 덩어리 같으면 빈천하다.
年壽斷節。
년상 수상에 끊어지듯 마디가 지면 빈천하다.
蛇睛鼠目。
뱀의 눈이나 쥐의 눈동자처럼 생기면 빈천하다.
人中窄平。
인중이 평평하거나 좁으면 빈천하다.
陽精枯冷。
음낭이 마르거나 차가우면 빈천하다.
口角反紋。
입의 꼬리가 아래로 쳐지고, 주름이 있으면 빈천하다.
血不華色。
혈색이 화사하지 않으면 빈천하다.
蘭臺紋破。
난대정위에 주름이 깊으면 빈천하다.
髮焦黃枯。
머리카락이 불에 그을린 듯 하고, 누렇거나 부스스하면 빈천하다.
三尖六陷。
삼첨 : 머리, 준두, 지각이 뾰족하고, 육함 : 천창, 관골, 지고가 꺼지면 빈천하다.
肉緊而流。
살이 팽팽하거나 탄력없이 늘어지면 빈천하다.
鼻紋開花。
콧등에 주름살이 꽃이 피듯 있으면 빈천하다.
??雀跳。
원숭이 턱이나 참새가 뛰듯 걸으면 빈천하다.
指節?腫。
손가락 마디에 종기가 생기면 빈천하다.
胸部粗毛。
가슴에 거친 털이 나면 빈천하다.
眉毛旋螺。
눈썹털이 소라처럼 곱슬거리면 빈천하다.
腋?無毛。
겨드랑이에 털이 없으면 빈천하다.
行坐無臀。
걷고, 앉는데 엉덩이가 없어 보이면 빈천하다.
三關無脈。
삼관 : 천중, 중정, 태양이 무기력하면 빈천하다.
足平無紋。
발바닥이 평발이고, 주름이 없으면 빈천하다.
聲如破?。
음성이 징 깨지는 소리가 나면 빈천하다.
男格十八夭:
命門不起,腎氣不足十二前死。末言氣?,先天不足二十前死。桃花之面,二十七前死。蜂腰雉眼,三十六前死。面目浮光,三十八前死。項小頭大,二十四前死。眉短而斷,四十五前死。魚目無神,三十前死。骨少肉多,四十前死。面如?鼓,三十前死。魂不守舍,三十二前死。少年發肥,四十二前死。氣緊如東,三十六死。背脊坑陷,三十六前死。額髮連眉,四十前死。筋不束骨,四十前死。法令無紋,三十二前死。山根斷陷,四十三前死。
公篤曰。古法之合者。今皆列入。間以所驗?附馬。
命門不起,腎氣不足十二前死。
명문이 일어나지 않으면 신장 수기가 부족하여 12세 전에 죽는다.
주) 명문은 귀 앞부분을 말한다. 이곳에 옥량골이 반듯하게 서면 신장 수기가 풍부하여 장수할 수 있다.
末言氣?,先天不足二十前死。
말을 다하기 전에 기운이 끊어지면 선천적으로 원기가 부족하여 20세 전에 죽는다.
桃花之面,二十七前死。
도화가 활짝 핀듯한 얼굴이면 27세 전에 죽는다.
蜂腰雉眼,三十六前死。
벌의 허리, 꿩의 눈과 같으면 36세 전에 죽는다.
주) 벌의 허리는 가늘어서 오장육부의 기운이 온전치 못하여 단명한다.
주) 꿩의 눈은 붉게 타는듯 눈이 발열되어 단명한다.
面目浮光,三十八前死。
얼굴과 눈에 들뜬 빛이 나면 38세 전에 죽는다.
項小頭大,二十四前死。
목이 가늘고 머리가 크면 24세 전에 죽는다.
주) 머리는 큰데 머리를 받치는 목이 가늘면 허약하고 단명한다.
眉短而斷,四十五前死。
눈썹이 짧거나 끊어진듯 하면 45세 전에 죽는다.
魚目無神,三十前死。
물고기 눈처럼 안신이 없으면 30세 전에 죽는다.
骨少肉多,四十前死。
뼈는 적고 살이 많으면 40세 전에 죽는다.
面如?鼓,三十前死。
얼굴의 피부가 팽팽한 북과 같으면 30세 전에 죽는다.
魂不守舍,三十二前死。
눈에 혼이 머물지 않으면 32세 전에 죽는다.
少年發肥,四十二前死。
젊어서 비만하면 42세 전에 죽는다.
氣緊如屬,三十六死。
기가 급박하여 묶어 놓은듯 하면 36세에 죽는다.
주) 뼈와 피부가 상접하여 살비듬이 전혀 없으면 단명한다.
背脊坑陷,三十六前死。
등골에 구덩이 패이듯 하면 36세 전에 죽는다.
額髮連眉,四十前死。
이마의 발제가 눈썹과 연이은 듯 하면 40세 전에 죽는다.
주) 이마가 좁아서 머리카락과 눈썹 사이가 거의 없는듯 하면 단명한다.
筋不束骨,四十前死。
근육이 뼈에 얽히지 않으면 40세 전에 죽는다.
주) 뼈에 근육이 잘 감싸주고, 힘줄이 보이지 않아야 한다.
法令無紋,三十二前死。
법령의 주름이 없으면 32세 전에 죽는다.
山根斷陷,四十三前死。
산근이 끊어지거나 꺼지면 43세 전에 죽는다.
公篤曰。古法之合者。今皆列入。間以所驗?附馬。
공독선생왈 옛날 상법에 합당한 것을 이 책에 모두 열거하여 놓았다. 이는 징험한 바에 의거하여 실어 놓았다.
女格推論:
公篤曰。女格位居坤卦。外陰而內陽。生化出焉。自今天道轉薄。世俗反常。中外交通。法制?異。其理雖妙化。而其義隱微矣。昔之所謂女格。其性純靜。其輔夫子。其業家庭而已。故取靜默媚態?秀端正。令人敬重?貴。主助夫益子。壽祿兼全。以剛燥痴笑支?斜視拈帶撓?。令人喜愛?淫。主刑夫剋子。再醮私奔。以粗怪臭惡跳躍枯露。令人厭惡?賤。此古人之法也。今也不然。其志不凡。其務才學。其謀國政是也。於是有好名者。有黨派者。有務實業者。有冒危難者。有流落他?者。有獨立不嫁者。有數千里而婚配者。其事至?複雜。而其形遂與男格?出入。故其運亦多與之同。而辭氣問。亦可知其大凡也。余讀公篤女格, 誠哉其有此也, 粗淺人何能辨此, 右識.
女格推論:
여인의 격을 추론하자면
公篤曰。女格位居坤卦。外陰而內陽。生化出焉。
공독왈 여인의 격은 곤괘에 있으며, 겉으로는 음이나 안으로는 양이 있어서 생기를 화출함이 있다.
주) 곤괘는 땅을 상징한다. 외면은 부드러우나 내면에는 강하다.
自今天道轉薄。世俗反常。中外交通。法制?異。其理雖妙化。而其義隱微矣。
예로부터 지금까지 하늘도가 운행하며, 두텁고 얇음에 따라서 세속에서도 항상 일정하지 않으며, 안팎의 소통과 법제가 서로 달라 그 이치가 비록 변화막측하나 그 속에는 감추어진 의미는 은은하며 미미하다.
昔之所謂女格。其性純靜。其輔夫子。其業家庭而已。故取靜默媚態?秀端正。
옛날의 여인의 격에 그 정성이 순수하고 고요해야하며, 그 지아비와 자녀를 잘 보살피고, 그 가정의 살림을 잘 이뤄야할 뿐이다. 고로 고요하게 참아야 하며, 아름다운 미태와 맑고 수려하게 단정함을 말하는 바이다.
令人敬重?貴。主助夫益子。壽祿兼全。以剛燥痴笑支?斜視拈帶撓?。
사람으로 하여금 존경심과 엄중함이 귀한 격이 되니 주로 남편에게 내조를 하고, 아들을 출세시키며, 건강하게 장수하는 바와 복록이 겸하여 온전해야 한다. 강하고 조급하며 어리석게 웃으며, 빈발이 턱선을 지나고, 곁눈질을 하며, 빈발을 손가락으로 잡고 비비꼬면 천한 격이다.
令人喜愛?淫。主刑夫剋子。再醮私奔。以粗怪臭惡跳躍枯露。
사람으로 하여금 애교부리는 것을 좋아하면 음탕함이니 주로 남편과 아들을 형극한다. 다시금 재혼을 하거나 분탕함이 거칠고 괴이하며 악취가 나고, 뛰어다니고, 피골이 마르고 뼈가 들어나면 천한 격이다.
令人厭惡?賤。此古人之法也。
사람으로 하여금 혐오스러움이 천함이 되니 이는 옛사람의 상법이다.
今也不然。其志不凡。其務才學。其謀國政是也。
요즘은 그러하지 않으니 그 뜻이 범상치 않고, 그 재능과 학문에 힘을 쓰며, 그 뜻이 나라의 국정에 이르게 된다.
於是有好名者。有黨派者。有務實業者。
유명인이 되는 여인, 당파에 힘쓰는 여인, 사업에 힘쓰는 여인
有冒危難者。有流落他?者。有獨立不嫁者。有數千里而婚配者。
위태롭게 모험을 하는 여인, 타향에서 유랑하는 여인, 결혼을 하지 않고 독립적인 여인, 수 천리 떨어진 곳에 결혼을 하는 여인 등.
其事至?複雜。而其形遂與男格?出入。
그러한 일들이 복잡하게 되었으니 여인의 상으로 남자의 격과 더불어 세상에 출입을 한다.
故其運亦多與之同。而辭氣問。亦可知其大凡也。
고로 그러한 운세 또한 다양함이 있으니 이러한 글들 사이에서 또한 대략적인 것을 가히 알 수 있다.
余讀公篤女格, 誠哉其有此也, 粗淺人何能辨此, 右識.
내가 공독의 여격을 읽는 것이 진실로 이와 같다. 거칠고 얕은 사람을 어찌 능히 분변하랴. 이와 같이 알 수 있다.
女之七賢四德:
行動軒?,志向不磨。肌膚香潤,富貴根基。言語?響,明達也。
容貌嚴正,節操也。衣履整潔,持家有法。唇紅齒白,衣祿也。貧苦不怨,廉恥也。
勤敏好學。危難取義。謙和悔過。富樸貧潔。
女之七賢四德:
여인에게는 일곱 가지 어짊과 네 가지 덕스러움을 보는 상법이 있다.
行動軒?,志向不磨。
행동거지가 의젓하고 굳건하며, 기세가 당당하여 뜻하는 바를 계승 발전 실현하게 된다.
肌膚香潤,富貴根基。
살에서 향기가 나고 윤택하게 되면 근본적으로 부귀를 누리는 여인이다.
言語?響,明達也。
언어가 맑게 울리게 되면은 명성이 크게 현달하게 된다.
容貌嚴正,節操也。
용모가 엄숙하고 단정하면 절개를 지키고 지조가 있는 여인이다.
衣履整潔,持家有法。
옷의 맵시가 단정하고, 걸음걸이가 정숙하면 가정을 잘 다스리고 법도에 맞게 유지한다.
唇紅齒白,衣祿也。
입술이 붉고 치아가 깨끗하면 의록이 풍족한 여인이다.
貧苦不怨,廉恥也。
가난하여 고생스러워도 원망하지 않고 염치를 아는 여인이다.
勤敏好學。危難取義。
부지런하고 명민하게 학문을 좋아 하고 익히면 위급하고 어려울 때에도 정의를 취한다.
謙和悔過。富樸貧潔。
겸손하고 온화하며 과오를 뉘우치면 부유할 때는 소박하고, 가난할 때는 청결하게 살아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